식품 폴리페놀 성분 및 식품유래 화장품 첨가성분의 광 반응성 행태와 LED 조사 하에서의 피부세포 적용성 연구
|
1711098653 |
2019-09-01 ~ 2022-02-28 |
2019 |
유기합성을 위한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광촉매 시스템의 개발
|
1711095936 |
2019-06-01 ~ 2022-02-28 |
2019 |
‘포장 후 cold plasma 처리’를 실용적인 즉석조리식품 미생물 저해 방법으로 확립하기 위한 cold plasma 기반의 새로운 hurdle 기술 개발
|
1711095009 |
2019-06-01 ~ 2022-02-28 |
2019 |
폐경기 대사증후군에서 산화스트레스, 염증반응 및 장내 미생물체의 상관성 연구
|
1711087033 |
2017-03-01 ~ 2020-02-29 |
2019 |
식물 생산을 통한 ICT 융합형 탄소저감기술의 확대 방안
|
1711085684 |
2018-03-01 ~ 2023-02-28 |
2019 |
Petunia vein clearing virus의 유전체 기능 규명 및 바이러스 벡터 개발
|
1711085643 |
2019-03-01 ~ 2022-02-28 |
2019 |
신속, 간편한 감광성 평가방법 개발과 천연생리활성 색소류의 광감작활성 및 감광성분과의 상호작용 연구
|
1711084989 |
2016-06-01 ~ 2019-05-31 |
2019 |
‘포장 후 cold plasma 처리’를 이용한 즉석조리식품 미생물 저해 가공법 확립 및 처리된 식품의 안전성 평가
|
1711083552 |
2016-06-01 ~ 2019-05-31 |
2019 |
연구소재중앙센터
|
1711082148 |
2016-06-01 ~ 2019-02-28 |
2019 |
식물바이러스은행
|
1711081801 |
2014-04-01 ~ 2019-03-31 |
2019 |
항생제내성균주은행
|
1711081359 |
2017-07-01 ~ 2022-06-30 |
2019 |
'포장 후 cold plasma 처리'를 이용한 즉석조리식품 미생물 저해 가공법 확립 및 처리된 식품의 안전성 평가
|
1711071445 |
2016-06-01 ~ 2019-05-31 |
2018 |
신속, 간편한 감광성 평가방법 개발과 천연생리활성 색소류의 광감작활성 및 감광성분과의 상호작용 연구
|
1711070825 |
2016-06-01 ~ 2019-05-31 |
2018 |
폐경기 대사증후군에서 산화스트레스, 염증반응 및 장내 미생물체의 상관성 연구
|
1711066556 |
2017-03-01 ~ 2020-02-29 |
2018 |
항생제내성균주은행
|
1711064947 |
2017-07-01 ~ 2022-06-30 |
2018 |
식물바이러스은행
|
1711064901 |
2014-04-01 ~ 2019-03-31 |
2018 |
연구소재중앙센터
|
1711064662 |
2016-06-01 ~ 2019-02-28 |
2018 |
미생물 유전자원 보존관리 2019 (서울여대 류기현)
|
1395059287 |
2019-01-01 ~ 2019-12-31 |
2019 |
미생물 유전자원 관리기관 2018
|
1395057570 |
2018-01-01 ~ 2018-12-31 |
2018 |
식물 바이러스 저항성 향상을 위한 바이러스 복제 억제자 (IVR) 전사인자 매게 조절에 대한 연구
|
1345306466 |
2019-09-01 ~ 2020-08-31 |
2019 |
RNA-dependent RNA 중합효소 1(RDR1)과 감자바이러스 Y (PVY)에 의한 염색사재구성의 조절 기작 구명
|
1345303263 |
2016-11-01 ~ 2019-10-31 |
2019 |
LED 조사에 의한 발효 미생물의 생육 조절과 감광성 식품생리활성 성분과의 상호작용 연구
|
1345300555 |
2019-06-01 ~ 2022-05-31 |
2019 |
혈관성치매에서 multielectrode의 subcranial implantation에 의한 뇌심부자극술 (Deep Brain stimulation; DBS) 적용.
|
1345300177 |
2017-06-01 ~ 2020-05-31 |
2019 |
미량 이온인식고분자 기반의 중금속 이온 자가 진단 키트 개발
|
1345298090 |
2017-06-01 ~ 2020-05-31 |
2019 |
고혈당에 의한 치매 유발 기전 규명과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와 레스베라트롤/피세아테놀을 활용한 고혈당 유발 치매 예방을 위한 영양중재 전략: 인플라마징 조절을 중심으로
|
1345297162 |
2017-06-01 ~ 2020-05-31 |
2019 |
방사선 내성 세균 Spirosoma montaniterre의 비교 전사체 연구
|
1345296852 |
2018-06-01 ~ 2021-05-31 |
2019 |
두개골 조기 유합증에서 영상바이오마커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자동 형상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
1345296607 |
2017-06-01 ~ 2020-05-31 |
2019 |
감마선에 노출된 토양의 whole 메타지놈 연구를 위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NGS 기술 개발
|
1345295958 |
2017-06-01 ~ 2019-05-31 |
2019 |
발효 공정을 이용한 식품 생리활성소재의 비만 관련 신경세포염증 및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효과와 기작연구
|
1345294864 |
2018-06-01 ~ 2022-05-31 |
2019 |
천연물유래 항바이러스 후보물질 스펙트럼 분석과 항바이러스 작용기작 규명
|
1345294569 |
2018-06-01 ~ 2022-05-31 |
2019 |
식품 별 안토시아닌의 in vitro accessibility 및 in vivo bioavailability 비교
|
1345294496 |
2017-06-01 ~ 2020-05-31 |
2019 |
유산균의 항생제내성 기전, 내성전이 기전 및 안전성 평가
|
1345293465 |
2018-06-01 ~ 2022-05-31 |
2019 |
Tobravirus RNA2 게놈 재조합 분석을 통한 host adaptation 기작 이해
|
1345293297 |
2017-06-01 ~ 2020-05-31 |
2019 |
RNA-dependent RNA 중합효소 1(RDR1)과 감자바이러스 Y (PVY)에 의한 염색사재구성의 조절 기작 구명
|
1345286227 |
2016-11-01 ~ 2019-10-31 |
2018 |
천연물유래 항바이러스 후보물질 스펙트럼 분석과 항바이러스 작용기작 규명
|
1345283108 |
2018-06-01 ~ 2022-05-31 |
2018 |
유산균의 항생제내성 기전, 내성전이 기전 및 안전성 평가
|
1345282863 |
2018-06-01 ~ 2022-05-31 |
2018 |
발효 공정을 이용한 식품 생리활성소재의 비만 관련 신경세포염증 및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효과와 기작연구
|
1345281888 |
2018-06-01 ~ 2022-05-31 |
2018 |
방사선 내성 세균 Spirosoma montaniterre의 비교 전사체 연구
|
1345281004 |
2018-06-01 ~ 2021-05-31 |
2018 |
두개골 조기 유합증에서 영상바이오마커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자동 형상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
1345278433 |
2017-06-01 ~ 2020-05-31 |
2018 |
Tobravirus RNA2 게놈 재조합 분석을 통한 host adaptation 기작 이해
|
1345278256 |
2017-06-01 ~ 2020-05-31 |
2018 |
감마선에 노출된 토양의 whole 메타지놈 연구를 위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NGS 기술 개발
|
1345277658 |
2017-06-01 ~ 2019-05-31 |
2018 |
미량 이온인식고분자 기반의 중금속 이온 자가 진단 키트 개발
|
1345277489 |
2017-06-01 ~ 2020-05-31 |
2018 |
식품 별 안토시아닌의 in vitro accessibility 및 in vivo bioavailability 비교
|
1345277174 |
2017-06-01 ~ 2020-05-31 |
2018 |
고혈당에 의한 치매 유발 기전 규명과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와 레스베라트롤/피세아테놀을 활용한 고혈당 유발 치매 예방을 위한 영양중재 전략: 인플라마징 조절을 중심으로
|
1345276712 |
2017-06-01 ~ 2020-05-31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