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용 신경정신약물Mind altering medicine
-
기술 정의
의료용 대마 등 정신활성 물질의 유용성분을 기반으로 신경정신질환을 치료하는 의약품 개발과 관련된 기술
-
기술장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사회적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우울증, 불안,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중독, 뇌전증 등 만성·난치성 신경정신질환 극복에 기여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정신활성물질 기반의 만성·난치성 신경정신 질환의 치료제로 도입 및 활용
향후 10년 : 부작용 없는 정신활성물질 활용 만성 난치성 신경정신질환 치료제 개발
-
요소 기술
1) 정신활성물질(사이키델릭)의 의약적 작용기전 분석 기술 - 뇌이미징 영상 분석기술 - 약물 타겟 조절 기전의 in silico, in vitro, in vivo 시스템 기반 분석 기술 - 신경전기생리학 및 신경분자생물학 기반 분석 기술 - 질환모델 실험동물 활용 분석 기술 - 신경세포/미세아교세포/성상교세포의 상호작용 조절 분석 기반 기술 - 뇌신경회로 분석 기술 - 광유전학/화학유전학적 기법 활용 기술 2) 사이키델릭 유사 분자의 개발 - 환각 및 중독 유발성 없는 사이키델릭 유사 분자 선별 기술 - 환각성 화합물 유래 유용물질 분석 기술 - 약물의 환각, 의존성 및 중독 초래 여부 예측 및 분석 기술 - 세포수준과 개체 수준의 효능 평가 기술 - 약물동역학적(pharmacokinetics) 분석 기술, 독성 평가 분석 기술
-
주요 이슈
난치성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과학기술적 근거 마련 - 환각성, 의존성, 내성 및 중독성이 없는 혁신적 신경정신질환 치료제 개발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실로시빈(psilocybin),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 MDMA(3,4- 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일명 엑스터시)를 이용해 다양한 우울증, PTSD 등의 정신과 장애들을 치료하려는 임상시험들이 시도 - Compass Pathways사는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유럽과 북미에서 후기 임상시험을 통해 실로시빈(psilocybin) 치료제를 개발 중 - Mindmedis사는 건강을 개선하고 웰빙을 증진하며 고통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사이키델릭 의약품을 개발 중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마약의 일종인 대마초에서 추출한 성분이 포함된 물질을 처음으로 의약품으로 승인 - 대마초 뿌리에서 추출한 물질을 기반으로 개발한 에피디올렉스(Epidiolex)는 드라베 증후군 등 난치성 뇌전증(간질) 치료제로 시판을 승인 환각성 화합물의 환각효과 탐지 센서 개발 - 사이키델릭 유사 물질의 선별을 위한 노력으로 미국의 켈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세로토닌 수용체 5-HT2AR의 구조 기반 센서 개발 연구 결과를 보고 Small Pharma는 케타민(ketamine) 유도체를 기반으로 항우울제를 개발 중미며, 미국은 2019년 표준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는 우울증에 에스케타민의 사용을 승인 - 케타민 유사 약제들이 항우울제로 높은 치료 반응을 보이는 것이 보고되었지만, 대화의 어려움, 이상한 기분과 같은 단기적 부작용이 있고 중독과 남용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짐 - 엑스터시는 PTSD 치료에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남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음
-
국내 기술개발동향
출연연, 대학, 병원을 중심으로 사이키델릭 의약품 개발에 대한 일부 연구가 진행 중이나, 법적 규제와 까다로운 연구절차 등으로 연구에 제약 카나비디올을 포함한 칸나비스를 이용한 뇌전증 등의 의학적 효능 및 상업적 활용 연구가 진행 중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8년 국내에 대체치료 수단이 없는 뇌전증 등 희귀/난치 환자를 위해 해외에서 허가된 대마 성분(칸나비디올 등) 의약품 수입을 허용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2020년 우울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402만 명으로 전년 대비 6.7%(377만명) 증가항우울제 시장 규모도 2017년부터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2020년에는 전년 대비 33%의 높은 증가폭을 기록.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국내 수요가 크게 늘어남(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통계정보)
-
사회적 기대효과
사회적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만성·난치성 신경정신질환 극복 및 삶의 질 개선 효과
-
필요 사항
사이키델릭 의약품의 신경정신질환 약물로의 불법 오남용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 및 관리 방안의 설계사이키델릭 의약품의 우울증과 PTSD 개선 효과는 확인 단계로, 중독/환각 등의 부작용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전문가들의 아이디어 융합과 공동연구 필요엄격한 임상시험을 통한 검증을 거쳐 통제된 환경 및 사용 가이드라인 제시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1,092.99 | 3건 |
2023년 | 1,757.35 | 5건 |
2022년 | 2,004.4 | 3건 |
2021년 | 2,500 | 3건 |
2020년 | 1,962.5 | 4건 |
2019년 | 150 | 2건 |
2018년 | 106.61 | 3건 |
2017년 | 1,204.17 | 2건 |
2016년 | 758.34 | 4건 |
2015년 | 533.61 | 4건 |
2014년 | 226.94 | 3건 |
2013년 | 136.09 | 3건 |
2012년 | 140 | 2건 |
2011년 | 284 | 3건 |
2010년 | 334 | 4건 |
2009년 | 227 | 2건 |
2008년 | 227 | 2건 |
2007년 | 570 | 1건 |
2006년 | 420 | 1건 |
2005년 | 82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5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200 | 9991007742 |
2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7 | 1345098235 |
3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소바젠(주)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신약R&D 생태계 구축 연구 | 500 | 9991007798 |
4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 | 1345098234 |
5 | 뇌전증 증상 조절에서 면역계의 역할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평가 | 연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70149 |
6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소바젠(주)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R&D 생태계 구축 연구 | 1,000 | 9991008361 |
7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4 | 1345141619 |
8 | 우울증 치료제의 신약 원료의약품 중간체 공정개발 및 확립 | (재)울산테크노파크 | 2018 | 중소벤처기업부 |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 | 6.61 | 1425127228 |
9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 | 1345162445 |
10 | 희귀질환, 극난치성뇌전증지속증(SRSE) 치료제 개발 위한 합성신약, JBPOS0101의 전임상연구 | (주)바이오팜솔루션즈 | 2016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271.68 | 1465021579 |
11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100 | 1345300135 |
12 | DGIST 제브라피쉬용 미세전류센서기술을 활용한 뇌전증 치료제 HTS 시스템 고도화 및 연구서비스 개발 | 주식회사 제핏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투자연계형공공기술사업화기업성장지원(R&D) | 투자연계형 공공기술사업화기업 성장지원사업 | 350 | 1711121249 |
13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100 | 1345319978 |
14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0 | 1465021764 |
15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소바젠주식회사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이관)(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162.55 | 9991008821 |
16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46.94 | 1345204478 |
17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60 | 1345170130 |
18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7 | 1345085948 |
19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 | 1345085988 |
20 | 세로토닌 수용체 및 트랜스포터 동시작용 우울증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기획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세로토닌 수용체 및 트랜스포터 동시작용 우울증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기획 | 50 | 1345135510 |
21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 | 1345141618 |
22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13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80 | 1465013468 |
23 | 뇌전증(간질) 신규타겟 및 KO모델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 | 충남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신약타겟발굴·검증 | 306.67 | 1711026930 |
24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46.94 | 1345217618 |
25 |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증상개선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 604.4 | 1415181160 |
26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6.94 | 1345232980 |
27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SK바이오팜(주)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500 | 1465031271 |
28 | MTOR 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first-in-class RNA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 | 소바젠주식회사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66.67 | 1711200911 |
29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400 | 9991008330 |
30 | 뇌전증(간질) 신규타겟 및 KO모델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 | 충남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신약타겟발굴·검증 | 306.67 | 1711038143 |
31 | 뇌전증 증상 조절에서 면역계의 역할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평가 | 연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 | 2340000366 |
32 | 우울증치료제에 대한 고찰 | 국립공주병원 | 2013 | 보건복지부 | 공주병원임상연구비 | 공주병원임상연구비 | 9.15 | 1465014743 |
33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0 | 1465016567 |
34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100 | 1711030423 |
35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2006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 420 | 1460001127 | |
36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2005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820 | 1460004952 | |
37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2.5 | 1345318083 |
38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에스케이바이오팜(주)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800 | 1465033293 |
39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서울)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이관)(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05.06 | 2710003462 |
40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서울)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이관)(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 229.68 | 1711200660 |
41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37.5 | 1345262726 |
42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60 | 1345124482 |
43 | MTOR 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first-in-class RNA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 | 소바젠주식회사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733.33 | 2710003509 |
44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60 | 1345152376 |
45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0 | 1465018856 |
46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50 | 1345280946 |
47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 크론바이오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4 | 1345162446 |
48 | 희귀질환, 극난치성뇌전증지속증(SRSE) 치료제 개발 위한 합성신약, JBPOS0101의 전임상연구 | (주)바이오팜솔루션즈 | 2017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1,166.67 | 1465023092 |
49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50 | 1345294942 |
50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50 | 1345277986 |
51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도약연구지원사업(전략)(상향식) | 100 | 1711016452 |
52 |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증상개선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 845.95 | 1415185786 |
53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12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80 | 1465011902 |
54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100 | 1711043566 |
55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2007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570 | 1465008918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38.43 | 189건 |
2023년 | 49.31 | 239건 |
2022년 | 51.63 | 278건 |
2021년 | 50.05 | 272건 |
2020년 | 50.05 | 292건 |
2019년 | 45.49 | 282건 |
2018년 | 41.85 | 272건 |
2017년 | 43.76 | 268건 |
2016년 | 44.2 | 250건 |
2015년 | 43.32 | 224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5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200000000 | 200 | 9991007742 |
2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7000000 | 107 | 1345098235 |
3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소바젠(주)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신약R&D 생태계 구축 연구 | 500000000 | 500 | 9991007798 |
4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000000 | 120 | 1345098234 |
5 | 뇌전증 증상 조절에서 면역계의 역할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평가 | 연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70149 |
6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소바젠(주)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R&D 생태계 구축 연구 | 1000000000 | 1,000 | 9991008361 |
7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4000000 | 104 | 1345141619 |
8 | 우울증 치료제의 신약 원료의약품 중간체 공정개발 및 확립 | (재)울산테크노파크 | 2018 | 중소벤처기업부 |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 | 6614246 | 6.61 | 1425127228 |
9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000000 | 120 | 1345162445 |
10 | 희귀질환, 극난치성뇌전증지속증(SRSE) 치료제 개발 위한 합성신약, JBPOS0101의 전임상연구 | (주)바이오팜솔루션즈 | 2016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271677000 | 271.68 | 1465021579 |
11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100000000 | 100 | 1345300135 |
12 | DGIST 제브라피쉬용 미세전류센서기술을 활용한 뇌전증 치료제 HTS 시스템 고도화 및 연구서비스 개발 | 주식회사 제핏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투자연계형공공기술사업화기업성장지원(R&D) | 투자연계형 공공기술사업화기업 성장지원사업 | 350000000 | 350 | 1711121249 |
13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100000000 | 100 | 1345319978 |
14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0000000 | 80 | 1465021764 |
15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소바젠주식회사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이관)(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162549000 | 162.55 | 9991008821 |
16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46944000 | 46.94 | 1345204478 |
17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60000000 | 60 | 1345170130 |
18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7000000 | 107 | 1345085948 |
19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000000 | 120 | 1345085988 |
20 | 세로토닌 수용체 및 트랜스포터 동시작용 우울증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기획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세로토닌 수용체 및 트랜스포터 동시작용 우울증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기획 | 50000000 | 50 | 1345135510 |
21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20000000 | 120 | 1345141618 |
22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13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80000000 | 80 | 1465013468 |
23 | 뇌전증(간질) 신규타겟 및 KO모델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 | 충남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신약타겟발굴·검증 | 306666000 | 306.67 | 1711026930 |
24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46944000 | 46.94 | 1345217618 |
25 |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증상개선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 604400000 | 604.4 | 1415181160 |
26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6944000 | 46.94 | 1345232980 |
27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SK바이오팜(주)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500000000 | 1,500 | 1465031271 |
28 | MTOR 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first-in-class RNA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 | 소바젠주식회사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66666000 | 466.67 | 1711200911 |
29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400000000 | 400 | 9991008330 |
30 | 뇌전증(간질) 신규타겟 및 KO모델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 | 충남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신약타겟발굴·검증 | 306666000 | 306.67 | 1711038143 |
31 | 뇌전증 증상 조절에서 면역계의 역할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평가 | 연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00000 | 54.6 | 2340000366 |
32 | 우울증치료제에 대한 고찰 | 국립공주병원 | 2013 | 보건복지부 | 공주병원임상연구비 | 공주병원임상연구비 | 9150000 | 9.15 | 1465014743 |
33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0000000 | 80 | 1465016567 |
34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100000000 | 100 | 1711030423 |
35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2006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 420000000 | 420 | 1460001127 | |
36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2005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820000000 | 820 | 1460004952 | |
37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2500000 | 12.5 | 1345318083 |
38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에스케이바이오팜(주)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800000000 | 1,800 | 1465033293 |
39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서울)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이관)(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05057000 | 305.06 | 2710003462 |
40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서울)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이관)(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 229681000 | 229.68 | 1711200660 |
41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37500000 | 37.5 | 1345262726 |
42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60000000 | 60 | 1345124482 |
43 | MTOR 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first-in-class RNA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 | 소바젠주식회사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733334000 | 733.33 | 2710003509 |
44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60000000 | 60 | 1345152376 |
45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0000000 | 80 | 1465018856 |
46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50000000 | 50 | 1345280946 |
47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주) 크론바이오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 104000000 | 104 | 1345162446 |
48 | 희귀질환, 극난치성뇌전증지속증(SRSE) 치료제 개발 위한 합성신약, JBPOS0101의 전임상연구 | (주)바이오팜솔루션즈 | 2017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1166670000 | 1,166.67 | 1465023092 |
49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50000000 | 50 | 1345294942 |
50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50000000 | 50 | 1345277986 |
51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도약연구지원사업(전략)(상향식) | 100000000 | 100 | 1711016452 |
52 |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증상개선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 845950000 | 845.95 | 1415185786 |
53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12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80000000 | 80 | 1465011902 |
54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100000000 | 100 | 1711043566 |
55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2007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570000000 | 570 | 1465008918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55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9991007742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0건 | 0건 |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1345098235 | 107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0건 | 0건 |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9991007798 | 50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소바젠(주) | 0건 | 0건 |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1345098234 | 1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뇌전증 증상 조절에서 면역계의 역할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평가 | 1345370149 | 5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9991008361 | 100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소바젠(주) | 0건 | 0건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1345141619 | 104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0건 | 0건 | |||
2018 | 중소벤처기업부 |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 우울증 치료제의 신약 원료의약품 중간체 공정개발 및 확립 | 1425127228 | 6614246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재)울산테크노파크 | 0건 | 0건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1345162445 | 1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6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희귀질환, 극난치성뇌전증지속증(SRSE) 치료제 개발 위한 합성신약, JBPOS0101의 전임상연구 | 1465021579 | 271677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바이오팜솔루션즈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안전성시험 기술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1345300135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투자연계형공공기술사업화기업성장지원(R&D) | DGIST 제브라피쉬용 미세전류센서기술을 활용한 뇌전증 치료제 HTS 시스템 고도화 및 연구서비스 개발 | 1711121249 | 35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제핏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1345319978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1465021764 | 8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안전성시험 기술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소아 난치성 뇌전증 first-in-class 치료제 eIF4E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개발 및 RNA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 | 9991008821 | 162549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소바젠주식회사 | 0건 | 0건 |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1345204478 | 46944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1345170130 | 6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1345085948 | 107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이큐스팜신약개발연구소 | 0건 | 0건 |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1345085988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0건 | 0건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세로토닌 수용체 및 트랜스포터 동시작용 우울증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기획 | 1345135510 | 50000000 | 기타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원천기술개발사업 | 미래기반기술개발(차세대바이오원천분야) |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 시범사업 | 0건 | 0건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 생산을 위한 타깃 지향적 효소 개발 | 1345141618 | 1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3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1465013468 | 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뇌전증(간질) 신규타겟 및 KO모델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 | 1711026930 | 306666000 | 개발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신약타겟발굴·검증사업 | 0건 | 0건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1345217618 | 46944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증상개선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 | 1415181160 | 6044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균주/효소의약품 | 의약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1345232980 | 46944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1465031271 | 1500000000 | 응용연구 | 대기업 | SK바이오팜(주)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임상약리기술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MTOR 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first-in-class RNA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 | 1711200911 | 466666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소바젠주식회사 | 0건 | 0건 |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9991008330 | 4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0건 | 0건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뇌전증(간질) 신규타겟 및 KO모델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 | 1711038143 | 306666000 | 개발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신약타겟발굴·검증사업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뇌전증 증상 조절에서 면역계의 역할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평가 | 2340000366 | 54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13 | 보건복지부 | 공주병원임상연구비 | 우울증치료제에 대한 고찰 | 1465014743 | 915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공주병원 | 0건 | 0건 |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1465016567 | 8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안전성시험 기술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1711030423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미래유망, 사회이슈) | 0건 | 0건 |
2006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1460001127 | 420000000 | 개발연구 | 기타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0건 | 0건 | |||
2005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1460004952 | 820000000 | 개발연구 | 기타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1345318083 | 125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1465033293 | 1800000000 | 응용연구 | 대기업 | 에스케이바이오팜(주)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임상약리기술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2710003462 | 305057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α2 adrenergic 수용체 길항 및 NDRI 특성의 화합물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 1711200660 | 229681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1345262726 | 375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1345124482 | 6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MTOR 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first-in-class RNA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 | 2710003509 | 733334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소바젠주식회사 | 0건 | 0건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선택적 5-HT7 길항제 연구 | 1345152376 | 6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신규 뇌전증 치료제 antagomir-203의 최적화 및 예비독성 확인 연구 | 1465018856 | 8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안전성시험 기술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미니뇌를 활용한 SCN1A 변이 연관 뇌전증 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 | 1345280946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우울증 치료제용 키랄소재의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1345162446 | 104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 크론바이오 | 0건 | 0건 | |||
2017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희귀질환, 극난치성뇌전증지속증(SRSE) 치료제 개발 위한 합성신약, JBPOS0101의 전임상연구 | 1465023092 | 1166670000 | 개발연구 | 중견기업 | (주)바이오팜솔루션즈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안전성시험 기술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1345294942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환자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세포를 이용한 맞춤뇌전증치료제 스크리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1345277986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1711016452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전략)(상향식) | 0건 | 0건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치료저항성 우울장애 및 불안장애 증상개선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 | 1415185786 | 84595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균주/효소의약품 | 의약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12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지방 줄기세포 라이세이트를 이용한 뇌전증치료제 개발 | 1465011902 | 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기초 및 임상의학 | 신경과학 | 중추신경계 질환 관련기술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lncRNA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개발 | 1711043566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미래유망, 사회이슈) | 0건 | 0건 |
2007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 기능성신규염을 이용한 물없이 먹는 우울증치료제 개량신약의 개발 | 1465008918 | 570000000 | 개발연구 | 기타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