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장기 생산 키메라기술Chimera technology for bioorgans
-
기술 정의
인간 줄기세포를 동물에 넣어 이식 및 치료 목적으로 인간의 조직이나 장기, 기관을 동물에서 생산하는 기술
-
기술장점
면역거부 반응이 최소화된 범용/맞춤형 이식용 장기를 확보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기수급 불균형 해소 및 난치질환 치료 가능성 제고
-
실현 시기
향후 5년 : 동물에서 생산할 수 있는 인간의 세포, 조직이나 기관 다양화
향후 10년 : 면역거부 반응이 최소화된 범용/맞춤형 이식용 장기 생산 및 이종이식 효율 제고
-
요소 기술
키메라 기술에 의한 바이오장기 제작 과정 줄기세포 분화기술 및 키메라배아 제작기술 - 분화되지 않아 다른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줄기세포 전반적 기술 - 줄기세포의 분화를 통제하여 원하는 세포로 발달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기술 - 키메라배아(동물집합성배아)* 제작기술 * 하나 이상의 동물 배아와 인간의 체세포 또는 인간 수정배아의 배아세포가 집합하여 일체가 된 배아 유전자가위기술을 이용한 형질전환 동물 제작기술 - 크리스퍼(CRISPR-Cas9) 등 유전자가위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부위의 유전자를 삭제 또는 편집하는 기술 - 바이오장기 생산을 위한 동물에 유전자편집기술을 적용하여 면역원성이 제거되고, 정확도가 향상된 형질전환 동물 모델 확보 기술 면역 반응 조절기술 - 장기 이식 등에서 보이는 이식면역에 대한 회피 또는 조절 기술 - 키메라 기술에 의한 바이오장기의 이종이식에서의 면역반응 조절 기술
-
주요 이슈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등 줄기세포를 활용한 이종장기 관련 연구(키메라 장기 연구)는 장기이식 수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부상
-
해외 기술개발동향
쥐(rat) 줄기세포를 췌장 유전자가 차단한 생쥐(mouse)의 수정란에 이식하여 생쥐의 몸에서 쥐의 췌장 재생 성공(2010년) 및 당뇨병에 걸린 생쥐에 이식하여 당뇨병을 치료하여 키메라 장기의 질병 치료 가능성 입증(2017년, 도쿄대 나카우치 교수팀) 췌장을 만들 수 없는 돼지의 수정란에 건강한 돼지의 세포를 넣어 정상적 췌장을 가진 돼지 탄생 성공(도쿄대 나카우치 교수팀, 메이지대 나가시마 교수팀, 2013년) 다능성 줄기세포를 돼지의 배아에 넣은 형태의 인간-돼지 키메라 세포를 세계 최초로 개발(미국 소크연구소 후안 벨몬테 교수팀, 2017년, Cell지 발표) 인간 줄기세포를 원숭이 배아에 주입해 키운 ‘인간 원숭이 혼합 배아’가 세계 최초로 제작(미국 소크연구소 후안 벨몬테 교수팀, 쿤밍과기대 지웨이즈 교수팀, 2021년)
-
국내 기술개발동향
의료용으로 최적화된 돼지의 몸 안에 사람에게 이식 가능한 조직과 장기를 생산하는 연구가 대학 내 기관생명연구윤리위원회(IRB) 심의 통과(건국대 인간화돼지 연구센터, 2019년) 무균돼지의 췌도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연구자 임상시험 추진(서울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2020년)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전 세계적으로 강력히 요구되는 대체 장기의 해결로 관련 연구 성과에 따른 막대한 경제·산업적 효과가 기대
-
사회적 기대효과
장기 이식을 필요로 하는 전 세계 수많은 환자의 장기이식 수술 가능성 및 대기 시간의 단축으로 생명 연장의 사회적 효과가 기대
-
필요 사항
줄기배아 실험체를 이용함에 따른 생명 존엄성 등 윤리적 문제 해결키메라 동물체에 대한 번식 등에 따른 부작용 통제줄기세포의 특정 장기 발달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 규명 및 활용인수 공통 전염병 등에 대한 연구이종 장기 이식에 따른 면역거부 반응 회피 또는 최소화 연구이종 장기 이식에 관한 법적, 사회적 규제 동의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405 | 2건 |
2023년 | 1,121.74 | 4건 |
2022년 | 2,720.08 | 7건 |
2021년 | 2,263 | 5건 |
2020년 | 1,588 | 4건 |
2012년 | 80 | 1건 |
2011년 | 80 | 1건 |
2009년 | 67 | 1건 |
2008년 | 80 | 1건 |
2007년 | 100 | 1건 |
2006년 | 540 | 4건 |
2005년 | 410 | 3건 |
2004년 | 320 | 2건 |
2003년 | 394 | 2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이종장기 캡슐화 자동 시스템 개발 및 효능 검증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BRIDGE융합연구개발사업 | 117 | 1711175307 |
2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신약장기사업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67 | 1345109249 |
3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190 | 1350013513 | |
4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437.25 | 1711177401 |
5 | 이종장기 이식의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3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57 | 1350020079 | |
6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4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90 | 1350013065 | |
7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66551 |
8 | 이종장기 이식 연구 협력체 구축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2023 | 보건복지부 |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 | 이종고형장기 기술개발 | 225 | 1465040250 |
9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차세대바이오그린21) | 충북대학교 | 2011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80 | 1395022198 |
10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7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 |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 100 | 1355052860 |
11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90 | 1350020900 | |
12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신약장기사업 |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 80 | 1345076640 |
13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3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237 | 1350007184 | |
14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R&D) | 재생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238 | 1711149565 |
15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충북대학교 | 2012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80 | 1395028185 |
16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 | 2710011664 |
17 | 이종장기 이식 연구 협력체 구축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2024 | 보건복지부 |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 | 이종고형장기 기술개발 | 225 | 2460000925 |
18 | 이종장기 이식의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4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30 | 1350012783 | |
19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81013 |
20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30273 |
21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10952 |
22 | 이종장기 바이러스 안전성 평가 | 강원대학교 | 2006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안전연구개발 | 120 | 1470000162 | |
23 | 이종장기 조직 적합성 평가 | 서울대학교 | 2006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안전연구개발 | 100 | 1470001301 | |
24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477 | 1711202239 |
25 | 이종 장기이식에서 NKT 세포의 기능 규명 및 조절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130 | 1350013514 | |
26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성균관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150 | 1711158140 |
27 | 이종 장기 이식의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30 | 1350020899 | |
28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주)옵티팜 | 2022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800 | 1465036323 |
29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113 | 1711119241 |
30 |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Mini pig에서의 췌도 세포 분리기술의 확보 및 도 세포 micro-encapsulation을 통한 성공적인 이종 장기 이식의 발판 구축 및 임상적용 | 세종대학교 | 2005 | 중소기업청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90 | 1420009134 | |
31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주)옵티팜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600 | 1465031377 |
32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삼성서울병원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675 | 1465031375 |
33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900 | 1465033024 |
34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성균관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125 | 1711131304 |
35 | 이종 장기 탈세포화 기술을 이용한 임상 등급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제조 자동화 및 각막 질환 치료제 개발 | 주식회사 바이오브릭스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7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115.83 | 1425170631 |
36 | 이종 장기 탈세포화 기술을 이용한 임상 등급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제조 자동화 및 각막 질환 치료제 개발 | 주식회사 바이오브릭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7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219.74 | 1425182886 |
37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주)옵티팜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800 | 1465033505 |
38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삼성서울병원 | 2022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900 | 1465036555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3.62 | 118건 |
2023년 | 28.37 | 157건 |
2022년 | 30.28 | 168건 |
2021년 | 31.66 | 174건 |
2020년 | 30.63 | 169건 |
2019년 | 29.44 | 147건 |
2018년 | 27.46 | 147건 |
2017년 | 26.53 | 133건 |
2016년 | 26.42 | 122건 |
2015년 | 23.68 | 122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이종장기 캡슐화 자동 시스템 개발 및 효능 검증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BRIDGE융합연구개발사업 | 117000000 | 117 | 1711175307 |
2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신약장기사업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67000000 | 67 | 1345109249 |
3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190000000 | 190 | 1350013513 | |
4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437250000 | 437.25 | 1711177401 |
5 | 이종장기 이식의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3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57000000 | 157 | 1350020079 | |
6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4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90000000 | 190 | 1350013065 | |
7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66551 |
8 | 이종장기 이식 연구 협력체 구축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2023 | 보건복지부 |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 | 이종고형장기 기술개발 | 225000000 | 225 | 1465040250 |
9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차세대바이오그린21) | 충북대학교 | 2011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80000000 | 80 | 1395022198 |
10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7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 |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 100000000 | 100 | 1355052860 |
11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90000000 | 190 | 1350020900 | |
12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신약장기사업 |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 80000000 | 80 | 1345076640 |
13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서울대학교 | 2003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237000000 | 237 | 1350007184 | |
14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R&D) | 재생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238000000 | 238 | 1711149565 |
15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충북대학교 | 2012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80000000 | 80 | 1395028185 |
16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000000 | 180 | 2710011664 |
17 | 이종장기 이식 연구 협력체 구축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2024 | 보건복지부 |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 | 이종고형장기 기술개발 | 225000000 | 225 | 2460000925 |
18 | 이종장기 이식의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4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30000000 | 130 | 1350012783 | |
19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81013 |
20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30273 |
21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대구한의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10952 |
22 | 이종장기 바이러스 안전성 평가 | 강원대학교 | 2006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안전연구개발 | 120000000 | 120 | 1470000162 | |
23 | 이종장기 조직 적합성 평가 | 서울대학교 | 2006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안전연구개발 | 100000000 | 100 | 1470001301 | |
24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477000000 | 477 | 1711202239 |
25 | 이종 장기이식에서 NKT 세포의 기능 규명 및 조절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130000000 | 130 | 1350013514 | |
26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성균관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150000000 | 150 | 1711158140 |
27 | 이종 장기 이식의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30000000 | 130 | 1350020899 | |
28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주)옵티팜 | 2022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800000000 | 800 | 1465036323 |
29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113000000 | 113 | 1711119241 |
30 |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Mini pig에서의 췌도 세포 분리기술의 확보 및 도 세포 micro-encapsulation을 통한 성공적인 이종 장기 이식의 발판 구축 및 임상적용 | 세종대학교 | 2005 | 중소기업청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90000000 | 90 | 1420009134 | |
31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주)옵티팜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600000000 | 600 | 1465031377 |
32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삼성서울병원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675000000 | 675 | 1465031375 |
33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900000000 | 900 | 1465033024 |
34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성균관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125000000 | 125 | 1711131304 |
35 | 이종 장기 탈세포화 기술을 이용한 임상 등급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제조 자동화 및 각막 질환 치료제 개발 | 주식회사 바이오브릭스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7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115834000 | 115.83 | 1425170631 |
36 | 이종 장기 탈세포화 기술을 이용한 임상 등급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제조 자동화 및 각막 질환 치료제 개발 | 주식회사 바이오브릭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7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219736000 | 219.74 | 1425182886 |
37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주)옵티팜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800000000 | 800 | 1465033505 |
38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삼성서울병원 | 2022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 900000000 | 900 | 1465036555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8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이종장기 캡슐화 자동 시스템 개발 및 효능 검증 | 1711175307 | 117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 | BRIDGE융합연구개발사업 | 0건 | 0건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신약장기사업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45109249 | 6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50013513 | 1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1711177401 | 43725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03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이종장기 이식의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1350020079 | 157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04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50013065 | 1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1711166551 | 2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대구한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보건복지부 |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 | 이종장기 이식 연구 협력체 구축 | 1465040250 | 225000000 | 기타 | 대학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1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차세대바이오그린21) | 1395022198 | 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북대학교 | 생명공학 | 분자생리 | 기타분자생리 | 0건 | 0건 |
2007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55052860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50020900 | 1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신약장기사업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45076640 | 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03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이종장기 이식 거부반응 억제를 위한 내피 및 상피세포의 조절 | 1350007184 | 237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R&D)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1711149565 | 238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 | 0건 | 0건 | |||
2012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이종장기 면역거부반응 제어 원천기술 개발 | 1395028185 | 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북대학교 | 생명공학 | 분자생리 | 기타분자생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2710011664 | 1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한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보건복지부 | 이종장기연구개발사업 | 이종장기 이식 연구 협력체 구축 | 2460000925 | 225000000 | 기타 | 대학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04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이종장기 이식의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1350012783 | 1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1711181013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한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1711130273 | 2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대구한의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장 재생을 위한 이종장기 유래 ECM을 이용한 주입형 하이드로젤 (injectable hydrogels) 개발 및 재생 극대화를 위한 이식형 인공신장 제조 기술 개발 | 1711110952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한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06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안전연구개발 | 이종장기 바이러스 안전성 평가 | 1470000162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원대학교 | 0건 | 0건 | |||
2006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안전연구개발 | 이종장기 조직 적합성 평가 | 1470001301 | 10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이종장기 유래 탈세포화 된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기반 다중 방향 수축성 심장 근육 조직체 프린팅 기술 개발 | 1711202239 | 47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이종 장기이식에서 NKT 세포의 기능 규명 및 조절기술 개발 | 1350013514 | 1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1711158140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0건 | 0건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이종 장기 이식의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기전 규명 및 조절 기술 개발 | 1350020899 | 1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1465036323 | 80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옵티팜 | 의약품 | 제조기술 | 생산기술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1711119241 | 113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0건 | 0건 |
2005 | 중소기업청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Mini pig에서의 췌도 세포 분리기술의 확보 및 도 세포 micro-encapsulation을 통한 성공적인 이종 장기 이식의 발판 구축 및 임상적용 | 1420009134 | 9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세종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1465031377 | 60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옵티팜 | 의약품 | 제조기술 | 생산기술 | 0건 | 0건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1465031375 | 675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타 기초 및 임상의학 관련기술 | 0건 | 0건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1465033024 | 90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타 기초 및 임상의학 관련기술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이종 장기에 대한 "T세포 비의존" 항체 면역반응 모니터링 | 1711131304 | 125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면역기전제어기술개발 | 0건 | 0건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이종 장기 탈세포화 기술을 이용한 임상 등급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제조 자동화 및 각막 질환 치료제 개발 | 1425170631 | 115834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바이오브릭스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세포 및 조직치료제 | 0건 | 0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이종 장기 탈세포화 기술을 이용한 임상 등급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제조 자동화 및 각막 질환 치료제 개발 | 1425182886 | 219736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바이오브릭스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세포 및 조직치료제 | 0건 | 0건 |
2021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이종 장기 이식용 장기 친화적 형질전환 돼지 생산 | 1465033505 | 80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옵티팜 | 의약품 | 제조기술 | 생산기술 | 0건 | 0건 |
2022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영장류 비임상시험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프로토콜 정립 | 1465036555 | 90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타 기초 및 임상의학 관련기술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