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조직화 다세포 구조Selforganizing multicelluar structures
-
기술 정의
합성유전자회로(synthetic genetic circuits)를 설계하여 생물의 능력을 모방할 수 있는 맞춤형 3D 구조(조직)를 제작하는 기술
-
기술장점
생물의 능력을 모방할 수 있는 재료 제작이 가능하여 맞춤형 생체물질, 조직 및 대체장기 개발에 기여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세포-세포 간 신호전달을 폭넓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위적 다세포구조 및 기관 유도생체 자기조립 3D 구조 제작기술 확보
향후 10년 : 간단한 다세포조직 합성맞춤형 생체기관을 제작할 수 있는 유전자 프로그래밍 기술 확보자기조립화 다세포 구조물의 분석과 평가기술 확보
-
요소 기술
1) 세포-세포 간 신호전달 분석기술
- 개별 세포와 세포 간 신호전달 정보의 통합적 분석기술 합성유전자회로 설계를 통한 세포 간 신호전달물질 발현기술
- 세포 간 신호전달을 이용하여 자기조립화가 가능한 세포를 제작할 수 있는 유전자회로 프로그래밍 합성생물학기술
2) 합성형태학(synthetic morphology)기술
- 합성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세포가 세포 간 작용과 신호전달을 통해 다세포 구조를 형성하거나 세포 전체가 통일된 운동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기술
3) 자기조립화가 가능한 다세포 구조물의 분석 및 평가기술
- 다세포 생체구조물의 생물학적 기능과 활성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기대하는 생체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평가
-
주요 이슈
질병 부위를 새로운 기능의 세포나 장기로 대체하는 바이오장기 이식을 위해서는 치료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세포, 조직, 장기 등의 대량 생산이 필수 - 세포를 프로그램하여 다세포 조직과 기관을 원하는 크기나 기능을 갖도록 인위적으로 엔지니어링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필요 - 현재는 세포분화 과정에서 조직이나 기관을 형성하는 분자기전의 이해가 부족하여 인위적인 다세포 조직이나 기관을 형성하는 기술개발이 미비한 상황
-
해외 기술개발동향
합성형태학적 접근을 통해 맞춤형 다세포 조직과 기관을 합성 제조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
세포 간 신호전달을 이용하고 세포 간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의 발현을 통해 세포 간 결합과 군집을 형성하여 3D 구조화를 인위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개발
합성생물학 기술인 유전자회로 프로그래밍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간 인위적 작용이 가능한 합성세포를 통한 다세포구조화 성공(미국, Science, 2018)
-
국내 기술개발동향
국내에서 자기조립능력을 갖는 다세포 조직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되고 있지 않으나, 일부 세포 간 신호전달 기전 및 체계에 대한 기초연구 수행 중
메카노-제네틱스(mechanogenetics) 기술을 활용하여 세포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기술개발(IBS 나노의학연구단)
- 메타노제네틱스 기술은 자성 나노입자를 사용해서 세포 표면의 소통 (커뮤니케이션) 분자를 피코 뉴턴 수준의 미세한 기계적인 힘으로 자극하여 세포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기술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글로벌 암 치료제(처방의약품+일반의약품) 매출은 2017년 1,040억 달러(약 116.8조원)에서 2024년 2,330억 달러(261.7조원)로 성장할 전망 * 출처 :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18, Outlook to 2024, 2018국내 암 관련 사회경제적 부담은 2002년 11.3조원 수준에서 2009년 22.1조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 * 출처 : 중앙일보, 암 관련 경제적 비용 年 22조…"죽음보다 치료비가 더 두려워", 2016
-
사회적 기대효과
암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적으로 비록 수술적, 화학적, 방사선치료 등으로 암을 물리적으로 제거할수 있으나, 건강한 조직의 피해 없이 선별적으로 암조직만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광의학적 암 치료기술은 이러한 어려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여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필요 사항
광의학 치료기술은 바이오 뿐만 아니라 나노공학, 의공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 기술이 융합되어야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학제 관점의 연구와 기술개발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15년 | 34.99 | 1건 |
2014년 | 34.99 | 1건 |
2013년 | 34.99 | 1건 |
2012년 | 34.99 | 1건 |
2011년 | 34.99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34.99 | 1345235167 |
2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34.99 | 1345160477 |
3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34.99 | 1345175100 |
4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34.99 | 1345220518 |
5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34.99 | 9991001578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0.52 | 96건 |
2023년 | 19.8 | 109건 |
2022년 | 17.03 | 108건 |
2021년 | 16.74 | 104건 |
2020년 | 14.88 | 92건 |
2019년 | 10.91 | 69건 |
2018년 | 7.47 | 54건 |
2017년 | 5.68 | 34건 |
2016년 | 4.2 | 25건 |
2015년 | 2.79 | 22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34988000 | 34.99 | 1345235167 |
2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34990000 | 34.99 | 1345160477 |
3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34988000 | 34.99 | 1345175100 |
4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34988000 | 34.99 | 1345220518 |
5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창원대학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34988000 | 34.99 | 9991001578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5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1345235167 | 34988000 | 기초연구 | 대학 | 창원대학교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1345160477 | 349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1345175100 | 34988000 | 기초연구 | 대학 | 창원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0건 | 0건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1345220518 | 34988000 | 기초연구 | 대학 | 창원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0건 | 0건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Pseudomonas 다세포 구조체의 분화 연구 | 9991001578 | 34988000 | 기초연구 | 대학 | 창원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I)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