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마이크로바이옴Biocrusts microbiome
-
기술 정의
생물지각 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파악하고 개발하여 건강한 토양 생태계를 유지
-
기술장점
탄소, 질소 등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과 토양 내 영양수준을 유지하여 토양 안정성, 동식물 보존 등 건강한 토양 생태계 보존 및 복원에 기여
-
실현 시기
향후 5년 : 마이크로바이옴과 토양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마이크로바이옴-토양 모사시스템 구축
향후 10년 : 마이크로바이옴 대규모 배양 및 대용량 배양 기술 개발과 토양 생태시스템 제어기술 확립
-
요소 기술
1) 마이크로바이옴-토양 상호작용 기반 시스템 구축 기술 - 기후변화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토양 상호작용의 이해 - 다양한 지리학적 특성을 갖는 토양 샘플로부터 세균 및 곰팡이 집락의 메타지놈, 화학, 바이오매스를 분석하는 기술 - 마이크로바이옴-토양 생애주기 안정성, 회복성 이해를 위한 메커니즘 연구 - 건강한 바이오 클러스터를 위한 유효 마이크로바이옴 발굴 및 마이크로바이옴-토양 모사시스템 구축 2) 마이크로바이옴 대규모 배양 및 대용량 배양 기술 - 배양 불가능 유효 미생물의 대규모 배양 기술 - 유효 미생물의 대용량 배양 및 저장 기술 - 마이크로바이옴 원료 제조를 위한 공정관리 기술 3)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지구환경 및 토양 생태시스템 제어 기술 -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토양 생태시스템의 복원 기술 -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토양 생태시스템의 보존 기술(적절한 영양 상태, 침투수 수준 유지) -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토양 내 영양분 순환, 탄소 저장 및 순환, 질소 순환 (biogeochemical cycling) 제어 기술
-
주요 이슈
마이크로바이옴 기반기술은 식품, 의약, 진단 제품, 작물의 생산성 증진과 병충해 예방, 동식물들의 건강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기반기술의 공통된 요소기술을 개발하면 관련 산업과 동반 성장 가능
-
해외 기술개발동향
미국은 2007년부터 국립보건원(NIH) 주도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Human Microbiome Project)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연구기반 구축 - 미생물을 구성하는 물질과 미생물이 만드는 다양한 대사물질뿐 아니라 서식환경까지 포함하는 등 마이크로바이옴의 의미가 확장되는 추세 - 2016년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National Microbiome Initiative)를 발표하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추진 - 최근 기후변화가 토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마이크로바이옴-토양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연구들이 발표됨(Nature Reviews Microbiology, 2020; ISME Coomunications, 2022; BMC Microbilogy, 2022)
-
국내 기술개발동향
정부는 2023년부터 2033년까지 향후 10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 추진계획을 발표 -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 대한 정부 투자는 2016년 217억원 규모에서 2020년 774억원 규모로 증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를 특정하여 중점 육성하기 위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고 산발적이고 분산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짐 -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개별 연구자의 기초연구 중심 - 토양 생태계 관련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은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가축 생산, 작물 생장, 토양 개량에 유용한 미생물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음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은 농업, 환경, 식품, 제약 등의 연관 사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향후 과학기술의 핵심 분야로 산업 전분야로 확산될 기술로 평가
-
사회적 기대효과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기반기술 개발을 통하여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 식량문제 해결에 기대
-
필요 사항
2023년부터 10년간 추진될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 기술개발을 위한 국가 차원의 근거 기반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단계적 연구진흥 계획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구축과 표준 연구프로세스 정립을 위한 공공성 기반의 인프라 시스템 구축산업화를 위한 국제표준의 설정과 규제 개선 마련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54.6 | 1건 |
2023년 | 271.4 | 4건 |
2022년 | 302.5 | 3건 |
2021년 | 350.6 | 4건 |
2020년 | 403 | 3건 |
2019년 | 108.7 | 1건 |
2018년 | 112.7 | 2건 |
2017년 | 3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19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47043 |
2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57649 |
3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 | 1545019651 |
4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42231 |
5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219.3 | 1711106519 |
6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 | 1345322442 |
7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82.7 | 1545017461 |
8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 | 2340007204 |
9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 | 1545020825 |
10 |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매립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변화와 토양개선 및 시비효과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8.1 | 1711135461 |
11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 | 1345363974 |
12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2.5 | 1345365966 |
13 | 토양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방선균의 쿼럼센싱 물질 분석 | 덕성여자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30 | 1711056203 |
14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53837 |
15 | 필터 배양법을 이용한 토양 질산화 마이크로바이옴 배양 | 충북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일반) | 118.9 | 1711195087 |
16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45396 |
17 | 토양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방선균의 쿼럼센싱 물질 분석 | 덕성여자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사업 | 30 | 1711069162 |
18 | 토양미생물군유전체(Soil Microbiome) 이식기술 개발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 적용성 연구 | 고려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 | 1345365436 |
19 | 토양미생물군유전체(Soil Microbiome) 이식기술 개발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 적용성 연구 | 고려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33420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5.28 | 140건 |
2023년 | 25.73 | 155건 |
2022년 | 23.76 | 156건 |
2021년 | 21.96 | 142건 |
2020년 | 14.75 | 121건 |
2019년 | 6.78 | 98건 |
2018년 | 3.99 | 73건 |
2017년 | 3.74 | 55건 |
2016년 | 3.64 | 40건 |
2015년 | 2.41 | 28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19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47043 |
2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57649 |
3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00000 | 108.7 | 1545019651 |
4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42231 |
5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219300000 | 219.3 | 1711106519 |
6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000000 | 75 | 1345322442 |
7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82700000 | 82.7 | 1545017461 |
8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00000 | 54.6 | 2340007204 |
9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00000 | 108.7 | 1545020825 |
10 |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매립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변화와 토양개선 및 시비효과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8097000 | 48.1 | 1711135461 |
11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000000 | 70 | 1345363974 |
12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2500000 | 12.5 | 1345365966 |
13 | 토양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방선균의 쿼럼센싱 물질 분석 | 덕성여자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30000000 | 30 | 1711056203 |
14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53837 |
15 | 필터 배양법을 이용한 토양 질산화 마이크로바이옴 배양 | 충북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일반) | 118900000 | 118.9 | 1711195087 |
16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전남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45396 |
17 | 토양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방선균의 쿼럼센싱 물질 분석 | 덕성여자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사업 | 30000000 | 30 | 1711069162 |
18 | 토양미생물군유전체(Soil Microbiome) 이식기술 개발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 적용성 연구 | 고려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000000 | 70 | 1345365436 |
19 | 토양미생물군유전체(Soil Microbiome) 이식기술 개발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 적용성 연구 | 고려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33420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19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1345347043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1711157649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1545019651 | 1087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생물농약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1711142231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개질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 및 질소비료 효율 증진법 연구 | 1711106519 | 2193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1345322442 | 7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1545017461 | 827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생물농약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2340007204 | 54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1545020825 | 1087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생물농약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매립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변화와 토양개선 및 시비효과 연구 | 1711135461 | 48097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1345363974 | 70000000 | 대학 | 연세대학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1345365966 | 12500000 | 대학 | 전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토양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방선균의 쿼럼센싱 물질 분석 | 1711056203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덕성여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생애 첫 연구사업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수지상 균근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다중상호작용을 활용한 생물학적 토양탄소 격리에 관한 연구 | 1345353837 | 5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필터 배양법을 이용한 토양 질산화 마이크로바이옴 배양 | 1711195087 | 118900000 | 대학 | 충북대학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토양 내 철 산화물 및 중금속 거동에 미치는 마이크로바이옴 역할 및 이용 연구 | 1345345396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토양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방선균의 쿼럼센싱 물질 분석 | 1711069162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덕성여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생애 첫 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토양미생물군유전체(Soil Microbiome) 이식기술 개발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 적용성 연구 | 1345365436 | 70000000 | 대학 | 고려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토양미생물군유전체(Soil Microbiome) 이식기술 개발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 적용성 연구 | 1345333420 | 5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