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광합성기구 기능 향상기술Engineering plant photosynthesis
-
기술 정의
식물의 광합성을 담당하는 기구의 기능을 개선하여 광합성 효율이 향상된 작물 등을 제작하는 기술
-
기술장점
다양한 식물 종에 도입할 수 있는 범용성을 기반으로 식물이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의 총량을 증가시켜 식량 및 바이오소재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식물 광합성 효소 디자인 및 유전자 치환 기술 등 기반기술 개발
향후 10년 : 생산성이 극대화된 식물체의 개발 및 재배를 통해 풍부한 식물 유래 소재 및 식량자원 확보
-
요소 기술
1) 광합성 효소 디자인 기술 - AI 기반의 정밀한 단백질 구조 예측기술을 바탕으로 광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고효율 효소를 제작하는 기술 - 광합성 기구는 종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아 기존 생물의 효소를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어 단백질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술 2) 유전자 치환 기술 - 내재 유전자를 제거하고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는 기술 - 고효율의 광합성 효소를 디자인하여 도입한다고 해도 기존에 존재하는 내재효소와 경쟁이 발생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 내재 유전자를 제거하고 새로운 효소 유전자를 도입하는 유전자 치환 기술 3) 식물 형질전환 및 재분화 기술 - 식물 종과 관계없이 단일세포에서 식물체로 분화시킬 수 있는 범용성 분화 조절 기술 - 식물 내 유전자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단일세포에 도입한 후 식물체로 분화를 유도해야 하지만 현재 식물 종에 따라 분화 장벽이 존재하여 일부 품종만 이 과정이 가능한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
주요 이슈
식물의 개량은 육종을 통해 이뤄져 왔지만 현대에 들어 한계에 봉착했으나, 광합성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극복 가능
-
해외 기술개발동향
영국 에식스대학 RIPE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고정에 관련된 효소와 에너지 전달체계 단백질을 동시 과발현시키는 방식으로 식물의 광합성 효율을 최대 27% 향상시킨 결과를 발표(Nature Plants 6, 1054-1063, 2020) - 식물 광합성 시스템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되는 효소로 SBPase를 지목 -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은 남세균의 SBPase와 동시에 효소에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단백질인 cytochrome C6를 도입하여 식물의 광합성 효율이 향상된 사례 보고 미국 일리노이 대학 Long 교수 연구팀은 식물 내 광보호 시스템의 on/off 전환속도를 빠르게 하여 광합성 효율을 최대 15% 향상(Science, 354, 857-861, 2016) - 식물 내 광보호 시스템은 빛의 세기가 지나치게 강하면 광합성을 일시정지 시키지만 다시 가동시키는 시간적 딜레이가 커 광합성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됨 - 광보호 시스템의 전환에 관여하는 3가지 효소의 동시 과발현을 통해 식물의 광보호 시스템 전환 속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광합성 효율이 향상
-
국내 기술개발동향
포항공과대학에서 농촌진흥청의 지원으로 탄소대사 개선 기술 개발 연구 진행 - 엽록체의 분열 과정이나 고효율 광합성 시스템을 가진 C4 식물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광합성 유전자의 기능 규명 충남대학교에서 남세균 유전자를 식물에 적용하여 광합성 효율을 향상 - 광합성 기구를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색소 관련 유전자 등 6개 남세균 유전자의 유용성 검증 신라대학교에서 식물공장 광원의 색조합 연구를 통해 광합성 활성화에 최적인 조합을 찾아냄 - 식물의 품종에 따라 필요한 빛의 파장별 연구를 통해 광합성 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조합을 연구 국내에서는 간헐적으로 광합성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원리 규명에서 그칠 뿐 실질적으로 광합성 기구를 개량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매우 부족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광합성 기구의 개량을 통해 효율이 향상된 식물은 현재와 같은 투자 비용으로 50% 이상 향상된 생산 효율을 낼 수 있어 식물을 활용한 그린바이오산업 활성화전 세계 25조원에 달하는 생명공학 종자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핵심 기술
-
사회적 기대효과
식물공장에 적용할 경우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노지 농업을 대체할 미래 농업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한정된 토지의 활용도를 다양화 시킬 수 있음고효율·고생산 식물체를 공급하여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문제가 심각한 국가의 기아문제 해결 및 식량 자급률 향상
-
필요 사항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장기간의 연구 투자 필요생명공학 작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규제개선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17년 | 49.76 | 1건 |
2016년 | 49.76 | 1건 |
2015년 | 49.76 | 1건 |
2007년 | 30 | 2건 |
2005년 | 52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6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부산대학교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 국제연구인력교류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5 | 1345059937 |
2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부산대학교 | 2005 | 교육인적자원부 | 해외과학기술인력유치활용 | 52 | 1340026807 | |
3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부산대학교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 국제연구인력교류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5 | 1345059942 |
4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제주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49.76 | 1345261789 |
5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제주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49.76 | 1345248429 |
6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제주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49.76 | 1345234290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65.71 | 141건 |
2023년 | 56.37 | 158건 |
2022년 | 26.72 | 165건 |
2021년 | 28.13 | 168건 |
2020년 | 24.16 | 167건 |
2019년 | 20.12 | 173건 |
2018년 | 22.04 | 177건 |
2017년 | 22.43 | 166건 |
2016년 | 24.29 | 162건 |
2015년 | 24.95 | 150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6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부산대학교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 국제연구인력교류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5000000 | 15 | 1345059937 |
2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부산대학교 | 2005 | 교육인적자원부 | 해외과학기술인력유치활용 | 52000000 | 52 | 1340026807 | |
3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부산대학교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 국제연구인력교류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5000000 | 15 | 1345059942 |
4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제주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49764000 | 49.76 | 1345261789 |
5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제주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49764000 | 49.76 | 1345248429 |
6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제주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49764000 | 49.76 | 1345234290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6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 국제연구인력교류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345059937 | 15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0건 | 0건 | |||
2005 | 교육인적자원부 | 해외과학기술인력유치활용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340026807 | 52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0건 | 0건 |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 국제연구인력교류 |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광합성 기구의 광억제와 광산화에 대한 방어 및 조절 기구 관련 벼 기능성 유전체 연구 | 1345059942 | 15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0건 | 0건 |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1345261789 | 49764000 | 기초연구 | 대학 | 제주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1345248429 | 49764000 | 기초연구 | 대학 | 제주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광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광합성 작물개발 | 1345234290 | 49764000 | 기초연구 | 대학 | 제주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