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in vivo Genome editing
-
기술 정의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하여 개체 내 세포를 대상으로, 그 내부의 특정 유전자를 편집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
-
기술장점
근본적인 해결책이 없는 희귀유전질환이나 치료효율이 낮은 난치질환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법 제공
-
실현 시기
향후 5년 : ~2023년 :최초의 in vivo 치료 임상실험인 Hunter증후군 치료제의 임상완료간질환, 근육질환, 청각장애 등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다양한 유전질환에 대한 전임상 시도
향후 10년 : ~2028년 : in vivo 치료제 5건 이상 임상승인유전자교정 아기의 탄생 (단, 법적 문제가 해결될 경우)
-
요소 기술
1) 효과적인 유전자가위 기술
- 기존 ZFN, TALEN, CRISPR 기술의 유전자편집 효율 및 HDR을 이용한 유전자 교정 효율의 향상
- 새로운 차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의 개발
2) in vivo gene delivery 기술
- 다양한 serotype의 AAV 계열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삽입 및 유전자 전달
- 효과적인 packaging을 위한 유전자가위 소형화 기술
- non-viral delivery 기술 개발 (lipid, electroporation, hydrodynamics, chemicals 등)
3) Off-target 조절기술
- eSpCas9, HF-Cas9 등 엔지니어링된 유전자가위
- Base editor를 사용하여 DNA 절단없이 특정 염기만을 교정하는 기술
* 의도되지 않은 타겟의 유전자편집을 막는 치료제의 안전성 확보
-
주요 이슈
치료책이 없거나 대증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희귀유전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 요구 증가 기존 약물치료 방법으로는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운 난치성질환*에 대해 보다 높은 치료효과를 보이는 치료제의 요구 상존 * 말기암 등보다 안전한 유전자가위 기술에 대한 요구와 기술적 발전 필요성 대두
-
해외 기술개발동향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유전자편집기술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을 진행
- (미국) Sangamo사에서 ZFN을 활용한 최초의 in vivo치료 임상진행 (Hunter증후군), NIH에서 3세대 유전자가위기술 CRISPR 기반 임상시험 계획 승인
- (중국) PD1유전자 편집된 T-Cell로 임상연구 진행 중
- 유전성 빈혈치료 전임상 결과가 긍정적이며 향후 임상진입 계획
유전자가위 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 관련 이슈 제기
- 기술의 off-target 정도를 측정하고 개선하여 치료제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연구 진행
- 최초 생식세포 대상 유전자교정 연구 발표 (Nature, ’17.8.)
- 병해충을 박멸할 수 있는 Gene drive기술의 개발 및 논란
-
국내 기술개발동향
유전자가위 기술의 혈우병 치료 가능성 제시
김진수 교수팀이 CRISPR기술의 국내 특허권을 확보하였으며, 새로운 4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의 국내, 국외 특허권 확보 (생명연)
생명윤리법 개정을 통해 유전자편집 기반 치료제 개발 움직임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유전자 가위기술 적용 치료제를 포함한 유전자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64.7%의 성장률을 기록, 그 성장속도가 폭발적일 것으로 전망 * 출처 : Global industry Analysts, Gene Therapy, 2012상가모 테라퓨틱스(Sangamo Therapeutics)사는 헌터증후군 환자 대상 인체 내 유전자 편집 치료제를 주입하는 임상시험을 실시 - 환자의 체내에서 직접적으로 세포 내 DNA를 정확하게 편집(in vivo gene editing)하기 위한 시술이 최초로 이뤄진 것으로, 새로운 형태의 유전자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안 - 치료법의 효능이 입증되고 심각한 부작용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삽입되는 유전자를 교체하여 다른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출처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세계 최초의 인체 내 유전자 편집 임상시험, 2017
-
사회적 기대효과
기존 치료 소외 계층에 대한 새로운 치료의 기회 부여로 국민 보건향상 및 치료 민주화 선도글로벌화와 고령화로 확대되고 있는 감염성 질환과 난치성질환에 대한 치료제공으로 전체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필요 사항
생식세포 또는 배아교정에 관한 법의 미비로 인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윤리적, 법적, 사회적 논의의 확대와 관련법 제정 필요성 증대아직 현저히 낮은 유전자가위 기술 투자에 대한 확대유전자가위 기술과 더불어 in vivo delivery를 위한 다양한 유전자전달기술의 동반 발전이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861 | 4건 |
2023년 | 549.65 | 4건 |
2022년 | 481.5 | 6건 |
2021년 | 1,047.11 | 8건 |
2020년 | 841.19 | 6건 |
2019년 | 360 | 5건 |
2018년 | 310 | 3건 |
2017년 | 213.45 | 4건 |
2016년 | 112.5 | 2건 |
2015년 | 150 | 1건 |
2014년 | 150 | 1건 |
2013년 | 92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4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63338 |
2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13126 |
3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한양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유전자가위 기술 기반 퇴행성 질환 맞춤형 줄기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 92 | 1711005138 |
4 |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소형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개발 및 검증 | 연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54 | 2340001480 |
5 |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소형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개발 및 검증 | 연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 | 1345374604 |
6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연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사회밀착형지원 | 150 | 1711028047 |
7 | 생체 내 유전자 기능 검증을 위한 Cas9 유전자 가위 발현 돼지 개발 | 국립축산과학원 | 2024 | 농촌진흥청 | 축산시험연구 | 축산생명환경연구 | 226 | 2390000930 |
8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46780 |
9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한양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150 | 1711020107 |
10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2.65 | 1711182004 |
11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연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 | 1345342883 |
12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 | 1345348245 |
13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보호연구지원사업 | 101.4 | 2340003921 |
14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37.5 | 1345262271 |
15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38.79 | 1711127280 |
16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9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210 | 1465028200 |
17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6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100 | 1465020640 |
18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보호연구지원사업 | 97.5 | 1345332764 |
19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 | 1345278500 |
20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20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210 | 1465030350 |
21 | 물벼룩 Daphnia magna에서 CRISPR/Cas9 매개 유전자 타켓팅을 통한 비소 생체 내 대사기작 비교 연구 | 성균관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34097 |
22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 | 1345312650 |
23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보호연구지원사업 | 130 | 1345350471 |
24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연세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 | 1345300181 |
25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 | 1345294315 |
26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 | 1345317106 |
27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8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210 | 1465025591 |
28 | 차세대 지질나노입자 기반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전자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 |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기반기술개발 | 267 | 1711198606 |
29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 | 1345342522 |
30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2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4년~5년) | 12.5 | 1345352572 |
31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연세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00 | 1345312367 |
32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7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 희귀난치성질환유전자치료기반기술개발 | 140 | 1465022847 |
33 | 물벼룩 Daphnia magna에서 CRISPR/Cas9 매개 유전자 타켓팅을 통한 비소 생체 내 대사기작 비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59396 |
34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보호연구지원사업 | 130 | 1345362958 |
35 | 차세대 지질나노입자 기반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전자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 |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기반기술개발 | 479.6 | 2710002749 |
36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6.5 | 1711166705 |
37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211.19 | 1415169739 |
38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 | 1345300179 |
39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 | 1345344829 |
40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478.32 | 1415174589 |
41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9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25 | 1465029329 |
42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50 | 1465026452 |
43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25 | 1465024128 |
44 | CRISPR/Cas9기반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용 in vivo gene editing (생체 내 유전자적중) 기술 개발 | 동국대학교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95 | 1345259643 |
45 | CRISPR/Cas9기반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용 in vivo gene editing (생체 내 유전자적중) 기술 개발 | 동국대학교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2.5 | 1345250418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56.19 | 796건 |
2023년 | 265.58 | 947건 |
2022년 | 242.28 | 977건 |
2021년 | 243.31 | 1056건 |
2020년 | 233.77 | 1044건 |
2019년 | 209.18 | 1025건 |
2018년 | 168.72 | 849건 |
2017년 | 133.73 | 648건 |
2016년 | 94.31 | 425건 |
2015년 | 63.65 | 262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4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63338 |
2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13126 |
3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한양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유전자가위 기술 기반 퇴행성 질환 맞춤형 줄기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 92000000 | 92 | 1711005138 |
4 |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소형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개발 및 검증 | 연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54000000 | 54 | 2340001480 |
5 |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소형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개발 및 검증 | 연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000000 | 30 | 1345374604 |
6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연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사회밀착형지원 | 150000000 | 150 | 1711028047 |
7 | 생체 내 유전자 기능 검증을 위한 Cas9 유전자 가위 발현 돼지 개발 | 국립축산과학원 | 2024 | 농촌진흥청 | 축산시험연구 | 축산생명환경연구 | 226000000 | 226 | 2390000930 |
8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46780 |
9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한양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150000000 | 150 | 1711020107 |
10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2650000 | 122.65 | 1711182004 |
11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연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00000 | 12.5 | 1345342883 |
12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00000 | 12.5 | 1345348245 |
13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보호연구지원사업 | 101400000 | 101.4 | 2340003921 |
14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37500000 | 37.5 | 1345262271 |
15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38794000 | 138.79 | 1711127280 |
16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9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210000000 | 210 | 1465028200 |
17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6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100000000 | 100 | 1465020640 |
18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보호연구지원사업 | 97500000 | 97.5 | 1345332764 |
19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000000 | 50 | 1345278500 |
20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20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210000000 | 210 | 1465030350 |
21 | 물벼룩 Daphnia magna에서 CRISPR/Cas9 매개 유전자 타켓팅을 통한 비소 생체 내 대사기작 비교 연구 | 성균관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34097 |
22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000000 | 70 | 1345312650 |
23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보호연구지원사업 | 130000000 | 130 | 1345350471 |
24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연세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00000 | 37.5 | 1345300181 |
25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000000 | 50 | 1345294315 |
26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000000 | 50 | 1345317106 |
27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8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희귀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 기반 기술 개발 | 210000000 | 210 | 1465025591 |
28 | 차세대 지질나노입자 기반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전자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 |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기반기술개발 | 267000000 | 267 | 1711198606 |
29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4년~5년) | 50000000 | 50 | 1345342522 |
30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2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4년~5년) | 12500000 | 12.5 | 1345352572 |
31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연세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00000000 | 100 | 1345312367 |
32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삼성서울병원 | 2017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 희귀난치성질환유전자치료기반기술개발 | 140000000 | 140 | 1465022847 |
33 | 물벼룩 Daphnia magna에서 CRISPR/Cas9 매개 유전자 타켓팅을 통한 비소 생체 내 대사기작 비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59396 |
34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보호연구지원사업 | 130000000 | 130 | 1345362958 |
35 | 차세대 지질나노입자 기반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전자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 |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기반기술개발 | 479600000 | 479.6 | 2710002749 |
36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6505000 | 106.5 | 1711166705 |
37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211192000 | 211.19 | 1415169739 |
38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00000 | 37.5 | 1345300179 |
39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연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000000 | 50 | 1345344829 |
40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478320000 | 478.32 | 1415174589 |
41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9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25000000 | 25 | 1465029329 |
42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50000000 | 50 | 1465026452 |
43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25000000 | 25 | 1465024128 |
44 | CRISPR/Cas9기반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용 in vivo gene editing (생체 내 유전자적중) 기술 개발 | 동국대학교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952000 | 10.95 | 1345259643 |
45 | CRISPR/Cas9기반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용 in vivo gene editing (생체 내 유전자적중) 기술 개발 | 동국대학교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2500000 | 12.5 | 1345250418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45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1711163338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1711113126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1711005138 | 92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소형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개발 및 검증 | 2340001480 | 54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소형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개발 및 검증 | 1345374604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1711028047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사회밀착형지원 | 0건 | 0건 |
2024 | 농촌진흥청 | 축산시험연구 | 생체 내 유전자 기능 검증을 위한 Cas9 유전자 가위 발현 돼지 개발 | 2390000930 | 226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축산과학원 | 생명공학 | 유전자 기능 및 제어 | 유전자발현조절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응용한 생체 내 RNA 단분자 영상기술 개발 | 1711146780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안전한 유전자 교정법 개발 | 1711020107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1711182004 | 12265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1345342883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1345348245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2340003921 | 1014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보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1345262271 | 375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4년~5년)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1711127280 | 138794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9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1465028200 | 21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16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1465020640 | 100000000 | 개발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1345332764 | 9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보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1345278500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4년~5년) | 0건 | 0건 |
2020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1465030350 | 21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물벼룩 Daphnia magna에서 CRISPR/Cas9 매개 유전자 타켓팅을 통한 비소 생체 내 대사기작 비교 연구 | 1345334097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1345312650 | 7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1345350471 | 1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보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1345300181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1345294315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4년~5년)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1345317106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4년~5년)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R&D)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1465025591 | 21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전자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 | 차세대 지질나노입자 기반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개발 | 1711198606 | 26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1345342522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4년~5년)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In vivo 게놈수준 CRISPR/Cas9 스크린을 이용한 암미세환경이 간세포암 형성 및 전이에 미치는 기전 연구 | 1345352572 | 12500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4년~5년)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헌팅톤 병 모델에서 생체 내 크리스퍼 방해(CRISPRi)를 이용한 돌연변이 HTT 유전자 발현 억제 치료법 개발 | 1345312367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17 | 보건복지부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 유전자가위 치료제의 생체 내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1465022847 | 14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물벼룩 Daphnia magna에서 CRISPR/Cas9 매개 유전자 타켓팅을 통한 비소 생체 내 대사기작 비교 연구 | 1345359396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BMPR2 스플라이스 변이 마우스에서 RNA 전사 오류 교정,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 내 유전자 편집에 의한 치료법 개발 | 1345362958 | 1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보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전자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 | 차세대 지질나노입자 기반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개발 | 2710002749 | 479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전자 편집 닭 생산을 통한 근분화 in vivo 조절 기전 연구 | 1711166705 | 106505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1415169739 | 211192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보건의료융합신서비스 | 제조융합 서비스 | 지식서비스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1345300179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CRISPR/Cas9을 매개로 한 생체 내 knock-in 매커니즘 및 효율 연구 | 1345344829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1415174589 | 478320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보건의료융합신서비스 | 제조융합 서비스 | 지식서비스 | 0건 | 0건 |
2019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1465029329 | 25000000 | 기타 | 출연연구소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1465026452 | 50000000 | 기타 | 출연연구소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분자유전체학 | 0건 | 0건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CRISPR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Base editor)를 이용한 Csn 유전자 조절 cytokine-sensing super-enhancer 및 transcription factor의 in vivo 기능 연구 | 1465024128 | 25000000 | 기타 | 출연연구소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CRISPR/Cas9기반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용 in vivo gene editing (생체 내 유전자적중) 기술 개발 | 1345259643 | 10952000 | 기초연구 | 대학 | 동국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CRISPR/Cas9기반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용 in vivo gene editing (생체 내 유전자적중) 기술 개발 | 1345250418 | 12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동국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