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롱리드 시퀀싱Nextgeneration longread sequencing
-
기술 정의
수십만 개 이상의 DNA/RNA 분자에 담긴 염기서열을 보다 길게, 높은 정확도로 해독하는 기술
-
기술장점
기존 시퀀싱 기술로는 한계가 있었던 염색체 수준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작성이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모든 주요 분류군에 대한 염색체 수준의 참조 유전체 구축 가능
향후 10년 : 비정상 스플라이싱을 활용한 암세포 등의 표적 치료 기반 확보
-
요소 기술
1) 유전체 및 전사체를 길게 해독해 내는 분석기술
- 99.9% 정확도로 수십 kb, 99% 정확도로 수 Mb 정보를 해독하는 기술
- 기존 시퀀싱 기술로는 분석이 어려웠던 반복서열 지역, 특히 텔로미어와 센트로미어 지역의 분석이 가능하며, 전사체 수준에서도 스플라이싱 양상 등을 온전하게 해독 가능
2) 염색체 수준의 고품질 유전체 조립 기술
- 현존하는 어떤 기술로도 염색체에 담긴 염기서열 정보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해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염색체를 이루는 DNA를 적절한 크기로 잘라 분석 후 조립
- 롱리드 시퀀싱을 활용하면 DNA 조각들 사이에서 겹치는 부분을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를 조립해 유전체 정보를 염색체 수준으로 재구성
- 이렇게 확보한 염색체 수준의 DNA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유전체 내에 존재하는 모든 수준의 변이(SNP, SV 등)에 대한 정밀한 검출이 가능하며, DNA 메틸화(methylation)와 같은 후성유전학적 변형도 분석 가능
3) 스플라이싱 수준의 전사체 해독 기술
- 대부분이 수천 염기쌍 수준인 RNA transcript는 한 유전자에서 나왔더라도 스플라이싱에 따라 염기서열이 다른데, 기존 시퀀싱 기법은 transcript의 일부만 해독 가능하여 스플라이싱을 통해 형성된 서로 다른 transcript 구별이 불가
-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 기법은 이를 처음부터 끝까지 해독 가능하여 스플라이싱을 거친 transcript를 온전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단일세포 수준의 해상도로 이러한 분석이 가능해 조직 내 세포 이질성을 스플라이싱 수준에서 이해 가능
-
주요 이슈
유전체 영역에 대한 분석, 개체 사이에서 나타나는 구조 변이에 대한 검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전사체 수준에서도 암노화 조직 등에서 관찰되는 비정상 스플라이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됨 - 또한 구조 변이 및 DNA의 변형, 또는 스플라이싱 및 RNA의 변형을 동시에 분석하고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는 추세
-
해외 기술개발동향
현재 롱리드 시퀀싱에는 Pacific Biosciences(PacBio)와 Oxford Nanopore Technologies(ONT)에서 제공하는 기법이 널리 쓰임 - PacBio는 약 10-20 kb 정도의 DNA에 대한 정보를 99.9% 수준의 높은 정확도로 제공하며, ONT는 최대 1 Mb에 달하는 길이의 DNA 정보를 최대 99%의 정확도로 제공 롱리드 시퀀싱 관련 대규모 연구 사업이 여러 차례 진행 - T2T(telomere-to-telomere) 컨소시엄은 인간 유전체 정보를 염색체 수준으로 빈틈없이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난 2022년 Science에 연구결과를 발표 - 인간 범 유전체 지도 작성 사업(Human Pangenome Project)은 350명의 유전체 지도를 고품질로 확보하여 인구 집단의 유전 변이를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수준의 참조 유전체 제공을 목표로 함. 이 중 47명에 대한 범 유전체 지도 초안을 2023년 Nature에 공개 - GTEx(Genotype-Tissue Expression)에서는 인체 유래물을 활용하여 인간의 일부 조직에 대한 스플라이싱 다양성 정보를 밝히고자 함. 2022년 Nature에 공개된 결과에서 약 7만 개의 transcript를 확보했음을 밝힘
-
국내 기술개발동향
국내에서는 산발적으로 롱리드 시퀀싱 기반 연구가 진행 중 - 특히 한국인에 대한 유전제 정보가 다양하게 확보되고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에 대한 참조 유전체 제작 연구가 추진 중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해당 기술을 통해 참조 유전체 지도 등 합성생물학을 비롯하여 다양한 바이오 산업이 요구하는 기반 정보 확보 가능노화 또는 암 조직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 스플라이싱이나 유전자 조절 양상 추적이 가능해지며, 이러한 데이터는 세포별 신항원을 추적하기 위한 핵심 자료로 신약 개발에 기여 가능
-
사회적 기대효과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을 통하여 희귀유전질환, 고령화에 따른 노인성 질환 등에 대한 치료 가능성 제고
-
필요 사항
롱리드 시퀀싱은 실험 당 소요 경비가 높아 대규모 연구 사업 기획을 통한 초기 연구 결과 확보가 필요. 동일한 플랫폼에서 정규화된 데이터를 생산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출연연구소 중심으로 관련 사업이 기획되고 시작되어야 할 필요다양한 생물의 유전체 지도를 작성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물 확보가 중요.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제적으로 유전체 지도를 제작할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822.73 | 4건 |
2023년 | 190 | 2건 |
2022년 | 275 | 3건 |
2021년 | 200 | 2건 |
2020년 | 232.5 | 3건 |
2019년 | 57.5 | 2건 |
2018년 | 100 | 2건 |
2017년 | 62.5 | 2건 |
관련 R&D 과제 정보 20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60890 |
2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46315 |
3 | Long-read 시퀀싱기법을 이용한 환경호르몬 분해미생물의 전사체 조절인자 연구 | 상지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28070 |
4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연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 | 1711169448 |
5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연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 | 1711118937 |
6 | Long-read 시퀀싱기법을 이용한 환경호르몬 분해미생물의 전사체 조절인자 연구 | 상지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04809 |
7 | Long-read sequencing을 이용한 한국인의 CYP2D6 genotyping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2023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신진의사과학자 양성지원 | 100 | 1465038849 |
8 | 미진단 희귀질환 진단기술 고도화를 위한 long-read 시퀀싱 데이터 생산 | 주식회사 디엔에이링크 | 2024 | 질병관리청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 희귀질환연구인프라구축 | 359.37 | 2770000031 |
9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08627 |
10 | Long-read sequencing을 이용한 한국인의 CYP2D6 genotyping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22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신진의사과학자 양성지원 | 75 | 1465036865 |
11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연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 | 1711141713 |
12 | Short-read와 Long-read 서열 분석 기술을 활용한 ecDNA의 안정된 탐지법 개발 | 한양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 | 2340002032 |
13 | 3세대 시퀀싱 기술과 Hi-C를 활용한 정밀의학용 드 노보 단배체 위상 게놈지도 구축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25 | 1465024010 |
14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37.5 | 1345261630 |
15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최첨단 단일세포 오믹스 라이브러리와 3세대 시퀀싱 라이브러리 제작 및 분석 기술 개발) | 서울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학연구기반구축 | 90 | 1345374155 |
16 | 롱리드 시퀀싱 및 딥러닝 기반 promoter-enhancer interaction 비부호화 유전체 연구를 통한 보조생식기술 연관 자폐장애의 risk enhancer / promoter variant 규명 | 차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77.99 | 2710004503 |
17 | 단일세포 전사체 및 유전체 재배열 패턴등의 분석을 통한 암 유전학 연구를 위한 P2i 나노포어 롱리드 시퀀싱 장비 구축 | 한양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 | 179.37 | 2710017911 |
18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50 | 1345275679 |
19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12.5 | 1345292599 |
20 | 3세대 시퀀싱 기술과 Hi-C를 활용한 정밀의학용 드 노보 단배체 위상 게놈지도 구축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50 | 1465025767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168.07 | 683건 |
2023년 | 223.93 | 807건 |
2022년 | 248.93 | 758건 |
2021년 | 214.43 | 692건 |
2020년 | 162.57 | 569건 |
2019년 | 135.49 | 451건 |
2018년 | 110.31 | 319건 |
2017년 | 96.34 | 238건 |
2016년 | 69.08 | 163건 |
2015년 | 54.81 | 121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20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60890 |
2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46315 |
3 | Long-read 시퀀싱기법을 이용한 환경호르몬 분해미생물의 전사체 조절인자 연구 | 상지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28070 |
4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연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69448 |
5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연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00000 | 37.5 | 1711118937 |
6 | Long-read 시퀀싱기법을 이용한 환경호르몬 분해미생물의 전사체 조절인자 연구 | 상지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04809 |
7 | Long-read sequencing을 이용한 한국인의 CYP2D6 genotyping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2023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신진의사과학자 양성지원 | 100000000 | 100 | 1465038849 |
8 | 미진단 희귀질환 진단기술 고도화를 위한 long-read 시퀀싱 데이터 생산 | 주식회사 디엔에이링크 | 2024 | 질병관리청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 희귀질환연구인프라구축 | 359370000 | 359.37 | 2770000031 |
9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08627 |
10 | Long-read sequencing을 이용한 한국인의 CYP2D6 genotyping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22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신진의사과학자 양성지원 | 75000000 | 75 | 1465036865 |
11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연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41713 |
12 | Short-read와 Long-read 서열 분석 기술을 활용한 ecDNA의 안정된 탐지법 개발 | 한양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000000 | 6 | 2340002032 |
13 | 3세대 시퀀싱 기술과 Hi-C를 활용한 정밀의학용 드 노보 단배체 위상 게놈지도 구축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25000000 | 25 | 1465024010 |
14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37500000 | 37.5 | 1345261630 |
15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최첨단 단일세포 오믹스 라이브러리와 3세대 시퀀싱 라이브러리 제작 및 분석 기술 개발) | 서울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학연구기반구축 | 90000000 | 90 | 1345374155 |
16 | 롱리드 시퀀싱 및 딥러닝 기반 promoter-enhancer interaction 비부호화 유전체 연구를 통한 보조생식기술 연관 자폐장애의 risk enhancer / promoter variant 규명 | 차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77993000 | 277.99 | 2710004503 |
17 | 단일세포 전사체 및 유전체 재배열 패턴등의 분석을 통한 암 유전학 연구를 위한 P2i 나노포어 롱리드 시퀀싱 장비 구축 | 한양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 | 179371000 | 179.37 | 2710017911 |
18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50000000 | 50 | 1345275679 |
19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12500000 | 12.5 | 1345292599 |
20 | 3세대 시퀀싱 기술과 Hi-C를 활용한 정밀의학용 드 노보 단배체 위상 게놈지도 구축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50000000 | 50 | 1465025767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20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1711160890 | 1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1711146315 | 1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Long-read 시퀀싱기법을 이용한 환경호르몬 분해미생물의 전사체 조절인자 연구 | 1345328070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상지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1711169448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1711118937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Long-read 시퀀싱기법을 이용한 환경호르몬 분해미생물의 전사체 조절인자 연구 | 1345304809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상지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3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Long-read sequencing을 이용한 한국인의 CYP2D6 genotyping에 관한 연구 | 1465038849 | 100000000 | 기타 |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 | 0건 | 0건 | ||||
2024 | 질병관리청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 미진단 희귀질환 진단기술 고도화를 위한 long-read 시퀀싱 데이터 생산 | 2770000031 | 359370000 | 기초연구 | 중견기업 | 주식회사 디엔에이링크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Long-read 시퀀싱 기반 노화 세포 특이적 구조 변이 발굴 및 제거 타겟 발굴 | 1711108627 | 1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 | 0건 | 0건 |
2022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Long-read sequencing을 이용한 한국인의 CYP2D6 genotyping에 관한 연구 | 1465036865 | 75000000 | 기타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Long-read NGS를 이용한 한국인 Rh 혈액형군 유전자 염기서열 DB 구축 | 1711141713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Short-read와 Long-read 서열 분석 기술을 활용한 ecDNA의 안정된 탐지법 개발 | 2340002032 | 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0건 | 0건 |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세대 시퀀싱 기술과 Hi-C를 활용한 정밀의학용 드 노보 단배체 위상 게놈지도 구축 | 1465024010 | 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능유전체학 및 단백체학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1345261630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최첨단 단일세포 오믹스 라이브러리와 3세대 시퀀싱 라이브러리 제작 및 분석 기술 개발) | 1345374155 | 90000000 | 대학 | 서울대학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롱리드 시퀀싱 및 딥러닝 기반 promoter-enhancer interaction 비부호화 유전체 연구를 통한 보조생식기술 연관 자폐장애의 risk enhancer / promoter variant 규명 | 2710004503 | 277993000 | 기초연구 | 대학 | 차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 전사체 및 유전체 재배열 패턴등의 분석을 통한 암 유전학 연구를 위한 P2i 나노포어 롱리드 시퀀싱 장비 구축 | 2710017911 | 179371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1345275679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고속 푸리에 변환과 블룸 필터를 활용한 3세대 시퀀싱 데이터 에러 수정 알고리즘 개발 | 1345292599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3세대 시퀀싱 기술과 Hi-C를 활용한 정밀의학용 드 노보 단배체 위상 게놈지도 구축 | 1465025767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능유전체학 및 단백체학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