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록체 바이오공장Chloroplast biofactory for highlevel production of biomolecules
-
기술 정의
식물 세포 소기관인 엽록체를 이용하여 백신, 의료용 단백질, 항체 등 유용한 바이오물질을 대량생산하는 기술
-
기술장점
식물에서 바이오물질을 생산할 경우 독소가 생성될 위험이 적고 엽록체는 많은 양의 바이오물질을 생산 및 저장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엽록체의 외래 RNA 안정성 향상을 통한 바이오물질 생산 증가엽록체 내부 단백질공학을 통해 외래 유전자 발현율 증가
향후 10년 : 백신 등 유용물질 생산 식물을 제작하여 사료의 형태로 동물에게 섭취시켜 전염병 예방엽록체 및 엽록체 유사기관에 요소기술을 적용하여 바이오물질 생산 최적화
-
요소 기술
1) 엽록체 타겟형 유전자 발현기술 - 식물 세포 내부에 외래 유전자를 도입할 경우 세포 소기관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엽록체 내부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 개발 2) 엽록체 타겟형 유전자 발현 안정화기술 - 엽록체는 외래 단백질을 생산하여 고농도로 축적시킬 수 있지만, 외래 유전자를 인식하고 분해하는 특성이 있어 이를 억제하는 기술 개발 - 식물 세포 내부에 안정화 단백질을 발현시켜 엽록체 내부 RNA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3) 엽록체 단백질 추출기술 - 엽록체에서 발현시킨 단백질 등의 바이오물질을 고순도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
-
주요 이슈
식물 유전자 공학이 발전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세포핵에 집중되어 있음. 하지만 식물 세포 소기관의 경우 외래 단백질을 축적하는 등 독특한 기능이 있어 이를 활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
-
해외 기술개발동향
PRR10 단백질을 이용하여 엽록체 내부에 발현시킨 외래 RNA의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 - 담배를 이용한 실험의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약 40배 향상된 생산성을 보임 감자 괴경에 있는 amyloplast를 이용하여 외래 단백질을 발현시켜 단백질 저장성을 높이는데 성공 - 감자의 괴경에서 기존 보다 약 60배 저장성이 높은 단백질을 발현시키는데 성공
-
국내 기술개발동향
대학 및 기업에서 백신을 식물에서 생산하려는 연구가 추진 중 - 지플러스생명과학, 포항공대 황인환 교수팀 등 국내 연구진들이 연구 개발하여 백신, 항암제 등 개발 중 하지만 식물의 세포 소기관을 이용한 국내연구는 초기 단계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2020년 식물기반 바이오소재의 시장규모는 약 2,500억 달러로 예상의약용 단백질 시장은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2001년 이후 5년마다 각각 3배, 4.5배 증가형질전환 식물을 이용한 경구용 백신 생산은 전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 Plant Biotechnology, Dow AgroScience, Thomas Jefferson 등의 회사에서 담배, 시금치, 감자 등을 이용하여 항원을 생산하였고 임상시험 중에 있어 향후 해당 분야 발전이 예상 * 출처 : Biosafety, vol.10, 2009
-
사회적 기대효과
식물에 백신과 같은 의료용 단백질을 고농도로 생산할 경우, 식품을 섭취하듯이 백신의 경구투여를 통해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 의학, 수의학 분야에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식물 세포 소기관을 이용한 기반 기술의 발전은 의료용 단백질 생산뿐 아니라 세포 소기관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향후 식물 개량 및 신품종 개발 연구에 직, 간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
필요 사항
엽록체 내부에 외래 단백질을 고농도로 발현시킬 경우 식물의 성장 및 발달이 저해되는 등의 부작용이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해결 필요식물 종마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엽록체 바이오공장이 효율적으로 만들어지는 품종 선정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BioIN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1년 | 49.07 | 1건 |
2020년 | 49.07 | 1건 |
2019년 | 36.36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안동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9.07 | 1711144843 |
2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안동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6.36 | 1711095383 |
3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안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9.07 | 1711114559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66 | 11건 |
2023년 | 1.7 | 11건 |
2022년 | 1.3 | 8건 |
2021년 | 0.359 | 7건 |
2020년 | 0.28 | 7건 |
2019년 | 0.51 | 12건 |
2018년 | 1.29 | 14건 |
2017년 | 1.43 | 12건 |
2016년 | 0.988 | 11건 |
2015년 | 0.538 | 8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안동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9074000 | 49.07 | 1711144843 |
2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안동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6363000 | 36.36 | 1711095383 |
3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안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9074000 | 49.07 | 1711114559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1711144843 | 49074000 | 기초연구 | 대학 | 안동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1711095383 | 36363000 | 기초연구 | 대학 | 안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Antimicrobial peptide (AMP) 생산을 위한 엽록체 형질 전환 식물체 제작 | 1711114559 | 49074000 | 기초연구 | 대학 | 안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