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오믹스 기반 단일세포 분석기술Single cell spatial reconstruction
-
기술 정의
생체 기관이나 조직 내 개별 세포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믹스 데이터를 확보하여 3차원적인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
기술장점
장기나 기관 내의 서로 다른 개별 세포의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 위치에서 유도되는 세포 종류 및 상태의 특성과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고 질환을 유발하는 세포의 3차원 위치 파악을 통해 정밀한 진단 및 치료 표적 발굴이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인체 및 다양한 모델시스템의 조직 내 개별 세포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확보
향후 10년 : 조직 내 3차원 세포위치 재구성으로 찾아낸 다양한 질환 특이 세포를 기반으로 정밀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
-
요소 기술
1) 단분자 형광 이미징 추적 기술 - 광학 현미경의 회절 한계를 뛰어 넘어 분자수준의 해상도로 살아있는 세포 내 다양한 분자들의 실시간 추적이 가능한 초해상도 현미경 기반 기술 2) 어레이 기반 단일세포 바코딩 기술 - 조직을 oligonucleotide array가 심어진 유리 슬라이드에 배치하여 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공간바코드를 부착한 후 형광 표지된 염기나 금속 결합된 항체를 통해 세포 내 유전자와 단백질을 분석하는 기술 3) 이미징 정보와 시퀀싱 정보를 결합한 3차원 세포 위치 정보 재구성 기술 - 단일세포 오믹스 정보와 위치 정보를 컴퓨터 상에서 결합하여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빅데이터 기술
-
주요 이슈
향상된 3차원 단일세포 이미징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 내 단백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등의 생분자 동시 검출이 가능한 신기술 개발이미징 데이터와 다중 생분자 검출을 기반으로 세포 위치 분석 및 재구성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동반 개발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조직 내 위치 정보를 유지한 채 세포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세포 이미징과 단백체, 전사체 분석을 결합하는 기술 개발 확산 고에너지, 고해상도 자외선 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 동위원소 결합된 항체로 염색한 조직 영역 일부를 체계적으로 절제하여 얻어진 조직 입자를 태워 플라즈마 비행-시간형 질량분석기(plasma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CyTOF)가 개발되어 500-1000nM 해상도에서 52개 항체에 대한 측정 가능 조직 내 세포 분석을 위해 항체를 이용한 단백체 분석 방법에 질량 분석이 가능한 금속 결합 DNA를 표지로 RNA를 분석하여 단백체와 mRNA를 동시에 분석하는 기술 개발 공간정보가 표지된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은 정량적 분석 및 염기 서열 분석까지 가능해져 단백체 분석보다 훨씬 많은 수의 세포를 구별해 낼 수 있게 개발 최근 조직 및 장기 내의 세포 종류와 위치 정보를 동시에 분석한 후 이를 in-silico로 3차원 재구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마우스 뇌, 인간태아 심장 등의 3차원 세포지도 제작 <3차원 태아심장 세포지도(2019, Cell)>
-
국내 기술개발동향
출연(연), 대학 등에서 뇌지도 작성과 같은 연관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나, 공간 오믹스를 기반으로 단일세포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연구에 대한 수준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낮음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공간 오믹스 기반 단일세포 위치 추적 기술 관련 세계시장은 연평균 8.5% 성장률로 2026년 약 2.62억 달러의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한 주요 기술로 활용 가능 암 진단과 아울러 다양한 질환 진단 분야 활용 가능성으로 인해 글로벌 유전체 바이오텍뿐 아니라 신생 스타트업 등에서 신규 기술을 기반으로 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 - 예; 분자진단 전문의 NanoString Tech사에서는 2019년 GeoMx Digital Spatial Profiler를 신규로 발족하여 시장 점유를 위한 투자 확대
-
사회적 기대효과
생명체에 대한 이해를 장기나 조직에서 세포 수준까지 확장하여 지금까지 규명이 불가능했던 근본적인 생명현상의 신비를 이해하는 데에 기여이를 기반으로 바이오 분야 과학과 기술의 상호혁신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필요 사항
첨단 공간 오믹스 기술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해 시의적절한 최신 장비 구축과 개별 연구 수요에 맞추어 데이터 생산과 분석에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전문인력 필요공간 정보와 단일세포 종류 정보의 결합을 통해 3차원 조직 및 장기 내 세포 재구성을 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분석 서비스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595.95 | 15건 |
2023년 | 2,213.82 | 13건 |
2022년 | 1,488.49 | 9건 |
2021년 | 539.72 | 3건 |
2020년 | 262.5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41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공간전사체 및 단일세포수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신장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 서울대학교병원 | 2023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신진의사과학자 양성지원 | 75 | 1465040417 |
2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262.5 | 2710015402 |
3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 264.45 | 2710000275 |
4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 기반 마크로파지 매개 종양면역 억제 핵심 인자 발굴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혁신신약 기초기반 기술개발 | 150 | 1711160061 |
5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 293.83 | 1711179485 |
6 | 수술로 절제한 초기 소세포폐암의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특성 규명을 통한 재발율 감소 및 예후 개선 전략 모색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19.91 | 2710005710 |
7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재발성 간암 환자의 종양 내 T 세포 다면적 프로파일링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 | 15.72 | 1711140248 |
8 | 단일세포전사체와 공간전사체 분석법을 이용한 폐 점액선암종의 아형 규명 및 신규 치료법 탐색 | 경북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5.63 | 2710012260 |
9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262.5 | 1711119318 |
10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350 | 1711154830 |
11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 기반 마크로파지 매개 종양면역 억제 핵심 인자 발굴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혁신신약 기초기반 기술개발 | 200 | 1711200430 |
12 | 공간전사체/단일세포전사체를 활용한 전이암의 종양세포/미세환경세포 공진화 기전연구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1) | 194.49 | 2710003959 |
13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350 | 1711188625 |
14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재발성 간암 환자의 종양 내 T 세포 다면적 프로파일링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45 | 1711165344 |
15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병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294 | 1711126617 |
16 |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및 단일세포-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뇌종양의 혁신적 치료 전략 수립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44.71 | 2710004617 |
17 | 단일세포전사체와 공간전사체 분석법을 이용한 폐 점액선암종의 아형 규명 및 신규 치료법 탐색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7.37 | 1711187897 |
18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 93.38 | 1711175426 |
19 |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위암의 복막전이 타겟 바이오마커 발굴과 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2024 | 보건복지부 | 임상현장수요연계형중개연구(R&D) | 임상현장수요연계형중개연구 | 216.6 | 2460001275 |
20 | 한-영 대규모 단일세포 전사체 및 공간 전사체 분석 융합 연구 교류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인력교류) 영국 | 30 | 1711199099 |
21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9.58 | 2710014231 |
22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0.64 | 1711190621 |
23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7.3 | 2710016113 |
24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삼성서울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4.22 | 1711183369 |
25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7 | 1711184930 |
26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2.31 | 2710009192 |
27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삼성서울병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72.04 | 1711174793 |
28 | 단일세포 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장형위암 발암 기전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22.48 | 2710004089 |
29 | 단일세포 공간 전사체에서의 멀티스케일 되먹임 사이클 추정을 통한 면역계 비선형성 탐구 및 면역질환 치료 표적 발굴 프레임워크 기반 구축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기본연구-기본연구 | 67.17 | 1711197147 |
30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52.95 | 1711174705 |
31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7 | 1711158161 |
32 |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 분석을 통한 세포노화 및 면역노화 매개 대사이상 지방간염 병인 규명 및 질환 제어 연구 | 연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한우물파기 | 196.4 | 2710005236 |
33 | 다양한 암종에 대한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종양 미세환경 차이 규명 | 숭실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 | 2340011792 |
34 | 암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 전사체 및 단일 세포 통합 기반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개발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46.91 | 1711200074 |
35 | 암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 전사체 및 단일 세포 통합 기반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개발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205.08 | 2710003512 |
36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숭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230 | 1711170484 |
37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숭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230 | 1711191621 |
38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311.67 | 1711158897 |
39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311.67 | 1711180693 |
40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숭실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230 | 1711141152 |
41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08.5 | 2710009265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4.35 | 42건 |
2023년 | 20.73 | 48건 |
2022년 | 13.38 | 50건 |
2021년 | 11.35 | 45건 |
2020년 | 8.08 | 42건 |
2019년 | 5.93 | 37건 |
2018년 | 3.5 | 36건 |
2017년 | 2.74 | 25건 |
2016년 | 2.97 | 17건 |
2015년 | 1.69 | 9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41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공간전사체 및 단일세포수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신장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 서울대학교병원 | 2023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신진의사과학자 양성지원 | 75000000 | 75 | 1465040417 |
2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262500000 | 262.5 | 2710015402 |
3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 264452000 | 264.45 | 2710000275 |
4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 기반 마크로파지 매개 종양면역 억제 핵심 인자 발굴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혁신신약 기초기반 기술개발 | 150000000 | 150 | 1711160061 |
5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 293835000 | 293.83 | 1711179485 |
6 | 수술로 절제한 초기 소세포폐암의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특성 규명을 통한 재발율 감소 및 예후 개선 전략 모색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19912000 | 119.91 | 2710005710 |
7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재발성 간암 환자의 종양 내 T 세포 다면적 프로파일링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 | 15724000 | 15.72 | 1711140248 |
8 | 단일세포전사체와 공간전사체 분석법을 이용한 폐 점액선암종의 아형 규명 및 신규 치료법 탐색 | 경북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5634000 | 105.63 | 2710012260 |
9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262500000 | 262.5 | 1711119318 |
10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350000000 | 350 | 1711154830 |
11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 기반 마크로파지 매개 종양면역 억제 핵심 인자 발굴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혁신신약 기초기반 기술개발 | 200000000 | 200 | 1711200430 |
12 | 공간전사체/단일세포전사체를 활용한 전이암의 종양세포/미세환경세포 공진화 기전연구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1) | 194492000 | 194.49 | 2710003959 |
13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350000000 | 350 | 1711188625 |
14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재발성 간암 환자의 종양 내 T 세포 다면적 프로파일링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449000 | 31.45 | 1711165344 |
15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서울대학병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294000000 | 294 | 1711126617 |
16 |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및 단일세포-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뇌종양의 혁신적 치료 전략 수립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44712000 | 244.71 | 2710004617 |
17 | 단일세포전사체와 공간전사체 분석법을 이용한 폐 점액선암종의 아형 규명 및 신규 치료법 탐색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7371000 | 117.37 | 1711187897 |
18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 93377000 | 93.38 | 1711175426 |
19 |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위암의 복막전이 타겟 바이오마커 발굴과 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2024 | 보건복지부 | 임상현장수요연계형중개연구(R&D) | 임상현장수요연계형중개연구 | 216600000 | 216.6 | 2460001275 |
20 | 한-영 대규모 단일세포 전사체 및 공간 전사체 분석 융합 연구 교류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인력교류) 영국 | 30000000 | 30 | 1711199099 |
21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9576000 | 99.58 | 2710014231 |
22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0640000 | 110.64 | 1711190621 |
23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7303000 | 177.3 | 2710016113 |
24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삼성서울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4218000 | 184.22 | 1711183369 |
25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7003000 | 197 | 1711184930 |
26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2310000 | 172.31 | 2710009192 |
27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삼성서울병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72041000 | 72.04 | 1711174793 |
28 | 단일세포 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장형위암 발암 기전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22478000 | 222.48 | 2710004089 |
29 | 단일세포 공간 전사체에서의 멀티스케일 되먹임 사이클 추정을 통한 면역계 비선형성 탐구 및 면역질환 치료 표적 발굴 프레임워크 기반 구축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기본연구-기본연구 | 67172000 | 67.17 | 1711197147 |
30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삼성서울병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52948000 | 52.95 | 1711174705 |
31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7003000 | 197 | 1711158161 |
32 |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 분석을 통한 세포노화 및 면역노화 매개 대사이상 지방간염 병인 규명 및 질환 제어 연구 | 연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한우물파기 | 196396000 | 196.4 | 2710005236 |
33 | 다양한 암종에 대한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종양 미세환경 차이 규명 | 숭실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000000 | 6 | 2340011792 |
34 | 암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 전사체 및 단일 세포 통합 기반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개발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46912000 | 46.91 | 1711200074 |
35 | 암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 전사체 및 단일 세포 통합 기반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개발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205084000 | 205.08 | 2710003512 |
36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숭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230000000 | 230 | 1711170484 |
37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숭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230000000 | 230 | 1711191621 |
38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311672000 | 311.67 | 1711158897 |
39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311672000 | 311.67 | 1711180693 |
40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숭실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230000000 | 230 | 1711141152 |
41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08502000 | 108.5 | 2710009265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41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3 | 보건복지부 |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 공간전사체 및 단일세포수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신장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 1465040417 | 75000000 | 기타 | 병원 | 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2710015402 | 2625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서울대학교병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2710000275 | 26445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 기반 마크로파지 매개 종양면역 억제 핵심 인자 발굴 | 1711160061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위사업) | 혁신신약 기초기반 기술개발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1711179485 | 2938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수술로 절제한 초기 소세포폐암의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특성 규명을 통한 재발율 감소 및 예후 개선 전략 모색 | 2710005710 | 119912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재발성 간암 환자의 종양 내 T 세포 다면적 프로파일링 | 1711140248 | 15724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전사체와 공간전사체 분석법을 이용한 폐 점액선암종의 아형 규명 및 신규 치료법 탐색 | 2710012260 | 105634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1711119318 | 262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1711154830 | 35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 기반 마크로파지 매개 종양면역 억제 핵심 인자 발굴 | 1711200430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위사업) | 혁신신약 기초기반 기술개발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공간전사체/단일세포전사체를 활용한 전이암의 종양세포/미세환경세포 공진화 기전연구 | 2710003959 | 19449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1711188625 | 350000000 | 응용연구 | 병원 | 서울대학교병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재발성 간암 환자의 종양 내 T 세포 다면적 프로파일링 | 1711165344 | 31449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폐암의 공간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페암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1711126617 | 294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병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및 단일세포-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뇌종양의 혁신적 치료 전략 수립 | 2710004617 | 24471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전사체와 공간전사체 분석법을 이용한 폐 점액선암종의 아형 규명 및 신규 치료법 탐색 | 1711187897 | 117371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발굴한 전암/조기암 악성화진행 표적 기반 암 검출 기술 개발 및 단일세포전사체-공간전사체 통합 분석과 오가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전략 개발 | 1711175426 | 93377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보건복지부 | 임상현장수요연계형중개연구(R&D) |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위암의 복막전이 타겟 바이오마커 발굴과 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2460001275 | 216600000 | 응용연구 | 기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한-영 대규모 단일세포 전사체 및 공간 전사체 분석 융합 연구 교류회 | 1711199099 | 3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2710014231 | 99576000 | 기초연구 | 대기업 | 삼성서울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1711190621 | 110640000 | 기초연구 | 병원 | 삼성서울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2710016113 | 177303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1711183369 | 184218000 | 기초연구 | 병원 | 삼성서울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1711184930 | 197003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2710009192 | 172310000 | 기초연구 | 대기업 | 삼성서울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식도암 발암과정에서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변화 및 임상적 의의 규명 | 1711174793 | 72041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 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장형위암 발암 기전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2710004089 | 222478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 공간 전사체에서의 멀티스케일 되먹임 사이클 추정을 통한 면역계 비선형성 탐구 및 면역질환 치료 표적 발굴 프레임워크 기반 구축 | 1711197147 | 67172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조갑진피의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손발톱흑색종 병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연구 | 1711174705 | 52948000 | 기초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진행성 위암에서 딥러닝 및 공간분획 단일세포 전사체-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마커 및 표적약제 후보군 발굴 | 1711158161 | 197003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 분석을 통한 세포노화 및 면역노화 매개 대사이상 지방간염 병인 규명 및 질환 제어 연구 | 2710005236 | 196396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다양한 암종에 대한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을 통한 종양 미세환경 차이 규명 | 2340011792 | 6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암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 전사체 및 단일 세포 통합 기반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개발 | 1711200074 | 46912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암 진단 및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 전사체 및 단일 세포 통합 기반 멀티 모달 딥러닝 모델 개발 | 2710003512 | 205084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1711170484 | 2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1711191621 | 2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1711158897 | 31167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1711180693 | 31167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단일세포 전사체, 후성유전체, 공간전사체 데이터 통합분석에 기반한 세포유형간 유전자조절네트워크 재구성을 위한 데이터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 1711141152 | 2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기반조성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장암의 원격전이 예측을 위한 종양 세포 및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체 및 공간 전사체 통합 분석 연구 | 2710009265 | 10850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