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 면역Synthetic immunity
-
기술 정의
유전적으로 면역회로를 합성하여 면역세포의 활성을 높이거나 면역물질 생성을 조절하는 기술
-
기술장점
기존 면역세포 치료의 효능을 극대화하고,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여 감염병, 암 및 다양한 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암, 감염병 등 질환 타겟팅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환자별 최적화된 고효율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향후 10년 : 해당 기술의 고도화 및 상용화다양한 암, 감염병, 자가면역질환, 퇴행성 질환 등 각종 질환에 적용
-
요소 기술
1) 치료용 면역세포 엔지니어링 - 면역세포 정밀 타겟팅 기술 : 많은 암환자에서 공유되는 neoantigen 발굴, CAR 라이브러리 고속대량스크리닝(HTS), 고 친화성 합성 T 세포 수용체, 이중항원 기반 면역세포 정밀 타겟팅 등으로 면역세포치료 효능 증진 - 치료용 면역세포 원격 제어 기술 : 저분자물질 또는 광유전학 기반 면역세포 활성 스위치 on/off 기술로 치료용 면역세포 활성을 제어하여 안전성을 확보 - 면역세포에 의한 암 미세환경 리모델링 : CAR 구조 내 유전적 변형을 통해 사이토카인이나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분비함으로써 암 미세환경 조절 2) 치료용 사이토카인 엔지니어링 - 사이토카인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 및 특이성 제어 기술 : 특정 면역세포만 활성 또는 비활성 할 수 있는 합성 사이토카인 - 사이토카인 융합 기술 : 인체 내 반감기, 암 타겟팅, 치료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나노소재, 펩타이드, 항체, 다른 종류의 사이토카인과 융합된 사이토카인 - orthogonal 사이토카인/수용체 : 인간 면역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합성 수용체를 지니고 있는 치료용 면역세포만 활성을 갖는 합성 사이토카인
-
주요 이슈
기존 면역세포치료제의 고형암에 대한 낮은 치료 효능과 부작용에 대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암종/환자별 맞춤형의 고효율 융복합 면역세포치료 기술 개발 요구
-
해외 기술개발동향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에 시간이 소요되는 감염병에 대해서 체내 면역시스템을 조절하는 면역치료법을 주목 - 암에 대한 면역치료기술은 그간 많은 연구가 추진되었으나, 감염병에 대한 면역치료 접근방법 연구는 많이 시도되지 않은 상황 암에 대한 면역치료기술 및 치료제는 CAR-T 치료제 승인을 계기로 그 가능성을 주목 - 현재 3종의 CAR-T 치료제(Kymriah, Yescarta, Tecartus)가 미국 FDA에서 시판 허가 Altbioscience사는 면역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IL-15 superagonist (ALT-803)을 개발하여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한 임상 시험을 수행 중 Synthekine사는 IL-2 partial agonist, orthogonal cytokine/receptor 시스템을 개발하여 면역치료제 개발을 수행 중
-
국내 기술개발동향
최근 면역조절 및 면역치료 관점에서 코로나19 등 감염병에 대한 연구개발 추진 중 - 코로나19와 같은 RNA 바이러스 침입 시 면역체계의 중요 조절 역할을 수행하는 ‘MARCH5’ 단백질 기능을 규명한 연구결과 발표(2020.3) -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인 쎌마테라퓨틱스와 제넥신는 면역물질 중 하나인 인터페론을 타깃해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 중 국내에서도 여러 기업들이 CAR-T 치료제와 관련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의 파이프라인이 대부분 - 한국얀센은 CAR-T 치료제인 JNJ-68284528 국내 3상 임상시험을 승인 받음(2020.8) - GC녹십자랩셀은 혈액암과 다양한 고형암에서 CAR-T/NK 치료제 연구를 전임상 단계에서 수행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은 2015년 40억 달러에서 연평균 20.1%로 성장하여 2020년 100억달러로 확대될 전망글로벌 CAR-T 치료제 시장은 2017년 7,2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하였고, 향후 11년간 연평균 성장률 53.9%로 급격히 성장하여 2028년에는 83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 * 출처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글로벌 CAR-T치료제 시장현항 및 전망 (2017)
-
사회적 기대효과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감염병과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어렵고 재발율이 높은 난치성 암에 대한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함으로써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전체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필요 사항
합성면역기술은 면역학의 기초 핵심 지식 축적 외에 합성생물학, 유전자 편집, 컴퓨터를 이용한 합리적 단백질 디자인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의 활용 및 관련 기술의 고도화가 필요해당 기술은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개발 단계에 있으며, 상용화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 및 관련 규제 정보 제공이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903.12 | 8건 |
2023년 | 2,312.77 | 7건 |
2022년 | 363.61 | 4건 |
2021년 | 735.82 | 5건 |
2020년 | 506.19 | 5건 |
2019년 | 100 | 2건 |
2018년 | 37.5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2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말기신부전증 선천면역세포에서 인독실 황산염에 의한 대사 변이와 후생유전학 리프로그래밍의 상호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 | 2340000014 |
2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15532 |
3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57911 |
4 | 노화 T 세포의 생체 내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항암/항균 면역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 225 | 2340012781 |
5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92655 |
6 | 말기신부전증 선천면역세포에서 인독실 황산염에 의한 대사 변이와 후생유전학 리프로그래밍의 상호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67982 |
7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45578 |
8 | In vivo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패턴인지수용체를 타겟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나노입자의 개발 | 인하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47.93 | 1711194478 |
9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50 | 1345315414 |
10 | 먹장어 후천면역을 활용한 치료용/진단용 차세대 유사항체 발굴, 엔지니어링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경상국립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 | 1,866.67 | 2710001865 |
11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06.75 | 2710017431 |
12 | In vivo 면역세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나노입자 및 인공혈액제재 개발을 위한 Flow cytometry 구축 | 인하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 | 241.5 | 2710007300 |
13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09804 |
14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50 | 1345296030 |
15 | In vivo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패턴인지수용체를 타겟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나노입자의 개발 | 인하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33.14 | 2710001220 |
16 | 먹장어 후천면역을 활용한 치료용/진단용 차세대 유사항체 발굴, 엔지니어링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경상국립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 | 1,750 | 1711196340 |
17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경북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59249 |
18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경북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23929 |
19 |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한 암 면역억제환경 리프로그래밍 CAR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43.73 | 1711199557 |
20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12.5 | 1345335929 |
21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경북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44416 |
22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28706 |
23 |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IL-1β의 항암면역 기전 규명 및 T 세포치료제와 병용요법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79.97 | 2710004926 |
24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37.5 | 1345282872 |
25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92006 |
26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1 | 1711153466 |
27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62179 |
28 |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한 암 면역억제환경 리프로그래밍 CAR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95.5 | 2710003441 |
29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50 | 1711099045 |
30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1 | 1711188047 |
31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211.19 | 1415169739 |
32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478.32 | 1415174589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103.04 | 422건 |
2023년 | 113.68 | 475건 |
2022년 | 102.39 | 464건 |
2021년 | 85.7 | 450건 |
2020년 | 70.46 | 400건 |
2019년 | 55.29 | 361건 |
2018년 | 52.26 | 330건 |
2017년 | 50.06 | 288건 |
2016년 | 47.85 | 252건 |
2015년 | 44.53 | 237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2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말기신부전증 선천면역세포에서 인독실 황산염에 의한 대사 변이와 후생유전학 리프로그래밍의 상호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00000 | 54.6 | 2340000014 |
2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15532 |
3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57911 |
4 | 노화 T 세포의 생체 내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항암/항균 면역조절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 225000000 | 225 | 2340012781 |
5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92655 |
6 | 말기신부전증 선천면역세포에서 인독실 황산염에 의한 대사 변이와 후생유전학 리프로그래밍의 상호조절 기전 연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67982 |
7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45578 |
8 | In vivo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패턴인지수용체를 타겟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나노입자의 개발 | 인하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47930000 | 147.93 | 1711194478 |
9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50000000 | 50 | 1345315414 |
10 | 먹장어 후천면역을 활용한 치료용/진단용 차세대 유사항체 발굴, 엔지니어링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경상국립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 | 1866668000 | 1,866.67 | 2710001865 |
11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06747000 | 106.75 | 2710017431 |
12 | In vivo 면역세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나노입자 및 인공혈액제재 개발을 위한 Flow cytometry 구축 | 인하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 | 241500000 | 241.5 | 2710007300 |
13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09804 |
14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50000000 | 50 | 1345296030 |
15 | In vivo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패턴인지수용체를 타겟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나노입자의 개발 | 인하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33137000 | 133.14 | 2710001220 |
16 | 먹장어 후천면역을 활용한 치료용/진단용 차세대 유사항체 발굴, 엔지니어링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경상국립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 | 1750000000 | 1,750 | 1711196340 |
17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경북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59249 |
18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경북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23929 |
19 |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한 암 면역억제환경 리프로그래밍 CAR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43731000 | 43.73 | 1711199557 |
20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12500000 | 12.5 | 1345335929 |
21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경북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44416 |
22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28706 |
23 |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IL-1β의 항암면역 기전 규명 및 T 세포치료제와 병용요법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79975000 | 179.97 | 2710004926 |
24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37500000 | 37.5 | 1345282872 |
25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92006 |
26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07000 | 118.61 | 1711153466 |
27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62179 |
28 |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한 암 면역억제환경 리프로그래밍 CAR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95498000 | 95.5 | 2710003441 |
29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50000000 | 50 | 1711099045 |
30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07000 | 118.61 | 1711188047 |
31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211192000 | 211.19 | 1415169739 |
32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경희대학교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478320000 | 478.32 | 1415174589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2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말기신부전증 선천면역세포에서 인독실 황산염에 의한 대사 변이와 후생유전학 리프로그래밍의 상호조절 기전 연구 | 2340000014 | 54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1711115532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1711157911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노화 T 세포의 생체 내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항암/항균 면역조절 기술 개발 | 2340012781 | 2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1711192655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말기신부전증 선천면역세포에서 인독실 황산염에 의한 대사 변이와 후생유전학 리프로그래밍의 상호조절 기전 연구 | 1345367982 | 5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적대적 미세환경하 지방대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종양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 1711145578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In vivo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패턴인지수용체를 타겟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나노입자의 개발 | 1711194478 | 14793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1345315414 | 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먹장어 후천면역을 활용한 치료용/진단용 차세대 유사항체 발굴, 엔지니어링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2710001865 | 1866668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2710017431 | 106747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In vivo 면역세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나노입자 및 인공혈액제재 개발을 위한 Flow cytometry 구축 | 2710007300 | 241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1711109804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1345296030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In vivo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패턴인지수용체를 타겟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나노입자의 개발 | 2710001220 | 133137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먹장어 후천면역을 활용한 치료용/진단용 차세대 유사항체 발굴, 엔지니어링 및 대량생산시스템 구축 | 1711196340 | 175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1345359249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1345323929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한 암 면역억제환경 리프로그래밍 CAR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1711199557 | 43731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1345335929 | 125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T림프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엔지니어링을 통한 새로운 난치암 면역 항암치료 기술개발 | 1345344416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1711128706 | 10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IL-1β의 항암면역 기전 규명 및 T 세포치료제와 병용요법 개발 | 2710004926 | 179975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면역관문 저해제 기반 암 병용치료를 위한 종양 관련 대식세포 리프로그래밍 나노입자 개발 | 1345282872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1711192006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1711153466 | 118607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1711162179 | 10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한 암 면역억제환경 리프로그래밍 CAR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2710003441 | 9549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 및 염증 활성화 제어를 통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신규 치료기전 연구 | 1711099045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1711188047 | 118607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1415169739 | 211192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보건의료융합신서비스 | 제조융합 서비스 | 지식서비스 | 0건 | 0건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생체 내 크리스퍼 탑재를 통한 면역시스템 리프로그래밍 | 1415174589 | 478320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보건의료융합신서비스 | 제조융합 서비스 | 지식서비스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