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공장기Digital artificial organs
-
기술 정의
인체의 생리적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세포 기반의 인공장기와 통합하여 인공장기 및 신체의 기능을 보강
-
기술장점
디지털 데이터와 인공장기의 결합은 바이오 분야의 정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재생의료와 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동물 건강 모니터링, 극한 환경에서 인체 적응 연구 등에 활용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장기 및 조직 대체 및 치료를 돕는 신체 부착/연결 기기 개발
향후 10년 : Human-Machine Interface 기술 기반 손실된 신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한 디지털 인공장기 개발
-
요소 기술
■ 인체와 유사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진 장기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
- 줄기세포, 오가노이드,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등을 활용한 인체 장기 및 조직 제작 기술
- 각 조직의 특이적 기능 및 구조를 가지는 인체 장기 제작 기술 확보 필요
■ 인체의 정보를 디지털화 하는 기술 개발
- 인체의 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기계어로 바꾸는 기술 필요
- 인체의 신호를 센싱하고 기계로 구현해 내는 기술 필요
- 바이오 칩을 활용한 헬스케어 기술, 다중센서를 탑재한 의료기기 기술, AI 기반 스마트 운동기기 기술 등과 같이 인체의 다양한 정보 디지털화 기술 필요
■ 사이버네틱 오가노이드-인공 장기 기술 개발
-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바이오 인공장기를 개발하거나 조직의 대체 및 치료를 돕는 유/무기 조직 또는 신체 부착 및 연결형 기기 등 폭넓은 범위의 디지털 기반 인공장기 개발 기술을 포함
-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한 인공장기를 생산하고 장기의 빠른 회복 또는 신체 부위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생산 기술을 목표로 함 -
주요 이슈
■ (기술적 니즈) 유도 만능 줄기세포 기반 오가노이드 기술의 발전은 인체 장기 대부분이 오가노이드로 제작할 수 있고 약물 평가용 인체 대체 조직으로 오가노이드를 넘어 재생치료제로써 성능을 인정받기 시작함. 또한, 기존에 개발되었던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 기술은 생체전기 신호를 센싱하여 기계와 연결하는 부분으로 발전 - 이러한 오가노이드 제작 기술과 AI 기술의 접목으로 빠른 시간 내 인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장기의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생체 조직 생산에 대한 니즈가 증가■ (경제적 니즈) 국내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인해 급증하고 있는 의료비 부담과 건강한 삶에 대한 사전적 예방, 건강관리에 관한 산업이 부상하고 있으며, 의료 인력 부족 현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재활 로봇의 안전성 및 접근성 확보 등과 같은 인간-기계 연결에 대한 관심도 급증■ (사회적 니즈) 과거 병원 중심의 치료에서 벗어나, 사전 예방과 맞춤형 헬스케어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의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발전하고 있음. 이에 따라 디지털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와 의약품 개발 등 새로운 산업이 빠르게 창출되고 있음
-
해외 기술개발동향
■ 현재 대부분의 장기와 유사한 오가노이드 제작이 가능하며, MIT, 하버드, 칼텍 등과 같은 연구소에서는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인공장기를 제작, 이식 가능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음
■ 미국의 organovo, 스웨덴의 Celllink 사에서도 오가노이드와 3D 프린팅을 활용한 인공장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음
■ 디지털 트윈과 메디털 트윈시스템
- 필립스와 제너럴 일렉트릭사 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여 질병 예측, 맞춤형 치료 설계 및 수술 계획에 활용하고 있음
- 존스홉킨스 미시간대학 병원 등에서는 제너럴 일렉트릭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병원 효율성 최적화 및 환자 맞춤형 진료 및 관리에 활용 하고 있음
- 다쏘시스템은 메디컬 트윈을 기반으로 신약 후보 물질발굴 및 임상 시험 디자인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국내 기술개발동향
■ 국내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셀인셀즈에서는 각각 환자유래 장 오가노이드 및 줄기세포 기반 피부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장 재생 치료 및 피부 재생치료제 임상 연구를 진행 및 준비하고 있음
■ 넥스트앤바이오사에서는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암환자 임상에 오가노이드를 적용함
■ 메디털 트윈시스템
- 서울아산병원은 간암 환자의 치료 경로 및 기대 여명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 중임
- 보건복지부는 2026년까지 한국인 주요 질환에 특화된 메디컬 트윈 기술 개발을 추진하여 한국형 의료 데이터 기반으로 환자 맞춤형 예측 및 관리 기술 개발을 하고자 함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 및 높아진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관심에 따른 사회적/산업적 변화에 대처 가능, 노령화 사고로 인한 인체 조직 혹은 장기 등의 기능손실을 기계와 연결 또는 인공장기로 보완하는 맞춤형 치료제뿐 아니라 면역 저감형 줄기세포를 활용한 동종 인공장기 개발을 통해 재생의료 분야의 산업 규모의 확대가 기대됨
-
사회적 기대효과
디지털 인공장기 기반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질환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및 노화에 따른 질병 발생의 근본적 이해 및 해결책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국민 건강 수준 향상 및 삶의 질적 개선 기대 가능
-
필요 사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디지털 연결 기술은 필연적으로 개인의 정보처리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디지털 기술 발전 촉진을 통한 건강증진의 이익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비용 부담 사이의 균형적 사고가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BioIN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255.33 | 6건 |
2023년 | 1,249.14 | 5건 |
2022년 | 1,280.74 | 6건 |
2021년 | 1,247.6 | 8건 |
2020년 | 590 | 6건 |
2019년 | 511.66 | 5건 |
2018년 | 1,945.33 | 6건 |
2017년 | 183.33 | 2건 |
2016년 | 476.05 | 5건 |
2015년 | 2,865.68 | 7건 |
2014년 | 2,458.68 | 5건 |
2013년 | 205.84 | 4건 |
2010년 | 60 | 1건 |
2009년 | 175 | 2건 |
2007년 | 776 | 1건 |
2006년 | 660 | 1건 |
2004년 | 1,145 | 1건 |
2003년 | 1,169 | 2건 |
2002년 | 1,131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74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고려대학교 | 2002 | 보건복지부 | 휴먼의료공학기술개발 | 1,131 | 1460003210 | |
2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고려대학교 | 2004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의료기기기술개발) | 1,145 | 1460003046 | |
3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고려대학교 | 2003 |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의료기기기술개발) | 1,140 | 1460003145 | |
4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고려대학교 | 2007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776 | 1465009021 |
5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고려대학교 | 2006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 660 | 1460004514 | |
6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R&D)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선도형) | 135 | 1711119523 |
7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선도형 | 270 | 1711129935 |
8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선도형 | 137.13 | 2710010040 |
9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선도형 | 230 | 1711189642 |
10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선도형 | 270 | 1711158776 |
11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부경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1.9 | 1345334667 |
12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부경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99.2 | 1345364667 |
13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부경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99.2 | 1345350449 |
14 | 체내 삽입형 i-PDT용 생체 적합 전력 공급원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선도기술개발(R&D)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 130 | 1711077821 |
15 | 체내 삽입형 i-PDT용 생체 적합 전력 공급원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선도기술개발(R&D)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 208.33 | 1711096591 |
16 | 직접 복사와 무지지체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한 자연 구조 모방 추간판 디스크 제작 | 중원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직접 복사와 무지지체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한 자연 구조 모방 추간판 디스크 제작 | 40.95 | 1345205381 |
17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강릉원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 | 15.7 | 1711140502 |
18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강릉원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39 | 1711168469 |
19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강릉원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39 | 1711183353 |
20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재단법인구미전자정보기술원 | 2015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2,147.48 | 1415144648 |
21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재)구미전자정보기술원 | 2014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2,147.48 | 1415138184 |
22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 | 1711088508 |
23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 | 1711108411 |
24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 | 1711067277 |
25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 | 1711143587 |
26 | 인공 조직 및 장기의 ex vivo 유전자치료에 적합한 나노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기술 개발 | 세종대학교 | 2003 |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의료기기기술개발) | 29 | 1460002803 | |
27 | 신경계와 연결된 바이오장기 개발 및 응용 (약물스크리닝/질병 모델) | 고려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도약연구지원 | 305 | 1711025044 |
28 | 신경계와 연결된 바이오장기 개발 및 응용 (약물스크리닝/질병 모델) | 고려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도약연구지원 | 94.01 | 1711037702 |
29 | 신개념 휴대형 인공신장 시스템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서울아산병원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료기기등안전관리 | 미래의료환경 대응 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 102 | 1475008670 |
30 | 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23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산업부,복지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 환경 선도(2020년) | 700 | 1711194246 |
31 | 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 환경 선도(2020년) | 558.29 | 1711174557 |
32 | 세포시트공학기술을 이용한 신개념의 자가이개연골 면역격리인공췌장의 개발 | 연세대학교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세포시트공학기술을 이용한 신개념의 자가이개연골 면역격리인공췌장의 개발 | 120 | 1355059964 |
33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00 | 1711049914 |
34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100 | 1711069292 |
35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100 | 1711089647 |
36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60.16 | 1711016765 |
37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60.16 | 1711030249 |
38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59.89 | 1711004294 |
39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5 | 9991005764 |
40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울산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1.03 | 1711040589 |
41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울산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1.03 | 1711027000 |
42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울산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1.03 | 1711014196 |
43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미공군 협력사업 | 110 | 1711095085 |
44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미공군 협력사업 | 110 | 1711119974 |
45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미공군 협력사업 | 110 | 1711074111 |
46 | 병리학적 전단응력 변화에 반응하는 스마트 약물방출 시스템을 탑재한 지능형 바이오인공혈관 재생기술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 150 | 2340012723 |
47 | 바이오나노시스템 창의적 연구인력양성사업팀 | 전북대학교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BK21플러스 | 131 | 1345258438 |
48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55 | 1355060164 |
49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60 | 1355061231 |
50 | 다목적 베이지안 최적화를 통한 인공장기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고도로 혈관화된 3차원 생체 조직 구현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스캐폴드 구조 및 바이오프린팅 공정변수 최적화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외연수트랙) | 73.5 | 2710019047 |
51 | 글로벌 생체융합 인터페이싱 소재 센터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선도연구센터(ERC) | 1,500 | 2710018118 |
52 | ICT융합 나노멤브레인 센서 시스템을 활용한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평가 플랫폼 개발 | 충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글로벌핵심인재양성 | 360 | 1711135241 |
53 | Biomimetic Vision Recovery(인공시각 복원기술)사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의공학연구사업 | 1,462 | 1711079853 |
54 | AI-멀티센서 및 바이오프린팅 기반 지능형 실시간 Liver-on-a-Chip 평가 플랫폼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 225 | 2340012847 |
55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 | 1465015741 |
56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 | 1465020927 |
57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 | 1465018152 |
58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 | 1465019271 |
59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83.33 | 1465027035 |
60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3.33 | 1465024698 |
61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9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33.33 | 1465029534 |
62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3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심혈관계 융합연구 | 100 | 1465014484 |
63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 | 1465016905 |
64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 | 1465022357 |
65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포항공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8.55 | 1711186948 |
66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31.86 | 1711158591 |
67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69.7 | 2710013781 |
68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0 | 1711112734 |
69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한국산업기술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0 | 1711144245 |
70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한국공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0 | 1711170306 |
71 | (참여1)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연세대학 | 2021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300 | 1711138310 |
72 | (참여1)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145 | 9991007352 |
73 | (주관)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 | 2021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100 | 1711138309 |
74 | (주관)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성의교정) | 2020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50 | 9991006827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1.5 | 11건 |
2023년 | 1.54 | 14건 |
2022년 | 1.94 | 11건 |
2021년 | 1.93 | 13건 |
2020년 | 1.65 | 14건 |
2019년 | 1.07 | 12건 |
2018년 | 1.19 | 13건 |
2017년 | 1.88 | 13건 |
2016년 | 1.7 | 8건 |
2015년 | 1.68 | 7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74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고려대학교 | 2002 | 보건복지부 | 휴먼의료공학기술개발 | 1131000000 | 1,131 | 1460003210 | |
2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고려대학교 | 2004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의료기기기술개발) | 1145000000 | 1,145 | 1460003046 | |
3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고려대학교 | 2003 |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의료기기기술개발) | 1140000000 | 1,140 | 1460003145 | |
4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고려대학교 | 2007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776000000 | 776 | 1465009021 |
5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고려대학교 | 2006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 660000000 | 660 | 1460004514 | |
6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R&D)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선도형) | 135000000 | 135 | 1711119523 |
7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선도형 | 270000000 | 270 | 1711129935 |
8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선도형 | 137130000 | 137.13 | 2710010040 |
9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선도형 | 230000000 | 230 | 1711189642 |
10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선도형 | 270000000 | 270 | 1711158776 |
11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부경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1900000 | 51.9 | 1345334667 |
12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부경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99200000 | 99.2 | 1345364667 |
13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부경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99200000 | 99.2 | 1345350449 |
14 | 체내 삽입형 i-PDT용 생체 적합 전력 공급원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선도기술개발(R&D)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 130000000 | 130 | 1711077821 |
15 | 체내 삽입형 i-PDT용 생체 적합 전력 공급원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선도기술개발(R&D)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 208330000 | 208.33 | 1711096591 |
16 | 직접 복사와 무지지체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한 자연 구조 모방 추간판 디스크 제작 | 중원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직접 복사와 무지지체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한 자연 구조 모방 추간판 디스크 제작 | 40950000 | 40.95 | 1345205381 |
17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강릉원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 | 15696000 | 15.7 | 1711140502 |
18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강릉원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392000 | 31.39 | 1711168469 |
19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강릉원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392000 | 31.39 | 1711183353 |
20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재단법인구미전자정보기술원 | 2015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2147483647 | 2,147.48 | 1415144648 |
21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재)구미전자정보기술원 | 2014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2147483647 | 2,147.48 | 1415138184 |
22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000000 | 60 | 1711088508 |
23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000000 | 60 | 1711108411 |
24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000000 | 60 | 1711067277 |
25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부경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60000000 | 60 | 1711143587 |
26 | 인공 조직 및 장기의 ex vivo 유전자치료에 적합한 나노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기술 개발 | 세종대학교 | 2003 |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의료기기기술개발) | 29000000 | 29 | 1460002803 | |
27 | 신경계와 연결된 바이오장기 개발 및 응용 (약물스크리닝/질병 모델) | 고려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도약연구지원 | 305000000 | 305 | 1711025044 |
28 | 신경계와 연결된 바이오장기 개발 및 응용 (약물스크리닝/질병 모델) | 고려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도약연구지원 | 94014044 | 94.01 | 1711037702 |
29 | 신개념 휴대형 인공신장 시스템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서울아산병원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료기기등안전관리 | 미래의료환경 대응 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 102000000 | 102 | 1475008670 |
30 | 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23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산업부,복지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 환경 선도(2020년) | 700000000 | 700 | 1711194246 |
31 | 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 환경 선도(2020년) | 558286000 | 558.29 | 1711174557 |
32 | 세포시트공학기술을 이용한 신개념의 자가이개연골 면역격리인공췌장의 개발 | 연세대학교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세포시트공학기술을 이용한 신개념의 자가이개연골 면역격리인공췌장의 개발 | 120000000 | 120 | 1355059964 |
33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00000000 | 100 | 1711049914 |
34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069292 |
35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089647 |
36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60160000 | 60.16 | 1711016765 |
37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60160000 | 60.16 | 1711030249 |
38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59886000 | 59.89 | 1711004294 |
39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5000000 | 5 | 9991005764 |
40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울산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1035000 | 51.03 | 1711040589 |
41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울산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1035000 | 51.03 | 1711027000 |
42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울산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1035000 | 51.03 | 1711014196 |
43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미공군 협력사업 | 110000000 | 110 | 1711095085 |
44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미공군 협력사업 | 110000000 | 110 | 1711119974 |
45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미공군 협력사업 | 110000000 | 110 | 1711074111 |
46 | 병리학적 전단응력 변화에 반응하는 스마트 약물방출 시스템을 탑재한 지능형 바이오인공혈관 재생기술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 150000000 | 150 | 2340012723 |
47 | 바이오나노시스템 창의적 연구인력양성사업팀 | 전북대학교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BK21플러스 | 131000000 | 131 | 1345258438 |
48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55000000 | 55 | 1355060164 |
49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60000000 | 60 | 1355061231 |
50 | 다목적 베이지안 최적화를 통한 인공장기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고도로 혈관화된 3차원 생체 조직 구현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스캐폴드 구조 및 바이오프린팅 공정변수 최적화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외연수트랙) | 73500000 | 73.5 | 2710019047 |
51 | 글로벌 생체융합 인터페이싱 소재 센터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선도연구센터(ERC) | 1500000000 | 1,500 | 2710018118 |
52 | ICT융합 나노멤브레인 센서 시스템을 활용한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평가 플랫폼 개발 | 충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글로벌핵심인재양성 | 360000000 | 360 | 1711135241 |
53 | Biomimetic Vision Recovery(인공시각 복원기술)사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의공학연구사업 | 1462000000 | 1,462 | 1711079853 |
54 | AI-멀티센서 및 바이오프린팅 기반 지능형 실시간 Liver-on-a-Chip 평가 플랫폼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 225000000 | 225 | 2340012847 |
55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15741 |
56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20927 |
57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18152 |
58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19271 |
59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83333000 | 83.33 | 1465027035 |
60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83333000 | 83.33 | 1465024698 |
61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9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33333000 | 33.33 | 1465029534 |
62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3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심혈관계 융합연구 | 100000000 | 100 | 1465014484 |
63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16905 |
64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22357 |
65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포항공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8551000 | 188.55 | 1711186948 |
66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31864000 | 231.86 | 1711158591 |
67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69696000 | 169.7 | 2710013781 |
68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0000000 | 90 | 1711112734 |
69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한국산업기술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0000000 | 90 | 1711144245 |
70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한국공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0000000 | 90 | 1711170306 |
71 | (참여1)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연세대학 | 2021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300000000 | 300 | 1711138310 |
72 | (참여1)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145000000 | 145 | 9991007352 |
73 | (주관)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 | 2021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100000000 | 100 | 1711138309 |
74 | (주관)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성의교정) | 2020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 환경선도 | 50000000 | 50 | 9991006827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74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02 | 보건복지부 | 휴먼의료공학기술개발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1460003210 | 1131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0건 | 0건 | |||
2004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의료기기기술개발)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1460003046 | 1145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0건 | 0건 | |||
2003 |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의료기기기술개발)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센터 | 1460003145 | 114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0건 | 0건 | |||
2007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1465009021 | 776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0건 | 0건 | |||
2006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 휴대형·완전이식형 인공내분비·순환기장치개발 | 1460004514 | 66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R&D)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19523 | 13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선도형)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29935 | 27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 미래기술연구실 | 선도형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2710010040 | 13713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 미래기술연구실 | 선도형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89642 | 23000000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 미래기술연구실 | 선도형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혈관유도형 지방/피부조직 생체모사 3D 인공복합조직 소재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58776 | 27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 미래기술연구실 | 선도형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1345334667 | 519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1345364667 | 992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기반 바이오잉크 인쇄적성 예측 및 복합지지체 제작 최적화 기술 개발 | 1345350449 | 992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선도기술개발(R&D) | 체내 삽입형 i-PDT용 생체 적합 전력 공급원 개발 | 1711077821 | 13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선도기술개발(R&D) | 체내 삽입형 i-PDT용 생체 적합 전력 공급원 개발 | 1711096591 | 208330000 | 응용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 |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직접 복사와 무지지체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한 자연 구조 모방 추간판 디스크 제작 | 1345205381 | 40950000 | 응용연구 | 대학 | 중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40502 | 15696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릉원주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68469 | 3139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릉원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점탄성 거동을 고려한 생체재료의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1711183353 | 3139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릉원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15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1415144648 | 2147483647 | 기타 | 기타 | 재단법인구미전자정보기술원 | 0건 | 0건 | |||
2014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산업화기반구축 | 전자의료기기부품소재 산업화기반구축 | 1415138184 | 2147483647 | 기타 | 기타 | (재)구미전자정보기술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1711088508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1711108411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1711067277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체 모사 조직공학 인공각막 제작과 이를 이용한 독성 평가모델 확립 | 1711143587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경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03 |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의료기기기술개발) | 인공 조직 및 장기의 ex vivo 유전자치료에 적합한 나노 유전자 복합체의 제조기술 개발 | 1460002803 | 29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세종대학교 | 0건 | 0건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신경계와 연결된 바이오장기 개발 및 응용 (약물스크리닝/질병 모델) | 1711025044 | 30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도전)(융합)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경계와 연결된 바이오장기 개발 및 응용 (약물스크리닝/질병 모델) | 1711037702 | 94014044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도전)(융합) | 0건 | 0건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료기기등안전관리 | 신개념 휴대형 인공신장 시스템 평가기술 개발 연구 | 1475008670 | 102000000 | 기타 | 대학 | 서울아산병원 | 0건 | 0건 | |||
2023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산업부,복지부) | 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1711194246 | 7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 | 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1711174557 | 558286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세포시트공학기술을 이용한 신개념의 자가이개연골 면역격리인공췌장의 개발 | 1355059964 | 1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장기대체 기술 | 생물학적 인공장기 | 이종장기 생산기술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1711049914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1711069292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체이식형 신경인터페이스 / on-demand 약물전달 시스템 응용을 위한 생체추출 천연물 기반의 다기능 복합재 개발 | 1711089647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1711016765 | 6016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1711030249 | 6016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1711004294 | 59886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이식형 3세대 유연전극 나노복합소재 개발 | 9991005764 | 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1711040589 | 51035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1711027000 | 51035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생체 모방형 미세혈관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미세혈관 조성 시스템 | 1711014196 | 51035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1711095085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국제화기반조성사업 | 해외협력기반조성-국가간협력기반조성사업 | 미공군 협력사업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1711119974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국제화기반조성사업 | 해외협력기반조성-국가간협력기반조성사업 | 미공군 협력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생체 in situ 전도성 폴리도파민 복합재의 전기화학적 3D 합성을 통한 생체 인터페이스 소재 개발 | 1711074111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국제화기반조성사업 | 해외협력기반조성-국가간협력기반조성사업 | 미공군 협력사업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병리학적 전단응력 변화에 반응하는 스마트 약물방출 시스템을 탑재한 지능형 바이오인공혈관 재생기술 | 2340012723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바이오나노시스템 창의적 연구인력양성사업팀 | 1345258438 | 131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전북대학교 | 0건 | 0건 |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1355060164 | 5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장기대체 기술 | 생물학적 인공장기 | 생체세포 이용 기술 | 0건 | 0건 |
2010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미세가공기술과 조직공학기술을 통한 체외 인공간 개발 | 1355061231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기대체 기술 | 생물학적 인공장기 | 생체세포 이용 기술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다목적 베이지안 최적화를 통한 인공장기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고도로 혈관화된 3차원 생체 조직 구현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스캐폴드 구조 및 바이오프린팅 공정변수 최적화 | 2710019047 | 73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글로벌 생체융합 인터페이싱 소재 센터 | 2710018118 | 15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ICT융합 나노멤브레인 센서 시스템을 활용한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평가 플랫폼 개발 | 1711135241 | 3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 | 정보통신융합산업 | ICT인력양성(일반) |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 지원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Biomimetic Vision Recovery(인공시각 복원기술)사업 | 1711079853 | 1462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AI-멀티센서 및 바이오프린팅 기반 지능형 실시간 Liver-on-a-Chip 평가 플랫폼 | 2340012847 | 2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1465015741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1465020927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기관지지체 개발 | 1465018152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19271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27035 | 83333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24698 | 83333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0건 | 0건 | |||
2019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29534 | 33333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3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14484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0건 | 0건 | |||
2014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16905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16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성장인자 적용 혈관/골 융합체 개발 | 1465022357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계연구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생체공학(Bioengineering)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1711186948 | 188551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1711158591 | 231864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3D 프린팅 기반 숨 쉬는 스마트 인공 폐 모델 | 2710013781 | 169696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1711112734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1711144245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산업기술대학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3D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모듈형 간조직 개발 | 1711170306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공학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1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참여1)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1711138310 | 3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연세대학 | 0건 | 0건 | |||
2020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 (참여1)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9991007352 | 145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주관)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1711138309 | 1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 | 0건 | 0건 | |||
2020 | 다부처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 (주관)소변 충만도 감응소재 및 저장/배출 기능소재의 통합을 통한 이식형 인공방광 개발 | 9991006827 | 5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성의교정)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