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o-EM 생체분자 구조분석기술Highresolution cryoEM bioimaging
-
기술 정의
기술의 한계로 분석이 어려웠던 거대 단백질 복합체, 막단백질 등을 초저온-전자현미경을 통해 고해상도 3차원 입체구조를 분석하는 기술
-
기술장점
생명 조절에 핵심적인 거대 단백질 복합체 및 막단백질 등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생명 현상과 질환 원인 규명 및 신약 개발을 촉진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생명 조절에 관여하는 고난이도 단백질 복합체 및 막단백질의 입체구조 분석을 통한 신규 생명 현상 및 질환 발생 원인 규명 신약 타겟 막단백질들과 후보물질 결합 구조 분석을 통한 신약 개발 촉진
향후 10년 : Cryo-EM 결과 기반 기존의 생명 조절 시스템 패러다임 변화로 생화학/생명의과학 분야 텍스트북 내용 대체 예상 50%의 신약 타겟인 막단백질 구조 기반 질환 치료 리드 물질 발굴 및 신약 창출
-
요소 기술
1) Cryo-EM용 생체 거대 단백질 복합체 및 막단백질 확보
- 생체 거대 단백질 복합체 고순도 정제 및 구조적 안정화 기술
- 막단백질 발현/기능 유지 정제 기술 및 리간드와 복합체 정제 기술
2) 고분해능 cryo-EM 구조 분석을 위한 시편 제작
- 정제 단백질의 비정질 유리화 시편 제작 기술
- 세포내의 단백질 구조 분석용 비정질 유리화 시편 제작 기술 - 시편 제작 자동화 기술
3) 고분해능 cryo-EM 입체 구조 및 기능 규명
- 대량 이미지 데이터 고속 처리 기술
- Heterogeneous한 구조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기술
- 구조 기반 기능 검증 디자인
-
주요 이슈
초저온-electron microscopy 단입자 분석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소위 “Resolution Revolution”이라는 고해상도 입체구조 규명이 가능해지면서 기존의 X-선 결정학 또는 NMR과 같은 기술로 분석하기 어려웠던 막단백질과 거대 단백질 복합체 구조 규명이 가능 이와 더불어 초저온-electron tomography(cryo-ET) 기술은 세포 소기관과 세포 소기관 내 단백질,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단백질 및 세포 자체의 입체 구조 분석이 가능 매우 정교한 생명 조절에 수반되는 거대 단백질 복합체들의 구조분석과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한 세포 수준의 구조분석이 가능해져 그동안 기술적 한계로 인해 대부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생명 현상에 대한 큰 연구 발전과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해외 기술개발동향
지카 바이러스 구조분석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백신을 디자인 하고, 임상시험 실시(Sirochi et al., Science, 2016)
- 2016년 4월: 바이러스 cryo-EM 구조 분석 3.8Å, 2016년 11월: 첫번째 백신 디자인, 2017년 3월 : 임상 2상 말라리아 리보좀에 특이적인 항 말라리아 약 디자인에 활용(Wong et al., eLife, 2014)
결정화 과정이 필요 없고 소량의 정제 단백질 용액으로 구조 분석이 가능한 cryo-EM 기술로 인해 막단백질의 구조분석이 가속화되면서 빅파마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cryo-EM 기술을 초기 단계부터 도입하여 신약 개발 시도
- Cambridge Pharmaceutical cryo-EM Consortium in UK 등
-
국내 기술개발동향
최신 구조생물학 연구가 결정학과 NMR 기술로부터 cryo-EM 기술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해외 환경과는 다르게 국내는 열악한 장비보유 상황으로 인해 경쟁적으로 분석되고 있는 막단백질과 거대 단백질 복합체 연구가 느리게 진행
막단백질이 주요 타겟인 신약 개발에 있어 핵심이 되는 입체구조 기반 소재 발굴, 디자인, 신약 후보 최적화에 필요한 주요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도입 대형 사업 구상이 필요한 시기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현재 개발 중인 신약의 40% 이상은 인체 대부분의 생리적 활동에 관여하며 다양한 질환과 관련된 막단백질인 GPCR에 집중되어 있고 관련 시장 규모는 2018년 26억 달러이며, 2026년까지 6.7% 성장 전망 * 출처 : Market Research Report, 2019 단백질신약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16년 1,725억 달러에서 2021년까지 2,284억 달러로 성장 전망 * 출처 : Global Markets for Bioengineered Protein Drugs, Market Research Reports, 2017
-
사회적 기대효과
기초과학에서 신약 개발까지 전반에 필요한 생물학 및 의과학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
-
필요 사항
체계적인 산학연 수요 분석을 기반으로 스크리닝용과 데이터 수집용 cryo-EM 활용 시설 구축 필요 Cryo-ET 기술 도입을 위한 적정 장비 구축 수요조사 필요 Cryo-EM, cryo-ET 기술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도입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1,008.05 | 8건 |
2023년 | 1,761.87 | 10건 |
2022년 | 1,727.96 | 9건 |
2021년 | 1,528.01 | 11건 |
2020년 | 322.5 | 5건 |
2019년 | 425.17 | 6건 |
2018년 | 466 | 6건 |
2017년 | 159.93 | 3건 |
2016년 | 51.09 | 1건 |
2015년 | 51.09 | 1건 |
2014년 | 51.09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61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110.55 | 2710009408 |
2 | Cryo-EM 운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운영유지비 | 400 | 1711151169 |
3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525 | 1711134425 |
4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1.09 | 1711023265 |
5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20 | 1711148415 |
6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3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13 | 1345375081 |
7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45 | 1345371865 |
8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40 | 1711065759 |
9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700 | 1711154965 |
10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45 | 1345359436 |
11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700 | 1711199687 |
12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0 | 2710013082 |
13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200 | 1711157749 |
14 | Cryo-EM을 통한 아밀로이드 피브릴화 저해를 타깃하는 Amyloid-β-TTR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구조적 연구 및 신경보호 효과 | 부산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 | 2340012341 |
15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14062 |
16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1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12 | 1345331000 |
17 | Cryo-EM을 이용한 PSD-95 - AMPA receptor 복합체 형성, 신호 전달 및 시냅스 가소성에 관한 분자 기전 연구 | 울산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60 | 2340010268 |
18 | Cryo-EM 운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운영유지비 | 430 | 1711199170 |
19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19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5 | 1345306410 |
20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2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12 | 1345346920 |
21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1.09 | 1711012310 |
22 | Cryo-EM 활용한 Oryctes rhinoceros NudiVirus 고분해능 구조 규명 연구 | 강원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2.5 | 2340010764 |
23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90 | 1711086714 |
24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45 | 1345342144 |
25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122.84 | 1711154814 |
26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200 | 1711200090 |
27 | 인공지능과 다이아바디를 융합한 스타틴 트랜스포머 cryo-EM 구조 규명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광주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8.9 | 1711203292 |
28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150 | 2710015582 |
29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122.84 | 1711185672 |
30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44377 |
31 | Cryo-EM 운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운영유지비 | 400 | 1711177122 |
32 | 유니버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한 초저온전자현미경 기반 다클론항체 에피톱 맵핑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71763 |
33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65023 |
34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90 | 1711068283 |
35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20 | 1711086713 |
36 | cryo-EM을 이용한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의 3차 구조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50 | 1465025833 |
37 | cryo-EM을 이용한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의 3차 구조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25 | 1465023967 |
38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울산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1.09 | 1711036383 |
39 | 후성유전체 조절 non-canonical PRC1 복합체의 Cryo-EM 구조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8.5 | 1345292677 |
40 | 인공 바인더 단백질을 접목한 새로운 세포막 단백질의 cryo-EM 구조 분석기술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 | 2340012793 |
41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0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5 | 1345319183 |
42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31.6 | 1711049873 |
43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525 | 2710014083 |
44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87837 |
45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150 | 1711134246 |
46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20 | 1711114816 |
47 | 후성유전체 조절 non-canonical PRC1 복합체의 Cryo-EM 구조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36 | 1345280616 |
48 | 미세 결정을 이용한 원자분해능 3차원 구조 규명 Cryo-EM 분석법 개발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분석과학기술 확산 | 30 | 1711151226 |
49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 | 1711118921 |
50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신진선도과학자육성(New generation research program) | 6.67 | 1711097422 |
51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학연구기반구축 | 100 | 1345374151 |
52 | 고분해능 3차원 Cryo-electron microscopy를 통한 키조개 접합 단백질의 구조분석 | 포항공과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0 | 1345287072 |
53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신진선도과학자육성 | 10 | 1711078520 |
54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 | 1711167499 |
55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학연구기반구축 | 100 | 1345358437 |
56 | 초저온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TRPML3 이온통로와 PI(3,5)P2 결합체의 3 차원 구조 결정 | 고려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04905 |
57 | 시간 분해 초저온 전자현미경 장치 개발 및 이의 전사 정지 구조 연구에의 적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글로벌선도대학육성지원 | 7.89 | 1711151252 |
58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신진선도과학자육성(기관고유) | 3.33 | 1711061675 |
59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서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대학연구기반구축 | 90 | 1345346387 |
60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 | 1711143500 |
61 | 인간 마이크로비옴 유래 독소인 colibactin 생합성 효소의 초저온 전자현미경 구조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 | 1711117983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371.41 | 1185건 |
2023년 | 457.91 | 1425건 |
2022년 | 438.97 | 1464건 |
2021년 | 392.43 | 1396건 |
2020년 | 381.43 | 1274건 |
2019년 | 305.33 | 1077건 |
2018년 | 268.97 | 863건 |
2017년 | 222.71 | 676건 |
2016년 | 182.23 | 511건 |
2015년 | 149.63 | 419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61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110554000 | 110.55 | 2710009408 |
2 | Cryo-EM 운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운영유지비 | 400000000 | 400 | 1711151169 |
3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525000000 | 525 | 1711134425 |
4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1090000 | 51.09 | 1711023265 |
5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20000000 | 120 | 1711148415 |
6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3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135000 | 10.13 | 1345375081 |
7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45000000 | 45 | 1345371865 |
8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40000000 | 140 | 1711065759 |
9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700000000 | 700 | 1711154965 |
10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45000000 | 45 | 1345359436 |
11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700000000 | 700 | 1711199687 |
12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0000000 | 90 | 2710013082 |
13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200000000 | 200 | 1711157749 |
14 | Cryo-EM을 통한 아밀로이드 피브릴화 저해를 타깃하는 Amyloid-β-TTR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구조적 연구 및 신경보호 효과 | 부산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000000 | 30 | 2340012341 |
15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99999000 | 100 | 1711114062 |
16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1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118000 | 10.12 | 1345331000 |
17 | Cryo-EM을 이용한 PSD-95 - AMPA receptor 복합체 형성, 신호 전달 및 시냅스 가소성에 관한 분자 기전 연구 | 울산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60000000 | 60 | 2340010268 |
18 | Cryo-EM 운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운영유지비 | 430000000 | 430 | 1711199170 |
19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19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5000000 | 15 | 1345306410 |
20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2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120000 | 10.12 | 1345346920 |
21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1090000 | 51.09 | 1711012310 |
22 | Cryo-EM 활용한 Oryctes rhinoceros NudiVirus 고분해능 구조 규명 연구 | 강원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2500000 | 12.5 | 2340010764 |
23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90000000 | 190 | 1711086714 |
24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45000000 | 45 | 1345342144 |
25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122837000 | 122.84 | 1711154814 |
26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200000000 | 200 | 1711200090 |
27 | 인공지능과 다이아바디를 융합한 스타틴 트랜스포머 cryo-EM 구조 규명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광주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8895549 | 8.9 | 1711203292 |
28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150000000 | 150 | 2710015582 |
29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122837000 | 122.84 | 1711185672 |
30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99999000 | 100 | 1711144377 |
31 | Cryo-EM 운영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운영유지비 | 400000000 | 400 | 1711177122 |
32 | 유니버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한 초저온전자현미경 기반 다클론항체 에피톱 맵핑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71763 |
33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9999000 | 100 | 1711165023 |
34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90000000 | 190 | 1711068283 |
35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20000000 | 120 | 1711086713 |
36 | cryo-EM을 이용한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의 3차 구조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중개연구 | 50000000 | 50 | 1465025833 |
37 | cryo-EM을 이용한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의 3차 구조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중개연구 | 25000000 | 25 | 1465023967 |
38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울산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1090000 | 51.09 | 1711036383 |
39 | 후성유전체 조절 non-canonical PRC1 복합체의 Cryo-EM 구조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8500000 | 48.5 | 1345292677 |
40 | 인공 바인더 단백질을 접목한 새로운 세포막 단백질의 cryo-EM 구조 분석기술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000000 | 30 | 2340012793 |
41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고려대학교 | 2020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5000000 | 15 | 1345319183 |
42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31600000 | 131.6 | 1711049873 |
43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525000000 | 525 | 2710014083 |
44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9999000 | 100 | 1711187837 |
45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150000000 | 150 | 1711134246 |
46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120000000 | 120 | 1711114816 |
47 | 후성유전체 조절 non-canonical PRC1 복합체의 Cryo-EM 구조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36000000 | 36 | 1345280616 |
48 | 미세 결정을 이용한 원자분해능 3차원 구조 규명 Cryo-EM 분석법 개발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분석과학기술 확산 | 30000000 | 30 | 1711151226 |
49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00000 | 37.5 | 1711118921 |
50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신진선도과학자육성(New generation research program) | 6667000 | 6.67 | 1711097422 |
51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학연구기반구축 | 100000000 | 100 | 1345374151 |
52 | 고분해능 3차원 Cryo-electron microscopy를 통한 키조개 접합 단백질의 구조분석 | 포항공과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0000000 | 40 | 1345287072 |
53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신진선도과학자육성 | 10000000 | 10 | 1711078520 |
54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67499 |
55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학연구기반구축 | 100000000 | 100 | 1345358437 |
56 | 초저온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TRPML3 이온통로와 PI(3,5)P2 결합체의 3 차원 구조 결정 | 고려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04905 |
57 | 시간 분해 초저온 전자현미경 장치 개발 및 이의 전사 정지 구조 연구에의 적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글로벌선도대학육성지원 | 7890000 | 7.89 | 1711151252 |
58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신진선도과학자육성(기관고유) | 3333000 | 3.33 | 1711061675 |
59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서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대학연구기반구축 | 90000000 | 90 | 1345346387 |
60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43500 |
61 | 인간 마이크로비옴 유래 독소인 colibactin 생합성 효소의 초저온 전자현미경 구조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17983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61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2710009408 | 110554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Cryo-EM 운영 | 1711151169 | 4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1711134425 | 5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1711023265 | 510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1711148415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1345375081 | 101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1345371865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1711065759 | 1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1711154965 | 7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1345359436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1711199687 | 7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2710013082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1711157749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Cryo-EM을 통한 아밀로이드 피브릴화 저해를 타깃하는 Amyloid-β-TTR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구조적 연구 및 신경보호 효과 | 2340012341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1711114062 | 9999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1345331000 | 10118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Cryo-EM을 이용한 PSD-95 - AMPA receptor 복합체 형성, 신호 전달 및 시냅스 가소성에 관한 분자 기전 연구 | 2340010268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Cryo-EM 운영 | 1711199170 | 43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0건 | 0건 | |||
2019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1345306410 | 1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1345346920 | 10120000 | 기타 | 대학 | 고려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1711012310 | 510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Cryo-EM 활용한 Oryctes rhinoceros NudiVirus 고분해능 구조 규명 연구 | 2340010764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원대학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1711086714 | 1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Cryo-EM을 이용한 청각수용세포 기계감각채널(MET complex)의 작동원리 규명 | 1345342144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후국외연수(전략분야)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1711154814 | 12283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1711200090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광주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인공지능과 다이아바디를 융합한 스타틴 트랜스포머 cryo-EM 구조 규명 연구 | 1711203292 | 8895549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광주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2710015582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CXCR7/beta-arrestin2/CXCL12 결합체의 cryo-EM 구조 규명 | 1711185672 | 12283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2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1711144377 | 9999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Cryo-EM 운영 | 1711177122 | 4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유니버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한 초저온전자현미경 기반 다클론항체 에피톱 맵핑 | 1345371763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1711165023 | 9999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1711068283 | 1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1711086713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R&D) | cryo-EM을 이용한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의 3차 구조 연구 | 1465025833 | 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광주과학기술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능유전체학 및 단백체학 | 0건 | 0건 |
2017 | 보건복지부 | 질환극복기술개발 | cryo-EM을 이용한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의 3차 구조 연구 | 1465023967 | 25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광주과학기술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기능유전체학 및 단백체학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Cryo-EM 영상분석을 통한 단백질 형태 변형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 | 1711036383 | 510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후성유전체 조절 non-canonical PRC1 복합체의 Cryo-EM 구조 연구 | 1345292677 | 48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인공 바인더 단백질을 접목한 새로운 세포막 단백질의 cryo-EM 구조 분석기술 개발 | 2340012793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Cryo-EM을 이용한 Connexin43 간극연접의 닫힘 조절 메커니즘 연구 및 생물학적 의미 규명 | 1345319183 | 1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Cryo-EM과 X선 결정학을 이용한, 거대 막단백질 복합체인 RND-타입 다제내성 배출펌프 (multidrug efflux pump)의 3차원 구조 규명 | 1711049873 | 131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고해상도 입체 구조 해석을 위한 Cryo-EM/ET 이미징 연계 기술개발연구 | 2710014083 | 5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Cryo-EM map으로 표현된 단백질 분자의 형상 분석과 비교 | 1711187837 | 9999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시간 분해능 cryo-EM을 이용한 ABC 트랜스포터 구조 전이 연구 | 1711134246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X-선 결정학과 cryo-EM을 이용한 atypical GPCR인 CXCR7의 beta-arrestin에 의한 탈감각 기전연구 | 1711114816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3억초과~5억이하)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후성유전체 조절 non-canonical PRC1 복합체의 Cryo-EM 구조 연구 | 1345280616 | 3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미세 결정을 이용한 원자분해능 3차원 구조 규명 Cryo-EM 분석법 개발 | 1711151226 | 3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1711118921 | 375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1711097422 | 6667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1345374151 | 100000000 | 기타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고분해능 3차원 Cryo-electron microscopy를 통한 키조개 접합 단백질의 구조분석 | 1345287072 | 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1711078520 | 1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1711167499 | 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1345358437 | 100000000 | 기타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초저온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TRPML3 이온통로와 PI(3,5)P2 결합체의 3 차원 구조 결정 | 1345304905 | 45000000 | 기타 | 대학 | 고려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시간 분해 초저온 전자현미경 장치 개발 및 이의 전사 정지 구조 연구에의 적용 | 1711151252 | 789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구조 공간 어닐링을 이용한 초저온 전자 현미경 단백질 구조 결정 | 1711061675 | 3333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공동연구활성화지원과제(융합형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술 구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 내 생체 분자 구조 규명) | 1345346387 | 90000000 | 기타 | 대학 | 서울대학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초저온 전자현미경 단입자 분석을 통한 고세균 전사 복합체 구조 연구 | 1711143500 | 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간 마이크로비옴 유래 독소인 colibactin 생합성 효소의 초저온 전자현미경 구조 연구 | 1711117983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