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역노화Cell rejuvenation
-
기술 정의
세포 리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하고,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
-
기술장점
세포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퇴행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건강수명 연장 및 노년 삶의 질을 향상
-
실현 시기
향후 5년 : 특정세포 대상 역노화 기술을 구현하고, 기술의 이론적인 배경 및 기전을 확립
향후 10년 : 다양한 세포에 대한 역노화 기술 확보를 통해 노화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수명 연장에 도전
-
요소 기술
1) 종역노화 기술
- 유전자, 단백질, 저분자 물질 등 역노화를 유도하는 다양한 유도인자 발굴 기술
- 특정 세포 혹은 조직의 역노화 유도를 위한 유도인자 타겟팅 기술
- 주요 세포별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 역노화 유도 합성생물학 기술
- 역노화 기술 검증을 위한 오가노이드 및 동물모델 기술2) 역노화 기전 연구 기술
- 역노화를 좌우하는 핵심 유전자 혹은 단백질 발굴
- 역노화 과정의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특징 규명*
* 역노화 과정에서 생기는 중간 단계 세포의 특징을 정의하고, 이로부터 유도 과정의 세포 운명의 변화를 규명
- 시스템생물학 및 단세포유전체학 기술3) 역노화 조절 기술
- 암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역노화를 조절하는 기술
- 역노화유도 과정의 중간단계 세포의 특징 규명 기술(마커 확보)
- 역노화 유도물질의 안정성 확보 기술
- 전분화능 세포 제거 기술 -
주요 이슈
시스템적인 접근을 통해 세포 전체의 운명을 젊은 세포로 변환시키는 새로운 기술로써 세포생물학 연구와 같은 기초 연구뿐 아니라 항노화 연구 및 노인성/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과 같은 이행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
해외 기술개발동향
■ 미국 하버드 연구진은 유전자 돌연변이 없이 후성유전체 이상에 의해서 노화가 발생하고, 거꾸로 노화 생쥐에 역분화에 사용되는 야마나까 인자를 발현시키면 후성유전체의 변화를 복구하여 항노화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Cell, 2023)
■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팀은 50대 성인의 피부세포를 부분 리프로그래밍하여 20대 초반의 피부세포로 만드는 데 성공(eLife, 2022, 71624)
■ Calico Lie Science LLC연구팀은 부분 리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하여 노화된 세포에서 젊음 유전자 발현에 성공(Cell systems, 2022, v13, p574)
■ 바이오스타트업 알토스랩스는 항노화 및 질환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세포 역노화 프로그래밍을 연구하는 생명공학 회사로써 3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
-
국내 기술개발동향
■ KAIST 및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의 공동연구를 통해 피부세포를 역노화 시키는 기술이 개발됨(Proc Natl Acs Sci USA 2020, v117, p31535)
- 연구진은 노화된 피부세포를 젊은 피부세포로 되돌리는 데 필요한 핵심 인자를 발견함으로써, 역(逆)노화의 초기 원천기술과 검증 모델을 개발■ 성균관의대 연구팀은 저분화 물질 조합을 사용하여 섬유아세포를 근육세포로 리프로그래밍 시키는 기술을 개발(Biomaterials 2019, v193, p30).
- 세포 신호를 조절하는 여러 저분자물질을 처리하여 섬유아세포를 근육세포로 리프로그래밍함으로써 근육 재생에 성공하여, 손상이나 노화에 의해 감소된 근육을 회복시킬 수 있음을 증명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항노화 및 퇴행성질환 치료제 시장은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본 기술을 통한 치료제 개발로 커다란 경제·산업적 효과가 전망
-
사회적 기대효과
노령화에 따른 사회적 의료비 지출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수명을 연장하여 경제활동 인구의 폭을 넓힐 수 있음
-
필요 사항
- 세포 역노화 기술은 선진국에서도 시작 단계에 있으므로 국제적으로 기술을 선점하여 경제적 및 사회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 인력개발, 연구지원, 예산마련, 관련법령 개정 등 기술개발 및 기술을 이용한 역노화 및 노화 관련 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전주기 과정 지원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063.37 | 10건 |
2023년 | 1,598.41 | 8건 |
2022년 | 1,560.96 | 8건 |
2021년 | 696.24 | 5건 |
2020년 | 575 | 4건 |
2019년 | 7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6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노화 세포 제거를 위한 세노-리프로그래밍 기전 규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65.31 | 1711199773 |
2 | 노화 세포 제거를 위한 세노-리프로그래밍 기전 규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120.96 | 2710003169 |
3 | 줄기세포 노화억제 재활성화를 통한 생체 내외 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발굴 및 노화진단 억제 역전 전략 개발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사업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268.47 | 1415179737 |
4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서울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1.11 | 1711185050 |
5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200 | 1711188064 |
6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472 | 1711158350 |
7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92.5 | 1711119208 |
8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02.8 | 1711127368 |
9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23.3 | 1711155578 |
10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1 | 2710011958 |
11 | 뇌면역세포의 역노화 연구실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469.5 | 2710017298 |
12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건양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7.64 | 1711137384 |
13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02.8 | 1711126780 |
14 | 역노화를 위한 유전자 회로 도입 차세대 노화 세포 제거 CAR-T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 | 2340011814 |
15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471 | 2710012408 |
16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96.75 | 1711174764 |
17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92.5 | 1711119214 |
18 |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줄기세포 맞춤형 역노화 화학 조성 배지 첨가제 개발 | 셀라퓨틱스바이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확대형) | 353.75 | 2420002410 |
19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고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 | 1711159624 |
20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중앙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02 | 1711191221 |
21 |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줄기세포 맞춤형 역노화 화학 조성 배지 첨가제 개발 | (주)셀라퓨틱스바이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확대형) | 177.5 | 1425179741 |
22 | 인간 전능성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 표면의 “단백질-코로나”가 매개하는 세포 역노화 및 전능성 조절기전 규명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131.16 | 2710003452 |
23 | 조혈줄기세포 역노화를 이용한 면역노화 조절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70 | 1711100092 |
24 | 인간 전능성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 표면의 “단백질-코로나”가 매개하는 세포 역노화 및 전능성 조절기전 규명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69.48 | 1711199777 |
25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352.5 | 1711119243 |
26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고려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 | 1711143253 |
27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50 | 2710017553 |
28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고려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 | 1711117622 |
29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628 | 1711185752 |
30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2.15 | 1711160673 |
31 | 뇌면역세포의 역노화 연구실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375 | 1711172931 |
32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200 | 1711179889 |
33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23.3 | 1711155741 |
34 | GRASP55 매개 세포 노화 및 역노화 기전 규명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 | 2340011845 |
35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393 | 1711133009 |
36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50 | 2710011609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37.26 | 174건 |
2023년 | 34.17 | 197건 |
2022년 | 32.47 | 182건 |
2021년 | 31.43 | 173건 |
2020년 | 29.48 | 157건 |
2019년 | 30.41 | 156건 |
2018년 | 30.71 | 137건 |
2017년 | 24.98 | 127건 |
2016년 | 20.65 | 120건 |
2015년 | 19.13 | 103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6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노화 세포 제거를 위한 세노-리프로그래밍 기전 규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65306000 | 65.31 | 1711199773 |
2 | 노화 세포 제거를 위한 세노-리프로그래밍 기전 규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120962000 | 120.96 | 2710003169 |
3 | 줄기세포 노화억제 재활성화를 통한 생체 내외 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발굴 및 노화진단 억제 역전 전략 개발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사업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 268467000 | 268.47 | 1415179737 |
4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서울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1107000 | 201.11 | 1711185050 |
5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200000000 | 200 | 1711188064 |
6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472000000 | 472 | 1711158350 |
7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92500000 | 92.5 | 1711119208 |
8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02800000 | 102.8 | 1711127368 |
9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23300000 | 123.3 | 1711155578 |
10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997000 | 181 | 2710011958 |
11 | 뇌면역세포의 역노화 연구실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469501000 | 469.5 | 2710017298 |
12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건양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7636000 | 47.64 | 1711137384 |
13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02800000 | 102.8 | 1711126780 |
14 | 역노화를 위한 유전자 회로 도입 차세대 노화 세포 제거 CAR-T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000000 | 30 | 2340011814 |
15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471000000 | 471 | 2710012408 |
16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96747000 | 96.75 | 1711174764 |
17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92500000 | 92.5 | 1711119214 |
18 |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줄기세포 맞춤형 역노화 화학 조성 배지 첨가제 개발 | 셀라퓨틱스바이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확대형) | 353750000 | 353.75 | 2420002410 |
19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고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59624 |
20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중앙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021000 | 57.02 | 1711191221 |
21 |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줄기세포 맞춤형 역노화 화학 조성 배지 첨가제 개발 | (주)셀라퓨틱스바이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확대형) | 177500000 | 177.5 | 1425179741 |
22 | 인간 전능성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 표면의 “단백질-코로나”가 매개하는 세포 역노화 및 전능성 조절기전 규명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131162000 | 131.16 | 2710003452 |
23 | 조혈줄기세포 역노화를 이용한 면역노화 조절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70000000 | 70 | 1711100092 |
24 | 인간 전능성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 표면의 “단백질-코로나”가 매개하는 세포 역노화 및 전능성 조절기전 규명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69481000 | 69.48 | 1711199777 |
25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352500000 | 352.5 | 1711119243 |
26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고려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43253 |
27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50000000 | 150 | 2710017553 |
28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고려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00000 | 37.5 | 1711117622 |
29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628000000 | 628 | 1711185752 |
30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2151000 | 52.15 | 1711160673 |
31 | 뇌면역세포의 역노화 연구실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375000000 | 375 | 1711172931 |
32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200000000 | 200 | 1711179889 |
33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23300000 | 123.3 | 1711155741 |
34 | GRASP55 매개 세포 노화 및 역노화 기전 규명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000000 | 6 | 2340011845 |
35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아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393000000 | 393 | 1711133009 |
36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150000000 | 150 | 2710011609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6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노화 세포 제거를 위한 세노-리프로그래밍 기전 규명 | 1711199773 | 65306000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노화 세포 제거를 위한 세노-리프로그래밍 기전 규명 | 2710003169 | 120962000 | 기초연구 | 기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사업 | 줄기세포 노화억제 재활성화를 통한 생체 내외 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발굴 및 노화진단 억제 역전 전략 개발 | 1415179737 | 268467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바이오마커 기반기술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1711185050 | 201107000 | 대학 | 서울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1711188064 | 200000000 | 대학 | 건국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58350 | 472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아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1711119208 | 92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1711127368 | 1028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1711155578 | 1233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2710011958 | 18099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뇌면역세포의 역노화 연구실 | 2710017298 | 469501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1711137384 | 47636000 | 기초연구 | 대학 | 건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26780 | 1028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역노화를 위한 유전자 회로 도입 차세대 노화 세포 제거 CAR-T 개발 | 2340011814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2710012408 | 471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아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건 기질로 조절된 탯줄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내재성 줄기세포의 역노화 기전을 통한 건 재생 연구 | 1711174764 | 9674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19214 | 925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줄기세포 맞춤형 역노화 화학 조성 배지 첨가제 개발 | 2420002410 | 35375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셀라퓨틱스바이오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1711159624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1711191221 | 57021000 | 대학 | 중앙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줄기세포 맞춤형 역노화 화학 조성 배지 첨가제 개발 | 1425179741 | 177500000 | 중소기업 | (주)셀라퓨틱스바이오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인간 전능성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 표면의 “단백질-코로나”가 매개하는 세포 역노화 및 전능성 조절기전 규명 | 2710003452 | 131162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조혈줄기세포 역노화를 이용한 면역노화 조절기술 개발 | 1711100092 | 7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인간 전능성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 표면의 “단백질-코로나”가 매개하는 세포 역노화 및 전능성 조절기전 규명 | 1711199777 | 69481000 | 대학 | 고려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19243 | 352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아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1711143253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2710017553 | 15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장수고밀도 효모 세포의 생애 주기별 유전체 발현 분석을 통한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발굴 | 1711117622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85752 | 628000000 | 대학 | 아주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망막 퇴화 억제를 위한 뮐러세포의 역노화를 유도하는 부분 리프로그래밍 인자 발굴과 망막 신경보호 작용 연구 | 1711160673 | 52151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뇌면역세포의 역노화 연구실 | 1711172931 | 37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79889 | 200000000 | 대학 | 포항공과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시각세포 노화 및 발생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55741 | 1233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GRASP55 매개 세포 노화 및 역노화 기전 규명 | 2340011845 | 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1711133009 | 393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아주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노화세포 역노화 기술 적용을 통한 시각노화 극복 연구 | 2710011609 | 15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노화제어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