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 내 면역세포 실시간 분석In situ immune cell live imaging sequencing
-
기술 정의
다양한 면역세포의 기능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동시에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
-
기술장점
복잡한 면역반응과 질환별 면역세포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여 인체 면역 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활용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생체 내 장기들의 다양한 질환별 면역 반응에서 면역세포의 기능과 형태 변화의 상관성을 실시간으로 이미징과 유전자 수준에서 통합
향후 10년 : 질환별 면역반응에서 면역세포 종류에 따른 기능과 형태 변화의 상관성을 실시간 3차원으로 규명하여, 질환별 면역반응 이해 및 치료제 개발에 활용
-
요소 기술
* 출처: Crainicuc et al Nature (2022) 1) (생체이미징) 살아 있는 동물모델에서 면역세포의 3차원 실시간 이미징 기술 - 이광자 생체이미징(two-photon intravital imaging) 또는 스피닝디스크 생체이미징(spinning-disk intravital imaging) 기술을 활용하여 살아있는 동물모델의 다양한 장기들에서 면역세포들의 이동 및 형태를 실시간으로 3차원 분석 - 면역세포 특이적 형광화 마우스 확립과 형광항체 및 형광물질 개발 2) (유전체분석) Single cell RNA sequencing 기술 - 생체이미징 데이터를 기반으로 면역세포 형태-역학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상관성을 single cell RNA sequencing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
주요 이슈
현재까지 전사체 또는 단백체 분석(transcriptional and proteomic profiling)은 건강한 조직과 질환 발생 조직을 세포 수준으로 비교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나, 실제적인 면역반응은 세포내 유전자 발현에 의한 생화학적 특성에 따른 형태-역학적 지표들의 상관성 분석이 요구되므로, 생체이미징 결과와 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 분석이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생체이미징 기술과 유전체 발현 분석 기술의 결합을 통한 면역반응의 해석은 2022년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의 Andres Hidalgo 그룹이 Nature에 세계 최초로 발표 - 생체이미징 기술은 숙련된 연구자들이 수행하여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상황으로, 그만큼 미충족 연구 수요가 매우 큰 상황 - 생체이미징을 활용하는 선도적인 연구 그룹들에서 유전체 분석기술과 생체이미징을 결합한 연구들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추세
-
국내 기술개발동향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생체이미징 기술과 유전체 분석을 결합한 연구 발표 사례는 전무한 상황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해당 기술은 면역세포들의 기능과 형태 및 이동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살아있는 동물에서 질환이 발병한 장기의 세포내 분자수준에서 3차원으로 실시간 규명이 가능하여, 면역기전 이해에 새로운 장을 열 수 있고,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질환 맞춤형 면역기전의 이해를 높여 건강수명 연장을 구현하기 위한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평가
-
사회적 기대효과
바이오의약분야의 국가 경쟁력 확보와 난치성 질환 치료법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
-
필요 사항
생체 이미징 기술과 유전체 분석을 조합한 연구수행 및 결과 분석이 가능한 숙련된 연구 인력 필요질환 특이적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들의 기능 관련 유전체 라이브러리 구축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1,654.29 | 5건 |
2023년 | 823.36 | 3건 |
2022년 | 692.46 | 3건 |
2021년 | 118.03 | 1건 |
2018년 | 45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13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05 | 1711185587 |
2 | 급성 신손상에서 succinate에 의한 수지상 세포 활성 기전 규명 및 면역 활성과 손상에 대한 실시간 생체이미지 모니터링 기술 개발 | 경희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286901 |
3 | 유무기 생체소재 고도화를 통한 in situ 표면개질 기반 항암치료용 면역세포전환 연구실 | 동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후속연구 | 500 | 2710006048 |
4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118.03 | 1711139880 |
5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1) | 524.7 | 2710000005 |
6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울산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 | 524.7 | 1711179439 |
7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 | 393.8 | 1711174579 |
8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1 | 1711188047 |
9 | 면역세포의 원격 시공간적 조절 및 실시간 이미징을 위한 힘-감응성 유전자 스위치 개발 | 연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34.48 | 2710004571 |
10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06.75 | 2710017431 |
11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1 | 1711153466 |
12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05 | 1711163486 |
13 | T 세포 기반 면역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실시간 세포 이미징/임피던스 분석기 구축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 | 288.36 | 2710006228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31.89 | 112건 |
2023년 | 39.5 | 137건 |
2022년 | 38.75 | 134건 |
2021년 | 35.24 | 113건 |
2020년 | 29.84 | 106건 |
2019년 | 21.87 | 92건 |
2018년 | 16.79 | 71건 |
2017년 | 14.55 | 53건 |
2016년 | 9.02 | 49건 |
2015년 | 6.47 | 45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13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050000 | 180.05 | 1711185587 |
2 | 급성 신손상에서 succinate에 의한 수지상 세포 활성 기전 규명 및 면역 활성과 손상에 대한 실시간 생체이미지 모니터링 기술 개발 | 경희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286901 |
3 | 유무기 생체소재 고도화를 통한 in situ 표면개질 기반 항암치료용 면역세포전환 연구실 | 동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후속연구 | 500000000 | 500 | 2710006048 |
4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118030000 | 118.03 | 1711139880 |
5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1) | 524700000 | 524.7 | 2710000005 |
6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울산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 | 524700000 | 524.7 | 1711179439 |
7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 | 393800000 | 393.8 | 1711174579 |
8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07000 | 118.61 | 1711188047 |
9 | 면역세포의 원격 시공간적 조절 및 실시간 이미징을 위한 힘-감응성 유전자 스위치 개발 | 연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34484000 | 234.48 | 2710004571 |
10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06747000 | 106.75 | 2710017431 |
11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부산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8607000 | 118.61 | 1711153466 |
12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050000 | 180.05 | 1711163486 |
13 | T 세포 기반 면역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실시간 세포 이미징/임피던스 분석기 구축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사업 | 288357300 | 288.36 | 2710006228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13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1711185587 | 180050000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급성 신손상에서 succinate에 의한 수지상 세포 활성 기전 규명 및 면역 활성과 손상에 대한 실시간 생체이미지 모니터링 기술 개발 | 1345286901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유무기 생체소재 고도화를 통한 in situ 표면개질 기반 항암치료용 면역세포전환 연구실 | 2710006048 | 5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동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1711139880 | 11803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2710000005 | 5247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79439 | 524700000 | 대학 | 울산대학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 기능성 지표 실시간 분석, 고감도 역가 측정 기술, 단일세포 분석법, 면역 모니터링 분석법을 활용한 간질성 방광염 타겟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74579 | 3938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1711188047 | 118607000 | 대학 | 부산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면역세포의 원격 시공간적 조절 및 실시간 이미징을 위한 힘-감응성 유전자 스위치 개발 | 2710004571 | 234484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2710017431 | 106747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시간 세포 엔지니어링을 통한 암 면역치료 패치 개발 | 1711153466 | 118607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in situ 세포공학 기술 개발 | 1711163486 | 18005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T 세포 기반 면역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실시간 세포 이미징/임피던스 분석기 구축 | 2710006228 | 2883573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