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Plastic degrading artificial microorganism
-
기술 정의
합성생물학을 통해 플라스틱 분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상향식(bottom-up) 방식으로 개발하는 기술
-
기술장점
플라스틱 분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의 유전체를 디자인(design)-빌드(build) -테스트(test)-런(learn) 사이클로 합성하여 해양 등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플라스틱 문제해결에 기여
-
실현 시기
향후 5년 : 플라스틱 분해 효소/미생물의 발굴 및 활성 증대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의 시스템생물학 연구(NGS 기반 오믹스 데이터, in silico 모델 개발 등)
향후 10년 : 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 유전체 합성 및 최적화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의 오염 현장 적용
-
요소 기술
1) 플라스틱 분해 효소/미생물의 대용량 초고속 탐색기술
- 자연계(메타게놈)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하도록 진화된 효소/미생물을 초고속으로 프로파일링
2) 플라스틱 분해 효소의 분자진화기술
- 플라스틱 분해 효소의 활성을 큰 폭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단백질 분자진화
3) 플라스틱 분해의 대사경로 재설계 및 최적화기술
-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자연계 미생물의 분해경로 재설계를 통한 플라스틱 분해 최적화
4) 인공유전체 합성 및 실험진화기술
- 플라스틱 분해 인공유전체의 설계, 합성, 검증 및 실험진화를 통한 최적화
- 머신러닝 및 AI 연계를 통한 다양한 플라스틱 분해 인공유전체 합성 자동화
-
주요 이슈
인공유전체 합성기술은 이미 보고된 바 있으나, 기능을 부여하여 원하는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맞춤형 인공유전체의 설계, 합성, 적용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음 - 머신러닝 및 AI가 연계되어 인공유전체 합성을 자동화, 고속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진전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2016년 PET 분해 박테리아 Ideonella sakaiensis 발견(일본)
2017년 플라스틱 분해 벌레 Galleria mellonella 발견(스페인)
2018년 플라스틱 분해 곰팡이 Asperfillus tubingensis 발견(영국)
2018년 PET 분해 박테리아로부터 플라스틱 분해 효소의 발견(영국)
2018년 PET 분해 효소의 3차 구조 규명(중국, 한국)
-
국내 기술개발동향
KAIST 등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노머의 미생물 기반 생산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KAIST와 경북대 공동연구팀에서 PET 분해효소의 단백질 구조 규명 성공, 효소 활성 개량 시도 중
하지만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의 대사, 조절경로 등의 네트워트 분석 및 인실리코 모델 개발 연구 부재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플라스틱 쓰레기의 해양 투기는 해양 생물, 관광, 어업 등에 미치는 피해가 연간 최소 130억 달러(약 13.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 출처 : UNEP, 유엔환경계획, 2014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한 환경처리 비용 및 경제적 손실 막대 - 플라스틱 포장재의 14%만이 재활용. 연간 800억∼1,200억달러 (약 92∼139조원) 가치의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 대부분의 플라스틱 포장재는 한번 사용되고 버려져 환경오염 야기 * 출처 : World Economic Forum, The New Plastics Economy : Rethinking the future of plastics, 2016.1
-
사회적 기대효과
플라스틱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한 먹거리 안전에 대하 사회적 공포를 해소하는 데에 기여 - 매년 최소 800만톤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출되고 있고, 이것은 1분 마다 쓰레기 트럭 1대분의 쓰레기를 바다에 투기하기 것과 같은 양임 -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2050년에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무게가 더 나갈 것으로 전망(2025년 플라스틱 쓰레기와 물고기 중량 비율 1:3)
-
필요 사항
플라스틱을 분해하도록 진화된 효소, 미생물을 자연계에서 초고속, 대용량으로 탐색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DB 구축 필요인공적으로 합성된 미생물에 대한 규제 가이드라인이 정립될 필요가 있으며, 규제가 마련되기 전에는 광범위한 현장적용에 한계가 있으므로 실용화 접근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1,031.28 | 7건 |
2023년 | 1,363.84 | 7건 |
2022년 | 1,497.34 | 9건 |
2021년 | 593.37 | 7건 |
2020년 | 410 | 4건 |
2019년 | 2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함유된 첨가제에 의한 미생물 군집 변화 및 분해 효율 연구 | 인천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 | 2340011891 |
2 | 미생물의 진화적 개량을 통한 바이오플라스틱 단량체 생산 및 폐플라스틱 분해 | 포항공과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41082 |
3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활성 분석법 확립 및 핵심 분해미생물 발굴 | 국립농업과학원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90 | 1395063953 |
4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강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469.5 | 2710017031 |
5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강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500 | 1711182405 |
6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강원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375 | 1711172911 |
7 |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을 위한 미생물 탐색 및 분해력 검정 | 국립농업과학원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농업환경연구 | 20 | 1395062420 |
8 | 등각류를 이용한 숙주-미생물 반응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전 연구 | 상명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2.5 | 1711185739 |
9 | 등각류를 이용한 숙주-미생물 반응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전 연구 | 상명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0.25 | 2710011538 |
10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7.66 | 1711168674 |
11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59.44 | 1711140616 |
12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0.1 | 1711190014 |
13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분해미생물 탐색 및 활성 평가 | 국립농업과학원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80 | 1395065901 |
14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70 | 1395067451 |
15 | 바이오플라스틱 분해 우량 미생물 발굴 및 고효율 통합소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65.22 | 2710005031 |
16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70 | 1395072132 |
17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3공동) | 중앙대학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67 | 1395070280 |
18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2공동) | 광주과학기술원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160 | 1395072677 |
19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3공동)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70 | 1395073008 |
20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2공동) | 광주과학기술원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153 | 1395069173 |
21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40 | 1395072096 |
22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60 | 1395068028 |
23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3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90 | 1395077693 |
24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 | 국립농업과학원 | 2024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0 | 2390001115 |
25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포항공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3.67 | 1711182673 |
26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증식 극대화를 위한 플라즈마 전처리 기술 개발 | 국가핵융합연구소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100 | 1395063828 |
27 | 다양한 농업 환경으로부터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미생물 발굴 및 생리적 특성 구명 | 광주과학기술원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140 | 1395064022 |
28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주식회사 리플라 | 2021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6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138.93 | 1425155454 |
29 | 방사선 이용 환경맞춤형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제제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방사선이용폐플라스틱저감기술개발 | 난분해성 폐플라스틱 생분해 및 제제화 기술 개발 | 212.18 | 1711179250 |
30 | 식물성 폐기물 기질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컨소시엄 제작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 | 2340001611 |
31 | 방사선 이용 환경맞춤형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제제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방사선 이용 폐플라스틱 저감기술개발(R&D) | 난분해성 폐플라스틱 생분해 및 제제화 기술 개발 | 227.61 | 1711173888 |
32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3.67 | 1711155330 |
33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주식회사 리플라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6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165.38 | 1425172875 |
34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주식회사 리플라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6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253.4 | 1425160899 |
35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4.31 | 2710013804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3.6 | 28건 |
2023년 | 4.15 | 30건 |
2022년 | 3.41 | 31건 |
2021년 | 1.86 | 24건 |
2020년 | 1.63 | 21건 |
2019년 | 0.824 | 9건 |
2018년 | 0.904 | 9건 |
2017년 | 1.02 | 11건 |
2016년 | 0.956 | 11건 |
2015년 | 1.17 | 9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함유된 첨가제에 의한 미생물 군집 변화 및 분해 효율 연구 | 인천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000000 | 6 | 2340011891 |
2 | 미생물의 진화적 개량을 통한 바이오플라스틱 단량체 생산 및 폐플라스틱 분해 | 포항공과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41082 |
3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활성 분석법 확립 및 핵심 분해미생물 발굴 | 국립농업과학원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90000000 | 90 | 1395063953 |
4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강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469501000 | 469.5 | 2710017031 |
5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강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500000000 | 500 | 1711182405 |
6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강원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375000000 | 375 | 1711172911 |
7 |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을 위한 미생물 탐색 및 분해력 검정 | 국립농업과학원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농업환경연구 | 20000000 | 20 | 1395062420 |
8 | 등각류를 이용한 숙주-미생물 반응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전 연구 | 상명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2500000 | 122.5 | 1711185739 |
9 | 등각류를 이용한 숙주-미생물 반응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전 연구 | 상명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0250000 | 110.25 | 2710011538 |
10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7656000 | 107.66 | 1711168674 |
11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59440000 | 59.44 | 1711140616 |
12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0104000 | 80.1 | 1711190014 |
13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분해미생물 탐색 및 활성 평가 | 국립농업과학원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80000000 | 80 | 1395065901 |
14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70000000 | 70 | 1395067451 |
15 | 바이오플라스틱 분해 우량 미생물 발굴 및 고효율 통합소화 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65220000 | 265.22 | 2710005031 |
16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70000000 | 70 | 1395072132 |
17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3공동) | 중앙대학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67000000 | 67 | 1395070280 |
18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2공동) | 광주과학기술원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160000000 | 160 | 1395072677 |
19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3공동)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70000000 | 70 | 1395073008 |
20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2공동) | 광주과학기술원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153000000 | 153 | 1395069173 |
21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40000000 | 40 | 1395072096 |
22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기술개발 | 60000000 | 60 | 1395068028 |
23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3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90000000 | 90 | 1395077693 |
24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 | 국립농업과학원 | 2024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미생물활용농업폐플라스틱분해기술개발 | 0 | 0 | 2390001115 |
25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포항공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3673000 | 193.67 | 1711182673 |
26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증식 극대화를 위한 플라즈마 전처리 기술 개발 | 국가핵융합연구소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100000000 | 100 | 1395063828 |
27 | 다양한 농업 환경으로부터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미생물 발굴 및 생리적 특성 구명 | 광주과학기술원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140000000 | 140 | 1395064022 |
28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주식회사 리플라 | 2021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6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138928000 | 138.93 | 1425155454 |
29 | 방사선 이용 환경맞춤형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제제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방사선이용폐플라스틱저감기술개발 | 난분해성 폐플라스틱 생분해 및 제제화 기술 개발 | 212184000 | 212.18 | 1711179250 |
30 | 식물성 폐기물 기질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컨소시엄 제작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6000000 | 6 | 2340001611 |
31 | 방사선 이용 환경맞춤형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제제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방사선 이용 폐플라스틱 저감기술개발(R&D) | 난분해성 폐플라스틱 생분해 및 제제화 기술 개발 | 227613000 | 227.61 | 1711173888 |
32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3673000 | 193.67 | 1711155330 |
33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주식회사 리플라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6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165381000 | 165.38 | 1425172875 |
34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주식회사 리플라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6월)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253400000 | 253.4 | 1425160899 |
35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포항공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4306000 | 174.31 | 2710013804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5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함유된 첨가제에 의한 미생물 군집 변화 및 분해 효율 연구 | 2340011891 | 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천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미생물의 진화적 개량을 통한 바이오플라스틱 단량체 생산 및 폐플라스틱 분해 | 1345341082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활성 분석법 확립 및 핵심 분해미생물 발굴 | 1395063953 | 90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2710017031 | 469501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1711182405 | 5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광화학 및 미생물 효소 기반 고효율 미세플라스틱 분해 기초연구실 | 1711172911 | 37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강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기초연구실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을 위한 미생물 탐색 및 분해력 검정 | 1395062420 | 2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등각류를 이용한 숙주-미생물 반응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전 연구 | 1711185739 | 12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상명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등각류를 이용한 숙주-미생물 반응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전 연구 | 2710011538 | 110250000 | 기초연구 | 대학 | 상명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1711168674 | 107656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1711140616 | 5944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저자극/고활성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의 폐플라스틱 분해 가속화 연구 | 1711190014 | 80104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분해미생물 탐색 및 활성 평가 | 1395065901 | 8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1주관) | 1395067451 | 70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바이오플라스틱 분해 우량 미생물 발굴 및 고효율 통합소화 기술 개발 | 2710005031 | 26522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1주관) | 1395072132 | 70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3공동) | 1395070280 | 6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2공동) | 1395072677 | 1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3공동) | 1395073008 | 7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 핵심 미생물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기술 개발(2공동) | 1395069173 | 153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2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1395072096 | 4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1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1395068028 | 6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3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1주관) | 1395077693 | 9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0건 | 0건 | |||
2024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 | 농업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조ㆍ분해미생물 선발 및 활용기술 개발 | 2390001115 | 0 | 응용연구 | 정부부처 | 국립농업과학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1711182673 | 193673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증식 극대화를 위한 플라즈마 전처리 기술 개발 | 1395063828 | 10000000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국가핵융합연구소 | 환경생태 | 환경오염 | 토양오염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미생물활용농업환경문제개선기술개발(R&D) | 다양한 농업 환경으로부터 농업용 폐플라스틱 분해미생물 발굴 및 생리적 특성 구명 | 1395064022 | 1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기타환경미생물 | 0건 | 0건 |
2021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1425155454 | 138928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리플라 | 에너지ㆍ자원 | 자원 | 자원 활용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방사선이용폐플라스틱저감기술개발 | 방사선 이용 환경맞춤형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제제 개발 | 1711179250 | 212184000 | 응용연구 | 기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식물성 폐기물 기질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컨소시엄 제작 | 2340001611 | 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방사선 이용 폐플라스틱 저감기술개발(R&D) | 방사선 이용 환경맞춤형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제제 개발 | 1711173888 | 22761300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1711155330 | 193673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1425172875 | 165381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리플라 | 에너지ㆍ자원 | 자원 | 자원 활용 | 0건 | 0건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산업화 개발 | 1425160899 | 2534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리플라 | 에너지ㆍ자원 | 자원 | 자원 활용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해양 바이오필름으로부터 해양 방향족-미세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발굴 | 2710013804 | 174306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