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성유전체 편집Epigenome editing
-
기술 정의
유전자편집 도구를 활용하여 후성유전학적 변이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생물체의 기능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기술
-
기술장점
DNA의 절단이나 서열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 후대 영향 없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유전체 편집이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후성유전학적 변이와 질병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와 DNA 및 히스톤 변형 조절 인자의 라이브러리 구축
향후 10년 : 크리스퍼-후성유전 조절인자 복합체를 바이러스나 나노입자를 이용해 인체에 전달하는 방식의 치료제 개발
-
요소 기술
1) 유전자 특이적 후성유전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및 세포 분화기술 - DNA 메틸화 및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을 통한 유전자 발현 조절 - 다중 유전자 발현을 통한 세포 운명 및 분화 조절 기술 - 특정 세포의 분화, 탈분화와 연관된 유전자, 처리 시간, 처리 강도 등에 대한 입체적 정보 확보 - 질병치료 및 건강 개선을 위한 다중 후성유전학적 조절 메커니즘 규명 2) 후성유전체 편집용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 효소 절단 활성이 제거된 핵산분해효소의 확보와 후성유전체 조절 인자를 연결한 융합단백질 제작 및 가이드 RNA 엔지니어링 - AAV 전달을 위한 초소형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및 유전자가위 엔지니어링 - 오프타겟 최소화를 통한 고특이적 후성유전체 편집 시스템 개발 3) 인체 전달을 위한 전달체 기술 - 다양한 조직 및 장기 전달을 위한 지질나노입자 기반의 전달체 기술 - 면역성이 적고 다양한 조직으로의 전달이 가능한 AAV 전달체 엔지니어링 - 전달체의 인체 안전성 확보 기술 - 조직 특이적 전달기술, 전달 지속성 및 조절 기술
-
주요 이슈
유전자편집기술에 대한 원천성 확보 경쟁 심화, 혁신적인 후성유전체 편집기술 우위 확보 중요 - 후성유전체 편집 모듈의 인체 전달 문제와 단일유전자의 후성유전체 편집으로는 불충분한 생체제어/질병치료의 문제해결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CRISPRi 및 CRISPRa 기술을 활용한 DNA 메틸화, 히스톤 메틸화, 아세틸화, 인산화의 조절 기술 개발(Trend Biotechnol 2021. 39: 678-691) CRISPR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후성유전 조절인자 스크리닝 및 후성유전체 지도 구축 리프로그래밍 유전자의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한 세포 분화 및 유전자 발현 조절기술 개발 단일세포 후성유전체 추적을 통한 뇌발달 메커니즘 규명(Nat. 2021. 598: 205-213) 게놈 재배열(Cell 2018. 1405-1417 e14) 및 크로마틴 루핑(Nat. Commun 2017. 8: 15993) 기술을 통한 대규모의 후성유전체 조절 기술 개발 AAV 엔지니어링을 통한 AAV 전달기술(Nat. Rev. Genetics 2020. 21: 255-272)을 포함한 다양한 유전자 전달체 연구
-
국내 기술개발동향
생명연-진코어 공동연구팀의 초소형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로 AAV 기반의 후성유전체 조절 인자 인체 전달 기술 확보 진에딧, 바이오오케스트라, 이화여대 등 다양한 산업계, 학계의 나노입자 기반 전달체 기술 개발 이연제약, 헬릭스믹스, AAVTAR 등 AAV 기반 전달체 연구개발 및 CMO 기업 활동 플라즈몬 나노 입자를 활용한 단일세포 후성유전 정보 고해상도 이미징 기술 개발(서울시립대-한밭대 공동연구)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재생의학, 유전자치료, 세포치료제 산업의 확대 및 차세대 바이오산업 경쟁력 확보고령화시대에 증가하는 만성질환 및 난치질환 시장에 대응하여 관련 산업을 선도
-
사회적 기대효과
희귀질환 및 비가역적 손상에 의한 난치질환의 극복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퇴행성질환, 신경질환, 암 등에 대한 치료법 제시로 건강사회 구현
-
필요 사항
후성유전체 소재의 조직 특이적 전달, 온오프조절, 생체내 세포분화 등의 기술적 제약의 극복 필요후성유전체 편집 효과 및 안전성에 관한 유전체-후성유전체 수준의 평가 시스템 개발후성유전체 편집 및 유전자 발현의 관계, 다중 유전자 발현, 시공간 정보 등에 관한 고도의 종합적 정보시스템 확보 유전자치료제 적용 가능 질환의 확대를 위한 국내 생명윤리법 개정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2년 | 130 | 1건 |
2021년 | 120 | 1건 |
2020년 | 350 | 3건 |
2019년 | 116.67 | 2건 |
2018년 | 141.67 | 2건 |
2017년 | 41.67 | 1건 |
2016년 | 5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11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20 | 1711130027 |
2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30 | 1711168274 |
3 |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편집을 활용한 배추과 작물 유용형질 개량 | 서울대학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R&D) | 신육종 기반기술 개발사업 | 100 | 1395065744 |
4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41.67 | 1345284924 |
5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 | 1711086098 |
6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 | 1711107589 |
7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6.67 | 1345301893 |
8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41.67 | 1345269052 |
9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14412 |
10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 | 1711075467 |
11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 | 1345253338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43.56 | 198건 |
2023년 | 51.75 | 239건 |
2022년 | 56.17 | 259건 |
2021년 | 56.7 | 244건 |
2020년 | 49.21 | 212건 |
2019년 | 47.51 | 175건 |
2018년 | 30.85 | 139건 |
2017년 | 17.65 | 91건 |
2016년 | 7.3 | 51건 |
2015년 | 3.57 | 23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11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20000000 | 120 | 1711130027 |
2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30000000 | 130 | 1711168274 |
3 |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편집을 활용한 배추과 작물 유용형질 개량 | 서울대학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R&D) | 신육종 기반기술 개발사업 | 100000000 | 100 | 1395065744 |
4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41667000 | 41.67 | 1345284924 |
5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086098 |
6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107589 |
7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6666000 | 16.67 | 1345301893 |
8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41667000 | 41.67 | 1345269052 |
9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14412 |
10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075467 |
11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서울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000000 | 50 | 1345253338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11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1711130027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1711168274 | 1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R&D) |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편집을 활용한 배추과 작물 유용형질 개량 | 1395065744 | 10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생명공학 | 유전자 기능 및 제어 | 유전자발현조절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1345284924 | 4166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1711086098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1711107589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1345301893 | 16666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1345269052 | 4166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후성유전체 분석 및 편집 기술을 이용한 혈액암 환자의 후성유전체 특성 연구 및 진단기술 개발 | 1711114412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기능증진 연구 | 1711075467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CRISPR/Cas9 epigenome-editing technology 기반의 후성유전학적 상태 변이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제어 기법 개발 | 1345253338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