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자원화 광합성 세포공장Carbon utilizing photosynthetic cell factory
-
기술 정의
이산화탄소 저감 및 탄소자원화 능력을 갖는 광합성 세포공장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를 활용한 고부가 소재를 생산하는 기술
-
기술장점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차세대 바이오연료 및 탄소자원 공급원으로서의 활용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2023년 :경구용 백신, 카로테노이드 색소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공장 구축
향후 10년 : ~2028년 :미세조류 기반 의약단백질 개발 및 대량 생산시스템 구축
-
요소 기술
1) GRAS 미세조류 맞춤형 형질전환 시스템 개량
- 기존 모델 균주기반 형질전환 기술을 GRAS 균주에서 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개량 및 최적화, 안정성 높은 형질전환체 제작가능한 형질전환법 확보
2) 의약단백질 후보물질 발굴 및 단백질 생산 미세조류 세포공장 개발
- 미세조류가 기존에 동물 사료로 활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했을 때 어류 양식용 경구 투여 백신 및 야생동물용 미끼형 백신 등의 생산이 가능
- 경구용 백신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용 발현 시스템으로 형질 도입하여 미세조류 기반 세포공장 개발
3) 미세조류 기반 의약단백질 대량생산 및 시험·평가
- 광생물반응기(PBR) 기반의 대량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백질 생산 조건을 최적화하여 의약 단백질의 독성 및 효능 시험 평가 수행
-
주요 이슈
미세조류의 경우 식물과 분류학적 유사성이 높고, 저비용 고효율로 배양 및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식물 기의 고부가 물질 생산기술의 한계점을 극복 - 안정성 및 기술선점의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GRAS 종 맞춤형 관련 기술 개발 필수
-
해외 기술개발동향
(미국) 현재 기술수준에서는 바이오연료로 직접 활용이 어렵지만 향후 균주 개량, 고부가 소재 동시생산 등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
* Sustainable development of algal biofuel, DOE
(일본) 핵심 R&D 분야의 하나로 미세조류를 활용한 연료 개발 계획을 발표
- 3E (환경 적합성, 경제성, 공급 안정성)의 시점에 기초해 미세조류 연료의 생산 시스템 기술 개발, 해외 배양을 위한 협력 체제 구축 등의 지원 확대
(독일) 바이오리파이너리 로드맵을 제시
- 미세조류 기반 지질 리파이너리 기술에 대해 높은 광합성 효율을 제공하고 천적관계에서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전통적인 농작물보다 바이오매스 원료로서 주목받을 수 있다고 평가
-
국내 기술개발동향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우리나라의 NDC를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BAU) 대비 37% 감축하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
-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
장기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 계획을 시사
- (과기정통부) 6대 핵심 분야*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 기술 (CCS)과 바이오에너지를 선정
* (6대 핵심 분야)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전력IT,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 기술 (CCS)
- (산자부) 新기후체제 선제대응을 위한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 발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AIS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양대, 인하대 등 유수의 연구기관 및 대학에서 토착 미세조류 발굴 및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균주은행, 형질전환 기술, 대량배양 등 기반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수준임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현재 정부의 탄소자원화 전략프로젝트에서 탄소전환 기술을 통해 ’25년 기준 연간 45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과 3.7조 원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출처 : 미래부, 정부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실증 로드맵」 발표, 2016CO2 저감 관련 시장은 연평균 7.4% 증가하여 2021년에는 243억 달러(약 26.5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출처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CO2 저감 및 자원화 기술 : 미국의 CCUS 산업 동향 분석, 2015
-
사회적 기대효과
미세조류 대량배양시스템 구축을 통한 온실가스감축 및 환경정화 효과 기대기존 해양수산 질병 관리의 노동 집약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원활한 수산 양식 관리 가능
-
필요 사항
LMO 이슈 해결을 위한 폐쇄형 생산 및 세포 불활화 공정 필요미세조류 고농도 대량 배양 시스템 구축 필요유엔 미래포럼은 2020년 이후 미래사회의 최대 부상산업으로 기후에너지 및 건강식품 산업을 각각 1위, 2위로 예측 - 미세조류는 두 산업 모두에서 핵심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국제적인 기술 및 지식 재산권 선점을 위해 미세조류 기반 원천 기술 및 상용화 기술 개발이 시급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1년 | 40 | 1건 |
2019년 | 16.67 | 1건 |
2018년 | 41.09 | 1건 |
2017년 | 42.25 | 1건 |
2016년 | 50.7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탄소 중립형 세포공장 개발을 위한 크리스퍼 기반 미세조류 유전자편집 효율 고도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40 | 1711134037 |
2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1.09 | 1345286063 |
3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16.67 | 1345302852 |
4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42.25 | 1345268519 |
5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리서치펠로우 | 50.7 | 1345252334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9.77 | 133건 |
2023년 | 30.56 | 170건 |
2022년 | 29.33 | 183건 |
2021년 | 29.61 | 181건 |
2020년 | 24.74 | 205건 |
2019년 | 21.89 | 181건 |
2018년 | 22.47 | 179건 |
2017년 | 22.87 | 170건 |
2016년 | 21.66 | 166건 |
2015년 | 24.59 | 171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탄소 중립형 세포공장 개발을 위한 크리스퍼 기반 미세조류 유전자편집 효율 고도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40000000 | 40 | 1711134037 |
2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1089000 | 41.09 | 1345286063 |
3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16670000 | 16.67 | 1345302852 |
4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42248000 | 42.25 | 1345268519 |
5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인하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리서치펠로우 | 50700000 | 50.7 | 1345252334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5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탄소 중립형 세포공장 개발을 위한 크리스퍼 기반 미세조류 유전자편집 효율 고도화 | 1711134037 | 4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1345286063 | 41089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1345302852 | 1667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1345268519 | 42248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대사재설계 기반 바이오에너지 생산용 미세조류 세포 공장 설계 및 개발 | 1345252334 | 507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