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기계 상호작용 제어기술Human machine interactions
-
기술 정의
인간과 기계 사이의 상호 작용을 매개하여 정확한 감지와 피드백 기능을 갖춘 장치 및 시스템
-
기술장점
맞춤형 상호작용 기술을 통해 기계가 일상생활의 동반자로서 역할을 하는 데 도움을 주어 지능적이고 효과적인 건강관리, 재활, 교육 등의 서비스 실현에 기여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멀티모달화, 텍스트 외 청각, 촉각 기술의 고도화로 현실 감각의 일부를 디지털 환경에서 경험
향후 10년 : 대부분의 모달 기술이 AI 등 지능화 기술과 접목되어 기계가 인간에게 전달하는 상호작용 방식의 멀티모달화, 감정적 교류 경험이 가능
-
요소 기술
1) 데이터 입력 및 추적 기술
- 효율적인 데이터 입력 및 추적 자동화는 사용자의 맥락 정보(contextual information)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파악하는 데 필요
- 건강 유관 데이터에 기반한 액티브 상호작용(Active Interaction)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제반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에 활용
2) 멀티모달(multi-modal)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기술
- 인간의 오감(五感)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멀티모달 상호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 혼합된 모달 기술로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방식을 통해 기계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행동 중재와 조절이 가능
3) 지능화/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 기술
- 기계와의 상호작용 데이터를 엣지컴퓨팅(edge computing) 환경에서 분석하여 지능적이고 개인화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기술
- 기계의 수동적 제어에서 벗어나 능동적(proactive)이고 개인 친화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효율적인 건강 행동 중재 및 조절 가능성을 높임
-
주요 이슈
현재까지 기술은 단순 데이터의 입력 및 추적에 집중해 왔으나 최근 Generative AI 등 상호작용 구현 차원의 기술이 고도화 - 이에 따라 건강 중재 기술(health intervention technology) 측면에서 인간의 개입과 유사한 경험 수준의 에이전트 중재 상호작용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커짐
-
해외 기술개발동향
미국에서는 아마존을 비롯해 구글, 애플, 월마트 등이 새로운 상호작용 기술을 바탕으로 초개인화 건강관리가 가능한 서비스 및 솔루션을 테스트 혹은 구축하여 실제 환경에 접목
- 특히, EAP(직원건강관리) 시장의 확대로 개개인이 접근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바탕에 둔 상호작용 중재 기술의 요구가 증가하여 관련 산업의 발전 및 스타트업 투자가 증대되는 추세
최근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인 뉴럴링크가 환자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했다고 발표
- 2023년 5월 미국 FDA로부터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에 대한 허가를 받았으며, 생각만으로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고,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설정
-
국내 기술개발동향
개인화, 맞춤형 상호작용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대기업 및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전개
- 롯데 헬스케어는 ‘캐즐’이라는 서비스 플랫폼을 2023년 초 출시, 개인 맞춤형 플랫폼으로서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시도
- 닥터다이어리를 비롯해 카카오 헬스케어 등은 CGM(연속혈당측정기)을 활용한 건강 관리 솔루션을 잇따라 출시하며 사용자들에게 초개인화 상호작용 기술을 적용한 앱 서비스를 제공
- 맞춤형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영양제를 추천, 구독하는 서비스인 ‘알고케어’, ‘필라이즈’와 같은 스타트업들의 등장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해당 기술은 인간 건강 관리자가 없이도 스스로 건강관리가 가능하여 비용 효율적 서비스의 니즈를 충족- 개인의 차원에서는 건강관리의 경제적 이득을, 산업의 차원에서는 새로운 시장 창출의 효과를 기대
-
사회적 기대효과
사회적 문제로 야기될 수 있는 외로움, 고독, 돌봄의 부재 등을 상호작용 기술의 일상화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
-
필요 사항
건강한 삶의 영위와 개선을 위한 인간-기계 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 차원에서의 고도화된 R&D 지원이 필요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이 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산업이 아닌 IT 산업에서 건강과 관련한 기술 개발 및 서비스 디자인 사례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상호작용 기술로 풀어내기 위한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분야에 대한 R&D 지원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345.13 | 13건 |
2023년 | 4,706.51 | 25건 |
2022년 | 8,249.34 | 24건 |
2021년 | 4,217.34 | 22건 |
2020년 | 3,890.98 | 19건 |
2019년 | 2,366.28 | 15건 |
2018년 | 1,948.9 | 9건 |
2017년 | 1,939.28 | 12건 |
2016년 | 2,214.88 | 13건 |
2015년 | 1,327.67 | 13건 |
2014년 | 1,251.17 | 12건 |
2013년 | 1,427.84 | 12건 |
2012년 | 1,198.49 | 9건 |
2011년 | 1,222.17 | 9건 |
2010년 | 529.8 | 4건 |
2009년 | 377 | 2건 |
2006년 | 64 | 2건 |
2005년 | 64 | 2건 |
2004년 | 40 | 1건 |
2002년 | 2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219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350 | 1711115297 |
2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18.5 | 1711092325 |
3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400 | 1711169109 |
4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 | 1345311951 |
5 | 마이크로LED기반 사용자 광촉감 상호반응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전자피부 연구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5.81 | 1711186961 |
6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나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 | 210 | 1711052809 |
7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중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민감성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한중협력연구사업 | 15 | 1711177615 |
8 | 다기능 전자피부 구현을 위한 액상 나노소재의 다차원 인쇄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한중협력연구사업 | 15 | 1711177149 |
9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주)피지오닉스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 | 1,172.34 | 1415184819 |
10 | 광대역 역학자극 실시간 모니터링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260 | 1711042111 |
11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에스엠디솔루션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666.22 | 1415185015 |
12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 | 100 | 1711089241 |
13 | 열충격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전달 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25 | 1711123869 |
14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 | 225 | 1711057801 |
15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49.33 | 1711073215 |
16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86 | 1711132015 |
17 | 2차원 물질 기반 열전-트라이보 트로닉스를 활용한 다기능 전자피부 소자 구현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37.37 | 1345280926 |
18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200 | 1345170122 |
19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400 | 1711142212 |
20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200 | 9991005192 |
21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00 | 1711146566 |
22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400 | 1711113356 |
23 | 박막 반도체 센서 기반 자가발전형 전자피부 개발 | 전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67.09 | 1711172486 |
24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고려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45 | 1345353681 |
25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주)피지오닉스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 | 901.69 | 1415178411 |
26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360 | 2710009255 |
27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2024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702.69 | 2410004879 |
28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고려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60 | 1345364386 |
29 | 마이크로LED기반 사용자 광촉감 상호반응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전자피부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6.23 | 2710014744 |
30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218.83 | 1345154534 |
31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206.3 | 1711022830 |
32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07890 |
33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250 | 1711072948 |
34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400 | 1711182718 |
35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0.7 | 1711013100 |
3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지을 위한 생활방수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는 초고민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35.37 | 1711199278 |
37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00 | 1711115230 |
38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고려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46.8 | 2340007628 |
39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22 | 1711203168 |
40 | 전기화학적 압력감지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 글로벌교육연구선도 | 12.7 | 1711045330 |
41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250 | 1711081854 |
42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 | 1345300160 |
43 | 2차원 물질 기반 열전-트라이보 트로닉스를 활용한 다기능 전자피부 소자 구현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9.83 | 1345292770 |
44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 | 1345352208 |
45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635.18 | 1415179580 |
46 | 국지적/선택적 결함 제어를 통한 프린팅 공정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소자-센서 통합 다기능 전자피부 개발 | 경북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22304 |
47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97.76 | 1711159524 |
48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에스엠디솔루션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디지털헬스케어 | 700.24 | 1415172470 |
49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47.5 | 1711104818 |
50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180 | 1711103400 |
51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1.09 | 1711023010 |
52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중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민감성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한중협력연구사업 | 15 | 1711199124 |
53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1.09 | 1711036982 |
54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 | 1345335629 |
55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400 | 1711188543 |
56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주)피지오닉스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 | 870.36 | 1415173893 |
57 | 국지적/선택적 결함 제어를 통한 프린팅 공정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소자-센서 통합 다기능 전자피부 개발 | 경북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32433 |
58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300 | 1711162606 |
59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206.3 | 1711011623 |
60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89313 |
61 | 고 내구도를 갖는 전자피부 및 체내 삽입형 통기성 나노섬유 생체 전극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78.38 | 1711159113 |
62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65853 |
63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44937 |
64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400 | 1711132093 |
65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지을 위한 생활방수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는 초고민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86 | 2710001663 |
66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디지털헬스케어 | 521.64 | 1415168647 |
67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글로벌 특이점연구사업 | 50 | 1711125443 |
68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글로벌 특이점연구사업 | 50 | 1711100687 |
69 | 자가치유 및 고신축성 소재 기반 자가발전형 다중모드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41052 |
70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49.24 | 9991000043 |
71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 | 1711038053 |
7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 | 국제공동기술개발 | 259.85 | 1415183566 |
73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한양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7.97 | 1711136718 |
74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한동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63988 |
75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00 | 1345194134 |
76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2011 | 지식경제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300 | 1415116034 |
77 | 무간극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재료를 사용한 신경 전자 소자의 개발 | 서울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71774 |
78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공공복지안전연구 | 중증장애인의 뇌파 및 안면부 생체신호이용 원천 기술 | 105 | 1345160098 |
79 | 모드 잠금 광섬유 가변 레이저 : 광학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구 | 부산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05027 |
80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47.97 | 1345225188 |
81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0.56 | 1711157190 |
82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20 | 1345098458 |
83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연구 4대분야 및 융합 | 375 | 1711048884 |
84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99.5 | 2710017338 |
85 | 인공지능 인터뷰에 대한 편견과 그 영향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6.38 | 1711191888 |
8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90 | 1345121283 |
87 | Task-to-task 전이학습을 통한 사용자 중심 상상운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동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0 | 1345374420 |
8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분당서울대학병원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 | 국제공동기술개발 | 274.2 | 1415189855 |
89 | 경막외 신경신호를 이용한 비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고려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50.64 | 1345224959 |
90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안동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0.7 | 1345217890 |
91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주식회사 포엔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연계과제 제2차 시행계획 공고 | 77.78 | 1425167298 |
92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360 | 1711026550 |
93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기반SW연구 | 411 | 1711102888 |
94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9.05 | 1345240050 |
95 | 메케노바이올로지 기반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안전성 평가 시스템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10 | 1711064290 |
96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SW스타랩 | 435 | 1711125890 |
97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유망신기술 및 선도기술 확보형 | 344 | 1711065230 |
98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100.24 | 1711019477 |
99 | 인공지능 인터뷰에 대한 편견과 그 영향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2.28 | 1711171140 |
100 | 마비 환자의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유발전위를 활용한 헤드셋 형 고속/저전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전략공모 | 131.2 | 1711052658 |
101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58.42 | 1345148784 |
102 | BrainBot: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지능형 로봇 고등목표 생성기술 | 이화여자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60 | 1345341393 |
103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64.5 | 1345284574 |
104 | 방추 변조를 통한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성능 향상 | 한국과학기술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0 | 1345286777 |
105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53.75 | 1345310403 |
10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 | 2021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21.5 | 1345340550 |
10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한동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46853 |
10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90 | 1345169174 |
109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 | 1711064830 |
110 | 정밀 역추정 기계학습 기반 최소침습/비침습 다중모드 무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심화형 | 500 | 2710018254 |
111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4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40 | 1350013000 | |
11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20 | 1345203904 |
113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9.24 | 1345238804 |
114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충남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05 | 1345240668 |
115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유망신기술 및 선도기술 확보형 | 411 | 1711080977 |
116 | 이차원 마우스 제어를 위한 f-MRI를 활용한 EEG 센서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경북대학교 | 2006 | 교육인적자원부 | 기초과학학술연구조성(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24 | 1340027824 | |
117 | Task-to-task 전이학습을 통한 사용자 중심 상상운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동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0 | 2340001090 |
118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51.05 | 1345269674 |
11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60 | 1345120778 |
12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첨단융합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60 | 1345153030 |
121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전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85 | 1711114267 |
122 | 인공지능 및 지능형 로봇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반응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소비자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 | 1711117517 |
123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기본연구지원 | 100.24 | 1711030304 |
124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한양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0.12 | 1711037158 |
125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국제연구인력교류(BRAINPOOL) | 해외고급과학자초빙(Brain Pool)사업 | 41.9 | 1711046804 |
126 | 모드 잠금 광섬유 가변 레이저 : 광학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구 | 부산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27773 |
127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고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9 | 1711158300 |
12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59.8 | 1345127551 |
129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 | 1711038103 |
130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한양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0.12 | 1711023298 |
131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40 | 1350022188 | |
132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40 | 1711104944 |
133 | 마이크로 코일 기반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글로벌선도대학육성지원_신임교원정착연구비 | 96.6 | 1711203584 |
134 | 침습적 뇌신경세포 신호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현 및 검증 | 서울대병원 | 2015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 재활로봇중개연구 | 160 | 1465019754 |
135 |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및 훈련 시스템 구축 | 서울대학교병원 | 2016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 재활로봇중개연구 | 140 | 1465022100 |
136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101.28 | 1711019418 |
137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주)포엔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연계과제 제2차 시행계획 공고 | 109.64 | 1425174568 |
138 | 뇌신경세포 신호 및 뇌피질전도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연구 | 서울대학교 병원 | 2013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구.재활연구용역사업) | 뇌신경세포 신호 및 뇌피질전도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연구 | 260 | 1465014690 |
139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49.24 | 1345224551 |
14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대중화를 위한 통합 시스템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 | 고려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한국형 SGER | 33.99 | 1345221765 |
141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65.5 | 1711081795 |
14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한동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 | 1345334162 |
143 | 인공지능 및 지능형 로봇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반응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소비자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 | 1711148545 |
144 |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RF 모듈 개발 | 충북과학대학 | 2002 | 중소기업청 | 산학연공동기술개발 | 20 | 1420016321 | |
145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유망신기술및선도기술확보형 | 325 | 1711055101 |
14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표적인식 기술경진대회 | 국방과학연구소 | 2022 | 방위사업청 | 국방기술개발 | 미래도전 | 2,147.48 | 1695009339 |
147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9 | 1711185231 |
14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공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3.19 | 1711157655 |
14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의 폐회로 청각 보조 및 재활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유형1 | 140.7 | 1711176146 |
150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67 | 1711131346 |
151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 | 1711104845 |
15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전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85 | 1711127435 |
153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100.24 | 1345209779 |
154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69.5 | 1711130375 |
155 | 뇌간 의사소통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휴먼증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 | 1345300735 |
156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8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R&D)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63.7 | 1345291501 |
15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53.34 | 1345328749 |
158 | 하이브리드 EEG-NIRS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빠르고 정확한 의도 검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한 새로운 분석 프레임워크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4차산업혁명) | 45 | 1345304805 |
159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연구 4대분야 및 융합 | 375 | 1711052251 |
160 | 이차원 마우스 제어를 위한 f-MRI를 활용한 EEG 센서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경북대학교 | 2005 | 교육인적자원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24 | 1340002232 | |
161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 110 | 1711014502 |
162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9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R&D)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55.21 | 1345310082 |
163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분당서울대학병원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R&D) | 국제공동기술개발 | 133.2 | 1415177716 |
164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8.12 | 1711186366 |
165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58.1 | 1345170752 |
16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위한 XAI 기반 적응형 학습 기술 개발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글로벌핵심인재양성 | 300 | 1711119152 |
167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400 | 1711006502 |
16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전남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 | 145 | 1711091646 |
169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400 | 1711021906 |
170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한양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0.12 | 1711012132 |
171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스타랩 | 315 | 1711152912 |
172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98.1 | 1345255156 |
173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30.6 | 1345168742 |
174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예술에서 고찰한 혼합현실 콘텐츠의 발전 방안 | 부산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학문후속세대지원 | 14 | 1345268142 |
175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0.56 | 1711190956 |
176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58.42 | 9991004922 |
17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고려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59.8 | 1345171456 |
178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42 | 1711186966 |
17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60 | 1345172736 |
180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안동대학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50.7 | 1345204519 |
181 |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372 | 1711035286 |
18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첨단융합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90 | 1345147781 |
183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의 융합한 뇌성마비 아동의 뇌가소성과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차세대 첨단 뇌조정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 | 연세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의 융합한 뇌성마비 아동의 뇌가소성과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차세대 첨단 뇌조정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 | 57 | 1345105347 |
184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주식회사 포엔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전략형) | 77.78 | 2420003519 |
185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7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84.93 | 1345274987 |
186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 | 1711064633 |
18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59.8 | 1345154661 |
188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47.97 | 1345205545 |
18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40 | 1350009117 | |
190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안동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50.7 | 1345233761 |
191 | 고성능의 발화 상상 관련 신경언어 디코딩이 가능한 사용자 독립적 도메인 심층 전이학습 프레임워크 기반 직관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충북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기본연구-기본연구 | 66.33 | 1711197421 |
192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2012 | 지식경제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300 | 1415121995 |
193 | 비동기식 실시간 하이브리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양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40 | 1345266941 |
194 | 경막외 신경신호를 이용한 비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고려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64 | 1345239785 |
195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6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101.92 | 1345250449 |
196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최초혁신실험실 | 73.3 | 1711198371 |
197 | 의료 및 신경인체공학을 위한 인쇄공정 기반 초미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 118.52 | 2710004995 |
198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7.97 | 1345237133 |
199 | 마이크로 코일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BP+)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400 | 1711196073 |
20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동서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1.02 | 1711136051 |
201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27.5 | 1711082541 |
202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고려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5.41 | 2710017085 |
203 | 마비 환자의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유발전위를 활용한 헤드셋 형 고속/저전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X 프로젝트 | 136 | 1711037586 |
204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중증장애인의 뇌파 및 안면부 생체신호이용 원천 기술 | 100 | 1345174281 |
205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20 | 1345141819 |
206 | 상지손상 환자의 운동/감각 기능 복원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방위사업청 | 국방기술개발 | 미래도전 | 2,147.48 | 1695009369 |
20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30 | 1711003596 |
208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0.56 | 1711129391 |
209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기본연구지원 | 101.28 | 1711029461 |
210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00 | 1345162635 |
211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101.28 | 1345208817 |
212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09.41 | 2710001493 |
213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30.12 | 1345147949 |
214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98.1 | 1345269437 |
215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47.31 | 1711194847 |
216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중증장애인의 뇌파 및 안면부 생체신호이용 원천 기술 | 110 | 1345205427 |
217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05 | 1345254547 |
218 | 생성형 AI 반응속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및 태도와 그 활용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인지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창의연구형) | 62.8 | 2710018887 |
219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한양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2.51 | 1711161685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3년 | 77.84 | 453건 |
2022년 | 72.61 | 472건 |
2021년 | 68.26 | 493건 |
2020년 | 57.71 | 500건 |
2019년 | 49.67 | 474건 |
2018년 | 46.82 | 463건 |
2017년 | 45.36 | 432건 |
2016년 | 40.38 | 419건 |
2015년 | 38.31 | 403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219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350000000 | 350 | 1711115297 |
2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18500000 | 218.5 | 1711092325 |
3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400000000 | 400 | 1711169109 |
4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000000 | 50 | 1345311951 |
5 | 마이크로LED기반 사용자 광촉감 상호반응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전자피부 연구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5812000 | 95.81 | 1711186961 |
6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나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 | 210000000 | 210 | 1711052809 |
7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중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민감성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한중협력연구사업 | 15000000 | 15 | 1711177615 |
8 | 다기능 전자피부 구현을 위한 액상 나노소재의 다차원 인쇄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한중협력연구사업 | 15000000 | 15 | 1711177149 |
9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주)피지오닉스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 | 1172340000 | 1,172.34 | 1415184819 |
10 | 광대역 역학자극 실시간 모니터링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260000000 | 260 | 1711042111 |
11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에스엠디솔루션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666220000 | 666.22 | 1415185015 |
12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 | 100000000 | 100 | 1711089241 |
13 | 열충격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전달 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25000000 | 25 | 1711123869 |
14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 | 225000000 | 225 | 1711057801 |
15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49334000 | 249.33 | 1711073215 |
16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86000000 | 286 | 1711132015 |
17 | 2차원 물질 기반 열전-트라이보 트로닉스를 활용한 다기능 전자피부 소자 구현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37369000 | 37.37 | 1345280926 |
18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199999000 | 200 | 1345170122 |
19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400000000 | 400 | 1711142212 |
20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199999000 | 200 | 9991005192 |
21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00000000 | 100 | 1711146566 |
22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400000000 | 400 | 1711113356 |
23 | 박막 반도체 센서 기반 자가발전형 전자피부 개발 | 전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67090000 | 67.09 | 1711172486 |
24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고려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45000000 | 45 | 1345353681 |
25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주)피지오닉스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 | 901690000 | 901.69 | 1415178411 |
26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360000000 | 360 | 2710009255 |
27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2024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702686000 | 702.69 | 2410004879 |
28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고려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60000000 | 60 | 1345364386 |
29 | 마이크로LED기반 사용자 광촉감 상호반응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전자피부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6231000 | 86.23 | 2710014744 |
30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218827000 | 218.83 | 1345154534 |
31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206299000 | 206.3 | 1711022830 |
32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07890 |
33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250000000 | 250 | 1711072948 |
34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400000000 | 400 | 1711182718 |
35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0700000 | 50.7 | 1711013100 |
3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지을 위한 생활방수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는 초고민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35365000 | 35.37 | 1711199278 |
37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00000000 | 100 | 1711115230 |
38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고려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46800000 | 46.8 | 2340007628 |
39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22000000 | 22 | 1711203168 |
40 | 전기화학적 압력감지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 글로벌교육연구선도 | 12700000 | 12.7 | 1711045330 |
41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250000000 | 250 | 1711081854 |
42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00000 | 37.5 | 1345300160 |
43 | 2차원 물질 기반 열전-트라이보 트로닉스를 활용한 다기능 전자피부 소자 구현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9826000 | 49.83 | 1345292770 |
44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00000 | 12.5 | 1345352208 |
45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635180000 | 635.18 | 1415179580 |
46 | 국지적/선택적 결함 제어를 통한 프린팅 공정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소자-센서 통합 다기능 전자피부 개발 | 경북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22304 |
47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97760000 | 97.76 | 1711159524 |
48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에스엠디솔루션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디지털헬스케어 | 700236000 | 700.24 | 1415172470 |
49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247500000 | 247.5 | 1711104818 |
50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180000000 | 180 | 1711103400 |
51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1090000 | 51.09 | 1711023010 |
52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중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민감성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한중협력연구사업 | 15000000 | 15 | 1711199124 |
53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숭실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1090000 | 51.09 | 1711036982 |
54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000000 | 50 | 1345335629 |
55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400000000 | 400 | 1711188543 |
56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주)피지오닉스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 | 870355000 | 870.36 | 1415173893 |
57 | 국지적/선택적 결함 제어를 통한 프린팅 공정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소자-센서 통합 다기능 전자피부 개발 | 경북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32433 |
58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2)중견연구 | 300000000 | 300 | 1711162606 |
59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206299000 | 206.3 | 1711011623 |
60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89313 |
61 | 고 내구도를 갖는 전자피부 및 체내 삽입형 통기성 나노섬유 생체 전극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78380000 | 78.38 | 1711159113 |
62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65853 |
63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44937 |
64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포항공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2)중견연구 | 400000000 | 400 | 1711132093 |
65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지을 위한 생활방수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는 초고민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2)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86000000 | 86 | 2710001663 |
66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디지털헬스케어 | 521640000 | 521.64 | 1415168647 |
67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글로벌 특이점연구사업 | 50000000 | 50 | 1711125443 |
68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글로벌 특이점연구사업 | 50000000 | 50 | 1711100687 |
69 | 자가치유 및 고신축성 소재 기반 자가발전형 다중모드 전자피부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41052 |
70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49237000 | 49.24 | 9991000043 |
71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000000 | 450 | 1711038053 |
7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 | 국제공동기술개발 | 259847015 | 259.85 | 1415183566 |
73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한양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7968000 | 47.97 | 1711136718 |
74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한동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63988 |
75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00000000 | 300 | 1345194134 |
76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2011 | 지식경제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300000000 | 300 | 1415116034 |
77 | 무간극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재료를 사용한 신경 전자 소자의 개발 | 서울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71774 |
78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공공복지안전연구 | 중증장애인의 뇌파 및 안면부 생체신호이용 원천 기술 | 105000000 | 105 | 1345160098 |
79 | 모드 잠금 광섬유 가변 레이저 : 광학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구 | 부산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05027 |
80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47966000 | 47.97 | 1345225188 |
81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0560000 | 110.56 | 1711157190 |
82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20000000 | 320 | 1345098458 |
83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연구 4대분야 및 융합 | 375000000 | 375 | 1711048884 |
84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림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99504000 | 99.5 | 2710017338 |
85 | 인공지능 인터뷰에 대한 편견과 그 영향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6379000 | 56.38 | 1711191888 |
8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90000000 | 90 | 1345121283 |
87 | Task-to-task 전이학습을 통한 사용자 중심 상상운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동대학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0000000 | 10 | 1345374420 |
8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분당서울대학병원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 | 국제공동기술개발 | 274200000 | 274.2 | 1415189855 |
89 | 경막외 신경신호를 이용한 비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고려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50641000 | 50.64 | 1345224959 |
90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안동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0700000 | 50.7 | 1345217890 |
91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주식회사 포엔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연계과제 제2차 시행계획 공고 | 77780000 | 77.78 | 1425167298 |
92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360000000 | 360 | 1711026550 |
93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기반SW연구 | 411000000 | 411 | 1711102888 |
94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9050000 | 49.05 | 1345240050 |
95 | 메케노바이올로지 기반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안전성 평가 시스템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 10000000 | 10 | 1711064290 |
96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SW스타랩 | 435000000 | 435 | 1711125890 |
97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유망신기술 및 선도기술 확보형 | 344000000 | 344 | 1711065230 |
98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100237000 | 100.24 | 1711019477 |
99 | 인공지능 인터뷰에 대한 편견과 그 영향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2284000 | 42.28 | 1711171140 |
100 | 마비 환자의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유발전위를 활용한 헤드셋 형 고속/저전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전략공모 | 131199000 | 131.2 | 1711052658 |
101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58420000 | 58.42 | 1345148784 |
102 | BrainBot: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지능형 로봇 고등목표 생성기술 | 이화여자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60000000 | 60 | 1345341393 |
103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64500000 | 64.5 | 1345284574 |
104 | 방추 변조를 통한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성능 향상 | 한국과학기술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0000000 | 40 | 1345286777 |
105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53749000 | 53.75 | 1345310403 |
10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 | 2021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21501000 | 21.5 | 1345340550 |
10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한동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46853 |
10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90000000 | 90 | 1345169174 |
109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000000 | 450 | 1711064830 |
110 | 정밀 역추정 기계학습 기반 최소침습/비침습 다중모드 무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심화형 | 500000000 | 500 | 2710018254 |
111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4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40000000 | 40 | 1350013000 | |
11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20000000 | 20 | 1345203904 |
113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9237000 | 49.24 | 1345238804 |
114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충남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051000 | 51.05 | 1345240668 |
115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유망신기술 및 선도기술 확보형 | 411000000 | 411 | 1711080977 |
116 | 이차원 마우스 제어를 위한 f-MRI를 활용한 EEG 센서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경북대학교 | 2006 | 교육인적자원부 | 기초과학학술연구조성(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24000000 | 24 | 1340027824 | |
117 | Task-to-task 전이학습을 통한 사용자 중심 상상운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동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0000000 | 10 | 2340001090 |
118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51051000 | 51.05 | 1345269674 |
11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60000000 | 60 | 1345120778 |
12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첨단융합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60000000 | 60 | 1345153030 |
121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전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85000000 | 85 | 1711114267 |
122 | 인공지능 및 지능형 로봇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반응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소비자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37500000 | 37.5 | 1711117517 |
123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기본연구지원 | 100237000 | 100.24 | 1711030304 |
124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한양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신진연구지원 | 50115000 | 50.12 | 1711037158 |
125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국제연구인력교류(BRAINPOOL) | 해외고급과학자초빙(Brain Pool)사업 | 41900000 | 41.9 | 1711046804 |
126 | 모드 잠금 광섬유 가변 레이저 : 광학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구 | 부산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27773 |
127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고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899000 | 94.9 | 1711158300 |
12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59800000 | 59.8 | 1345127551 |
129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000000 | 450 | 1711038103 |
130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한양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진연구자지원 | 50115000 | 50.12 | 1711023298 |
131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40000000 | 40 | 1350022188 | |
132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40000000 | 440 | 1711104944 |
133 | 마이크로 코일 기반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글로벌선도대학육성지원_신임교원정착연구비 | 96604000 | 96.6 | 1711203584 |
134 | 침습적 뇌신경세포 신호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현 및 검증 | 서울대병원 | 2015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 재활로봇중개연구 | 160000000 | 160 | 1465019754 |
135 |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및 훈련 시스템 구축 | 서울대학교병원 | 2016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 재활로봇중개연구 | 140000000 | 140 | 1465022100 |
136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101283000 | 101.28 | 1711019418 |
137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주)포엔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연계과제 제2차 시행계획 공고 | 109644000 | 109.64 | 1425174568 |
138 | 뇌신경세포 신호 및 뇌피질전도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연구 | 서울대학교 병원 | 2013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구.재활연구용역사업) | 뇌신경세포 신호 및 뇌피질전도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연구 | 260000000 | 260 | 1465014690 |
139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49237000 | 49.24 | 1345224551 |
14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대중화를 위한 통합 시스템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 | 고려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한국형 SGER | 33995000 | 33.99 | 1345221765 |
141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65500000 | 465.5 | 1711081795 |
14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한동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000000 | 75 | 1345334162 |
143 | 인공지능 및 지능형 로봇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반응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소비자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48545 |
144 |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RF 모듈 개발 | 충북과학대학 | 2002 | 중소기업청 | 산학연공동기술개발 | 20000000 | 20 | 1420016321 | |
145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유망신기술및선도기술확보형 | 325000000 | 325 | 1711055101 |
14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표적인식 기술경진대회 | 국방과학연구소 | 2022 | 방위사업청 | 국방기술개발 | 미래도전 | 2147483647 | 2,147.48 | 1695009339 |
147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899000 | 94.9 | 1711185231 |
14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공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3187000 | 43.19 | 1711157655 |
14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의 폐회로 청각 보조 및 재활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유형1 | 140700000 | 140.7 | 1711176146 |
150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67000000 | 67 | 1711131346 |
151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000000 | 450 | 1711104845 |
15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전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85000000 | 85 | 1711127435 |
153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100237000 | 100.24 | 1345209779 |
154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69500000 | 69.5 | 1711130375 |
155 | 뇌간 의사소통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휴먼증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00000 | 37.5 | 1345300735 |
156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8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R&D)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63700000 | 63.7 | 1345291501 |
15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한양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53344000 | 53.34 | 1345328749 |
158 | 하이브리드 EEG-NIRS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빠르고 정확한 의도 검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한 새로운 분석 프레임워크의 개발 | 한양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4차산업혁명) | 45000000 | 45 | 1345304805 |
159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서울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연구 4대분야 및 융합 | 375000000 | 375 | 1711052251 |
160 | 이차원 마우스 제어를 위한 f-MRI를 활용한 EEG 센서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경북대학교 | 2005 | 교육인적자원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24000000 | 24 | 1340002232 | |
161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 110000000 | 110 | 1711014502 |
162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9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R&D)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55206000 | 55.21 | 1345310082 |
163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분당서울대학병원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R&D) | 국제공동기술개발 | 133200000 | 133.2 | 1415177716 |
164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8120000 | 48.12 | 1711186366 |
165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58098000 | 58.1 | 1345170752 |
166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위한 XAI 기반 적응형 학습 기술 개발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글로벌핵심인재양성 | 300000000 | 300 | 1711119152 |
167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400000000 | 400 | 1711006502 |
168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전남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 | 145000000 | 145 | 1711091646 |
169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400000000 | 400 | 1711021906 |
170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한양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50115000 | 50.12 | 1711012132 |
171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스타랩 | 315000000 | 315 | 1711152912 |
172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98100000 | 98.1 | 1345255156 |
173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30598000 | 30.6 | 1345168742 |
174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예술에서 고찰한 혼합현실 콘텐츠의 발전 방안 | 부산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학문후속세대지원 | 14000000 | 14 | 1345268142 |
175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0560000 | 110.56 | 1711190956 |
176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58420000 | 58.42 | 9991004922 |
17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고려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59800000 | 59.8 | 1345171456 |
178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418000 | 57.42 | 1711186966 |
17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한림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60000000 | 60 | 1345172736 |
180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안동대학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50700000 | 50.7 | 1345204519 |
181 |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372000000 | 372 | 1711035286 |
182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첨단융합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90000000 | 90 | 1345147781 |
183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의 융합한 뇌성마비 아동의 뇌가소성과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차세대 첨단 뇌조정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 | 연세대학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의 융합한 뇌성마비 아동의 뇌가소성과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차세대 첨단 뇌조정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 | 57000000 | 57 | 1345105347 |
184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주식회사 포엔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전략형) | 77780000 | 77.78 | 2420003519 |
185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7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84934000 | 84.93 | 1345274987 |
186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50000000 | 450 | 1711064633 |
18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59800000 | 59.8 | 1345154661 |
188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47966000 | 47.97 | 1345205545 |
189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40000000 | 40 | 1350009117 | |
190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안동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50700000 | 50.7 | 1345233761 |
191 | 고성능의 발화 상상 관련 신경언어 디코딩이 가능한 사용자 독립적 도메인 심층 전이학습 프레임워크 기반 직관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충북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기본연구-기본연구 | 66332000 | 66.33 | 1711197421 |
192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2012 | 지식경제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300000000 | 300 | 1415121995 |
193 | 비동기식 실시간 하이브리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양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40000000 | 40 | 1345266941 |
194 | 경막외 신경신호를 이용한 비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고려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641000 | 50.64 | 1345239785 |
195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부산대학교 | 2016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101920000 | 101.92 | 1345250449 |
196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최초혁신실험실 | 73303000 | 73.3 | 1711198371 |
197 | 의료 및 신경인체공학을 위한 인쇄공정 기반 초미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 118517000 | 118.52 | 2710004995 |
198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7966000 | 47.97 | 1345237133 |
199 | 마이크로 코일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BP+)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400000000 | 400 | 1711196073 |
20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동서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1022000 | 41.02 | 1711136051 |
201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가톨릭관동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427500000 | 427.5 | 1711082541 |
202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고려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5410000 | 85.41 | 2710017085 |
203 | 마비 환자의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유발전위를 활용한 헤드셋 형 고속/저전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X 프로젝트 | 136000000 | 136 | 1711037586 |
204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중증장애인의 뇌파 및 안면부 생체신호이용 원천 기술 | 100000000 | 100 | 1345174281 |
205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20000000 | 320 | 1345141819 |
206 | 상지손상 환자의 운동/감각 기능 복원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방위사업청 | 국방기술개발 | 미래도전 | 2147483647 | 2,147.48 | 1695009369 |
207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신호 융합 정보처리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30000000 | 30 | 1711003596 |
208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세종과학펠로우십 | 110560000 | 110.56 | 1711129391 |
209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기본연구지원 | 101283000 | 101.28 | 1711029461 |
210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사업단 | 300000000 | 300 | 1345162635 |
211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고려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101283000 | 101.28 | 1345208817 |
212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09406000 | 109.41 | 2710001493 |
213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30120000 | 30.12 | 1345147949 |
214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한국과학기술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98100000 | 98.1 | 1345269437 |
215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한양대학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47312000 | 147.31 | 1711194847 |
216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중증장애인의 뇌파 및 안면부 생체신호이용 원천 기술 | 110000000 | 110 | 1345205427 |
217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051000 | 51.05 | 1345254547 |
218 | 생성형 AI 반응속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및 태도와 그 활용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인지과학의 융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창의연구형) | 62798000 | 62.8 | 2710018887 |
219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한양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2513000 | 52.51 | 1711161685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219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1711115297 | 3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1711092325 | 218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1711169109 | 4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1345311951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마이크로LED기반 사용자 광촉감 상호반응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전자피부 연구 | 1711186961 | 95812000 | 대학 | 한양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1711052809 | 2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글로벌프런티어사업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중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민감성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개발 | 1711177615 | 1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 NRF특별협력사업 | 한중협력연구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다기능 전자피부 구현을 위한 액상 나노소재의 다차원 인쇄 | 1711177149 | 1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 NRF특별협력사업 | 한중협력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1415184819 | 1172340000 | 중소기업 | (주)피지오닉스 | Sensor용 소자 | 반도체소자및시스템 | 전기·전자 | 0건 | 0건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광대역 역학자극 실시간 모니터링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1711042111 | 2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글로벌프런티어사업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0건 | 0건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1415185015 | 666220000 | 중소기업 | (주)에스엠디솔루션 | 바이오공정기술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1711089241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열충격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전달 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1711123869 | 2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1711057801 | 2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1711073215 | 249334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1711132015 | 286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기존과제)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2차원 물질 기반 열전-트라이보 트로닉스를 활용한 다기능 전자피부 소자 구현 | 1345280926 | 37369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1345170122 | 199999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1711142212 | 4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9991005192 | 199999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1711146566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1711113356 | 4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박막 반도체 센서 기반 자가발전형 전자피부 개발 | 1711172486 | 670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1345353681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1415178411 | 90169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피지오닉스 | Sensor용 소자 | 반도체소자및시스템 | 전기·전자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2710009255 | 3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2410004879 | 702686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바이오공정기술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1345364386 | 60000000 | 대학 | 고려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마이크로LED기반 사용자 광촉감 상호반응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전자피부 연구 | 2710014744 | 86231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1345154534 | 218827000 | 기초연구 | 대학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1711022830 | 206299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1711107890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1711072948 | 2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글로벌프런티어사업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1711182718 | 400000000 | 대학 | 포항공과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1711013100 | 507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지을 위한 생활방수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는 초고민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 1711199278 | 35365000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다중 자극 구분 가능한 센서 및 시냅스 모방 소자를 통합한 용액 공정 기반 전자피부 개발 | 1711115230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미세 압력/스트레인 동시 센싱과 자가 충전이 가능한 생체이식형 전자피부 개발 | 2340007628 | 468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1711203168 | 22000000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 전기화학적 압력감지 전자피부 개발 | 1711045330 | 127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1711081854 | 2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글로벌프런티어사업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1345300160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2차원 물질 기반 열전-트라이보 트로닉스를 활용한 다기능 전자피부 소자 구현 | 1345292770 | 49826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1345352208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1415179580 | 63518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바이오공정기술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국지적/선택적 결함 제어를 통한 프린팅 공정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소자-센서 통합 다기능 전자피부 개발 | 1345322304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1711159524 | 97760000 | 개발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기존과제) | 기존과제(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1415172470 | 700236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에스엠디솔루션 | 바이오공정기술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 | 1711104818 | 24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광대역 역학자극 고민감성 멀티모달 전자피부 개발 | 1711103400 | 1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글로벌프런티어사업 |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1711023010 | 510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중 자가 치유가 가능한 고민감성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개발 | 1711199124 | 15000000 | 대학 | 한양대학 | 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 NRF특별협력사업 | 한중협력연구사업 | 0건 | 0건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하이브리드형 고전도성 카본나노튜브 마이크로섬유를 이용한 고민감성 전자피부 개발 | 1711036982 | 5109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숭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자기치유 블록공중합체 기반 표면 변형 가능한 스마트 전자피부 제조 | 1345335629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가역적 이온 동역학 기반 다중 촉각 감지-기억-학습 일체형 뉴로모픽 전자피부 개발 | 1711188543 | 400000000 | 대학 | 한양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로봇의 정교한 조작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고성능 멀티모달 전자피부 센서 및 확장형 모듈 | 1415173893 | 870355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피지오닉스 | Sensor용 소자 | 반도체소자및시스템 | 전기·전자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국지적/선택적 결함 제어를 통한 프린팅 공정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소자-센서 통합 다기능 전자피부 개발 | 1345332433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1711162606 | 3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생체모사 스마트 프린팅 기반 이종집적 III-V 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및 플렉시블 전자피부 개발 | 1711011623 | 206299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1711189313 | 150000000 | 대학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고 내구도를 갖는 전자피부 및 체내 삽입형 통기성 나노섬유 생체 전극 개발 | 1711159113 | 7838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1711165853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 1711144937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Blind-Contact 촉각 인지가 가능한 로봇 핸드용 연신성 전자피부 | 1711132093 | 4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감지을 위한 생활방수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지는 초고민감도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 2710001663 | 86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0 | 산업통상자원부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근전도 관성 스트레인 센서 융합 전자피부 기반 근기능 관리 솔루션 개발 | 1415168647 | 52164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 바이오공정기술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1711125443 | 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로봇 및 보철 응용을 위한 생물학적 감각수용기 및 시냅스 모방형 고집적 전자피부 개발 | 1711100687 | 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자가치유 및 고신축성 소재 기반 자가발전형 다중모드 전자피부 개발 | 1345341052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9991000043 | 49237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038053 | 4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2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1415183566 | 259847015 | 개발연구 | 대학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1711136718 | 47968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1345363988 | 100000000 | 대학 | 한동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1345194134 | 3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1 | 지식경제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1415116034 | 3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통신 | 지식정보보안 | 정보보안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무간극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재료를 사용한 신경 전자 소자의 개발 | 1345371774 | 45000000 | 대학 | 서울대학 | 0건 | 0건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공공복지안전연구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1345160098 | 10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모드 잠금 광섬유 가변 레이저 : 광학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구 | 1345305027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1345225188 | 47966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1711157190 | 11056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1345098458 | 3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048884 | 375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2710017338 | 99504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인공지능 인터뷰에 대한 편견과 그 영향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1711191888 | 56379000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1345121283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Task-to-task 전이학습을 통한 사용자 중심 상상운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1345374420 | 10000000 | 대학 | 한동대학 | 0건 | 0건 | ||||
2023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1415189855 | 274200000 | 대학 | 분당서울대학병원 | 0건 | 0건 |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경막외 신경신호를 이용한 비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345224959 | 50641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1345217890 | 507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안동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1425167298 | 7778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포엔 | 정보통신 | 소프트웨어 | SW솔루션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026550 | 36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보통신방송산업진흥 | 정보통신융합원천기술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102888 | 411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SW산업진흥 | SW.디지털콘텐츠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1345240050 | 4905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 메케노바이올로지 기반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안전성 평가 시스템 구축 | 1711064290 | 1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125890 | 435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SW산업진흥 | SW.디지털콘텐츠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065230 | 344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통신방송산업진흥 | 정보통신산업융합원천기술(R&D)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정보화)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1711019477 | 10023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인공지능 인터뷰에 대한 편견과 그 영향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1711171140 | 42284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마비 환자의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유발전위를 활용한 헤드셋 형 고속/저전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1711052658 | 131199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전략공모 | X 프로젝트 | X 프로젝트(후속연구)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345148784 | 5842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BrainBot: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지능형 로봇 고등목표 생성기술 | 1345341393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1345284574 | 64500000 | 기타 | 대학 | 한양대학교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방추 변조를 통한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성능 향상 | 1345286777 | 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1345310403 | 53749000 | 기타 | 대학 | 한양대학교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1345340550 | 21501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1345346853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1345169174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064830 | 4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정밀 역추정 기계학습 기반 최소침습/비침습 다중모드 무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2710018254 | 5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04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1350013000 | 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0건 | 0건 |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1345203904 | 2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345238804 | 49237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1345240668 | 51051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080977 | 411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SW산업진흥 | SW.디지털콘텐츠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정보화) | 0건 | 0건 |
2006 | 교육인적자원부 | 기초과학학술연구조성(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이차원 마우스 제어를 위한 f-MRI를 활용한 EEG 센서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1340027824 | 24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Task-to-task 전이학습을 통한 사용자 중심 상상운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2340001090 | 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동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1345269674 | 51051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1345120778 | 6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첨단융합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1345153030 | 6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1711114267 | 8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공지능 및 지능형 로봇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반응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소비자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1711117517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1711030304 | 10023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1711037158 | 50115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국제연구인력교류(BRAINPOOL)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1711046804 | 419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모드 잠금 광섬유 가변 레이저 : 광학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구 | 1345327773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1711158300 | 94899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1345127551 | 598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038103 | 450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1711023298 | 50115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05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1350022188 | 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104944 | 4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마이크로 코일 기반의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203584 | 96604000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5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 침습적 뇌신경세포 신호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현 및 검증 | 1465019754 | 1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병원 | 0건 | 0건 | |||
2016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및 훈련 시스템 구축 | 1465022100 | 14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1711019418 | 101283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1425174568 | 109644000 | 중소기업 | (주)포엔 | 정보통신 | 소프트웨어 | SW솔루션 | 0건 | 0건 | |
2013 | 보건복지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구.재활연구용역사업) | 뇌신경세포 신호 및 뇌피질전도를 사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연구 | 1465014690 | 2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병원 | 0건 | 0건 |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계층적 베이지안 감독모델을 활용한 융합형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345224551 | 49237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대중화를 위한 통합 시스템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 | 1345221765 | 33995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한국형 SGER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081795 | 465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반화된 인공지능 개발 | 1345334162 | 7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동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인공지능 및 지능형 로봇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 반응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소비자심리학, 신경과학의 융합연구 | 1711148545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02 | 중소기업청 | 산학연공동기술개발 |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RF 모듈 개발 | 1420016321 | 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충북과학대학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055101 | 325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통신방송산업진흥 | 정보통신산업융합원천기술(R&D)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정보화) | 0건 | 0건 |
2022 | 방위사업청 | 국방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표적인식 기술경진대회 | 1695009339 | 2147483647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국방과학연구소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1711185231 | 94899000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1711157655 | 43187000 | 기초연구 | 대학 | 공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의 폐회로 청각 보조 및 재활 | 1711176146 | 1407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인재활용확산지원 |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 |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유형1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131346 | 6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104845 | 4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1711127435 | 8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말소리와 동조되는 뇌신호를 이용한 언어이해 예측시스템 구축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반 환자용 언어소통기술 획득 | 1345209779 | 10023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130375 | 69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뇌간 의사소통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휴먼증강 시스템 개발 | 1345300735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R&D)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1345291501 | 637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학술·인문사회사업 | 대학연구국제교류강화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음악 심상과 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상지 재활 연구 | 1345328749 | 53344000 | 기타 | 대학 | 한양대학교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하이브리드 EEG-NIRS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빠르고 정확한 의도 검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한 새로운 분석 프레임워크의 개발 | 1345304805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4차산업혁명)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인간 대상 체성감각 피드백 기반 운동제어-감각정보 통합형 침습적 상지운동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711052251 | 37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05 | 교육인적자원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이차원 마우스 제어를 위한 f-MRI를 활용한 EEG 센서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1340002232 | 24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0건 | 0건 |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1711014502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R&D)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1345310082 | 55206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학술·인문사회사업 | 대학연구국제교류강화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기술국제협력(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소프트 로봇 기술 융합 뇌졸중 홈 재활 및 보조 시스템 | 1415177716 | 133200000 | 응용연구 | 대학 | 분당서울대학병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1711186366 | 48120000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345170752 | 5809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위한 XAI 기반 적응형 학습 기술 개발 | 1711119152 | 300000000 | 기타 | 대학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보통신융합산업 | ICT인력양성(일반) |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 지원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1711006502 | 4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보안 | 지식정보보안 | 정보통신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문맹'예측 및 경두개전기자극을 통한 극복 시스템 개발 | 1711091646 | 1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1711021906 | 4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사회 인지 측정 및 훈련을 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연구 | 1711012132 | 50115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SW 스타랩)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152912 | 315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SW산업진흥 | SW.디지털콘텐츠기술개발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1345255156 | 981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1345168742 | 30598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예술에서 고찰한 혼합현실 콘텐츠의 발전 방안 | 1345268142 | 14000000 | 기타 | 대학 | 부산대학교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시간강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1711190956 | 110560000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복잡한 움직임 구현을 위한 지능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9991004922 | 5842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1345171456 | 598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1711186966 | 57418000 | 대학 | 한양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간의 효율적 활용 기술 연구 | 1345172736 | 6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1345204519 | 507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안동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이동 환경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지능형 패턴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1711035286 | 372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보통신방송산업진흥 | 정보통신산업융합원천기술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 정보화)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첨단융합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1345147781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의 융합한 뇌성마비 아동의 뇌가소성과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차세대 첨단 뇌조정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 | 1345105347 | 5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스마트기기, 메타버스에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뇌파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의 생각 명령 인식 뇌-기계 인터페이스 | 2420003519 | 7778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포엔 | 0건 | 0건 | |||
2017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1345274987 | 84934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학술·인문사회사업 | 대학연구국제교류강화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064633 | 4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율 적응형 베이시안 디코딩 알고리즘 개발 | 1345154661 | 598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3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교육부)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1345205545 | 47966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06 | 과학기술부 | 국제공동연구사업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패러다임 연구와 실시간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1350009117 | 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0건 | 0건 |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두 결정적 진동신호 사이의 새로운 향상된 유사성 지표 개발 | 1345233761 | 507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안동대학교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구)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고성능의 발화 상상 관련 신경언어 디코딩이 가능한 사용자 독립적 도메인 심층 전이학습 프레임워크 기반 직관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197421 | 66332000 | 대학 | 충북대학 | 0건 | 0건 | ||||
2012 | 지식경제부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모바일 환경하에서 모바일 인증과 보안 강화를 위해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하고 안전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반 Usable Security 원천기술 개발 | 1415121995 | 3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정보보안 | 지식정보보안 | 정보통신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비동기식 실시간 하이브리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1345266941 | 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경막외 신경신호를 이용한 비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 1345239785 | 50641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 | 비언어적 의사소통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 교류: 움직임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중심 | 1345250449 | 10192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학술·인문사회사업 | 대학연구국제교류강화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1711198371 | 73303000 | 대학 | 한양대학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의료 및 신경인체공학을 위한 인쇄공정 기반 초미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2710004995 | 11851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멀티유저용 생체신호 동시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1345237133 | 47966000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마이크로 코일 기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1711196073 | 400000000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신호 처리 및 딥 러닝 알고리즘 기반 원천 기술 개발 연구 | 1711136051 | 41022000 | 기초연구 | 대학 | 동서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영장류 기반 상지 위치-운동정보 통합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1711082541 | 42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관동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자기지도학습 기반 범용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솔루션 개발 | 2710017085 | 8541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마비 환자의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유발전위를 활용한 헤드셋 형 고속/저전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1711037586 | 13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전략공모 | X 프로젝트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1345174281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0건 | 0건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1345141819 | 32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2 | 방위사업청 | 국방기술개발 | 상지손상 환자의 운동/감각 기능 복원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 1695009369 | 2147483647 | 응용연구 | 대학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뇌과학원천기술개발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 신호 융합 정보처리 알고리즘 개발 | 1711003596 | 3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사용자-전이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학습 세션 최소화가 가능한 정상-상태 체성감각 유발 전위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 1711129391 | 11056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세종과학펠로우십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1711029461 | 101283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 | 단일신경활동, 뇌피질뇌파, 근적외선 활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실용화 | 1345162635 | 300000000 | 개발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광음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연구 | 1345208817 | 101283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2710001493 | 109406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에서 '심미적 상호작용 경험'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연구-프래그머티즘 미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1345147949 | 30120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 | 기초연구과제지원 |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단독연구)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외이도 뇌파 측정을 통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구현 | 1345269437 | 981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감각운동기능의 모델링, 재현,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 1711194847 | 147312000 | 대학 | 한양대학 | 0건 | 0건 |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 | 뇌 활동도 패턴의 시간-공간-주파수 분석에 기반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원천 기술 개발 | 1345205427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 공공복지안전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다표준 무선 통신 기반의 고성능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SoC 설계 기술 개발 | 1345254547 | 51051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성형 AI 반응속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및 태도와 그 활용에 대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심리학, 인지과학의 융합연구 | 2710018887 | 62798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청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및 활용 | 1711161685 | 52513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