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Personalized microbiome
-
기술 정의
개인-특이적 다양성을 가진 인체 공생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군집)과 인체와의 상호작용 규명을 통한 질환 타겟 연구 및 건강한 장내 환경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
기술장점
인체 공생 마이크로바이옴 및 각종 마이크로바이옴은 건강 및 각종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2014년도에 선정된 세계 10대 유망기술 중 하나로써 고부가가치 개인 맞춤형 차세대 치료기술로 수요 확대 전망
-
실현 시기
향후 5년 : ~2020년 : 마이크로바이옴 분포 다양성 분석, 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모델 및 연관 질환 모델을 이용한 상호작용 제어기술 개발
향후 10년 : ~2025년 : 마이크로바이옴 조절을 통한 질환 치료 타겟 및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
요소 기술
1) 인체 공생 마이크로바이옴 확보 및 분석기술
- 장내 시료 확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등을 활용한 메타게놈 분석으로 개인
-특이적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프로파일 확보
2) 개인 맞춤형 인체-유사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모델 개발
- 기존 무균 동물모델, 세포모델 및 새로운 인체-유사 대체모델 개발을 통한 마이크로바이옴과 인체 상호 관계 연구
- 비피더스균의 인위적인 섭취가 장내 균총의 정장 작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의 기능과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인체의 장내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인체-유사 모델개발이 필요
- 개인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위한 스크리닝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한 인체 유사 환자-특이적, 질환-특이적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모델 확보 - 장내 환경 모방 모델을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배양 기술
* 3D-세포 모델, 오가노이드 모델 등
3) 질환 연관 마이크로바이옴의 인체 반응기전 연구
- 개인의 면역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인체-유사 연구모델 개발 및 질환 타겟 연구
4) 마이크로바이옴 중 유용균을 분리하여 장내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배양 후 직접 섭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기술
- 노환이나 질환 시에 이용하기 위해 유용균을 분리, 보관하는 기술 및 장내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배양하는 기술
- 약으로 섭취한 마이크로바이옴의 생존 문제 해결
- 개개인의 최적화된 장내 정착 관련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개인 특이성 고려
5)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질환 타겟 치료기술 개발
- 질환-특이적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바이오마커, 질환타겟 개발
- 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표적 치료법 및 신약(미생물신약, 합성신약 포함) 개발
-
주요 이슈
미래의 개인 맞춤형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인체와 공생 마이크로바이옴 및 질환과 관련된 감염성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연구 분야의 기술적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개인 맞춤형 건강 증진 및 치료 연구를 위한 다학제간 융합 방식의 협력 연구가 필요함. 메타게놈 분석방법을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정보의 활용은 아직까지 제한적이며, 실제로 젊고 건강한 장내 환경 유지를 위한 인체 혹은 인간모델에서의 기능 연구를 통한 질환 타겟 연구 및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치료법 연구는 미미한 실정임
-
해외 기술개발동향
미국은 인체-마이크로바이옴 군집조사(Human Microbiome Project, HMP)에 2012년까지 2,000억 원을 투입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현재 2단계 연구가 추진 중이며, 연구를 통해 인체 미생물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였음
일본은 2007년에 Human Metagenome Consortium, Japan(HMGJ)을 구성하여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게놈 해독을 통한 integrated database를 구축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유럽과의 공동사업과 함께 Meta-GUT Project를 진행하고 있음
유럽의 인간 장내 메타게놈 컨소시엄(Metagenomics of the Human Intestinal Tract, MetaHIT)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2,200만 유로를 투자하여, 인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의 catalog를 완성하였고 장내 미생물과 인간의 질환 연관 관계를 연구하고 있음
-
국내 기술개발동향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2014~2021년)의 한 분야로서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으나, 세계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투자 확대가 필요한 실정임
연구 분야는 주로 프로바이오틱, 유전체, 식물-미생물 상호작용, 감염기전 연구 등에 집중되고 있으나, 마이크로바이옴 조절을 통한 질환 타겟 연구 및 인체-유사 질환 예측 모델을 통한 바이오신약 연구는 미비한 실정임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글로벌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시장규모는 2019년 2.9억 달러에 이를 전망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방대함에 비례해 이들을 연구하여 질병을 예방·치료하는 기술의 잠재력과 의학적 파급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 자료출처: Markets and Markets, ‘Global Forecast to 2023’, 2014
-
사회적 기대효과
2014년도 선정 세계 10대 유망기술 중 Human Microbiome Therapeutics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포함되어 있음‘인체-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은 개인의 건강과 질환과의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대병(염증성 질환, 면역질환, 장질환, 당뇨, 천식 등)의 질환치료를 위한 핵심 연구분야로 부상하고 있음
-
필요 사항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연구와 임상 공조 인프라 구축기존 실험동물 및 암세포주 모델을 대체할 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인체-유사 실험모델 구축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184.65 | 9건 |
2023년 | 2,098.31 | 8건 |
2022년 | 689.67 | 7건 |
2021년 | 522.96 | 4건 |
2020년 | 119.17 | 2건 |
2019년 | 50 | 1건 |
2018년 | 50 | 1건 |
2017년 | 88 | 2건 |
2016년 | 50.51 | 1건 |
2015년 | 495.86 | 2건 |
2014년 | 284.75 | 2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9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2공동)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농식품자원연구 | 145 | 1395071417 |
2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 | 1345278889 |
3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국립농업과학원 | 2024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360 | 2390000949 |
4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88 | 1711182121 |
5 | 질환 맞춤형 식이 추천 알고리즘 개발 연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서 식이 유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의 역할 및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규명을 중심으로 | 동덕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15.11 | 2710004205 |
6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아이큐어(주) | 2020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동물실험 대체 효능 평가 기술개발 | 106.67 | 1465031421 |
7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고려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50.51 | 1345261175 |
8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아이큐어(주) | 2022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 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 동물실험 대체 효능 평가 기술개발 | 133.33 | 1465037213 |
9 | 법의학적 개인식별을 위한 미생물군집(microbiome) 메타지놈 분석 | 순천향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한국형 SGER | 31.2 | 1345220381 |
10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3공동)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85 | 1395074211 |
11 | 맞춤형 바이오식품 구현을 위한 "미각-마이크로바이옴-생리활성" 상호작용 기초융합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융합형 | 469.5 | 2710001728 |
12 | 다낭난소증후군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치료 효과 규명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 | 2340000944 |
13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국립농업과학원 | 2023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450 | 1395076864 |
14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120 | 1395074154 |
15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3.41 | 1711171664 |
16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고려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리서치펠로우지원 | 50.99 | 1345234254 |
17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아이큐어(주) | 2021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동물실험 대체 효능 평가 기술개발 | 133.33 | 1465033564 |
18 | 다낭난소증후군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치료 효과 규명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71089 |
19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농식품자원연구 | 150 | 1395071411 |
20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85.17 | 2710009638 |
21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94.63 | 1711161332 |
22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고려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리서치펠로우 | 50.51 | 1345248572 |
23 | 운동 선수 특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 (주)에이치엠이헬스케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75 | 1425180356 |
24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6.3 | 2710016247 |
25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 | 1345296666 |
26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37.5 | 1345262613 |
27 | 맞춤형 바이오식품 구현을 위한 "미각-마이크로바이옴-생리활성" 상호작용 기초융합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융합형 | 375 | 1711198703 |
28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94.63 | 1711127875 |
29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12.5 | 1345315802 |
30 | 운동 선수 특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 (주)에이치엠이헬스케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60 | 2420002145 |
31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94.63 | 1711189795 |
32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2공동)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120 | 1395074202 |
33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3.3 | 1711153295 |
34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3.97 | 2710011734 |
35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중앙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3.3 | 1711183490 |
36 | 폐암에서 개인 맞춤 항암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마이크로바이옴기반차세대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마이크로 바이옴 기반 만성 난치성 질환 및 항암치료 원천기술개발 | 810 | 2710001846 |
37 | 폐암에서 개인 맞춤 항암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 삼성서울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마이크로바이옴기반차세대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마이크로 바이옴 기반 만성 난치성 질환 및 항암치료 원천기술개발 | 900 | 1711196100 |
38 | 제2 유닛(4세부) : 난치성 감염질환의 Microbiome 진단센터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 개발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2014 | 보건복지부 | 연구중심병원육성 | 연구중심병원육성 | 253.55 | 1465016136 |
39 | 제2 유닛(4세부) : 난치성 감염질환의 Microbiome 진단센터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 개발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2015 | 보건복지부 | 연구중심병원육성 | 연구중심병원육성 | 444.87 | 1465019726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80.62 | 279건 |
2023년 | 83.72 | 313건 |
2022년 | 72.09 | 301건 |
2021년 | 68.45 | 305건 |
2020년 | 59.0 | 259건 |
2019년 | 45.61 | 236건 |
2018년 | 37.68 | 192건 |
2017년 | 32.98 | 134건 |
2016년 | 24.79 | 108건 |
2015년 | 18.34 | 74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9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2공동)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농식품자원연구 | 145000000 | 145 | 1395071417 |
2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000000 | 50 | 1345278889 |
3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국립농업과학원 | 2024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360000000 | 360 | 2390000949 |
4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878000 | 57.88 | 1711182121 |
5 | 질환 맞춤형 식이 추천 알고리즘 개발 연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서 식이 유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의 역할 및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규명을 중심으로 | 동덕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15107000 | 215.11 | 2710004205 |
6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아이큐어(주) | 2020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동물실험 대체 효능 평가 기술개발 | 106667000 | 106.67 | 1465031421 |
7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고려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50505000 | 50.51 | 1345261175 |
8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아이큐어(주) | 2022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 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 동물실험 대체 효능 평가 기술개발 | 133334000 | 133.33 | 1465037213 |
9 | 법의학적 개인식별을 위한 미생물군집(microbiome) 메타지놈 분석 | 순천향대학교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구)한국형 SGER | 31200000 | 31.2 | 1345220381 |
10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3공동)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85000000 | 85 | 1395074211 |
11 | 맞춤형 바이오식품 구현을 위한 "미각-마이크로바이옴-생리활성" 상호작용 기초융합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융합형 | 469502000 | 469.5 | 2710001728 |
12 | 다낭난소증후군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치료 효과 규명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00000 | 54.6 | 2340000944 |
13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국립농업과학원 | 2023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450000000 | 450 | 1395076864 |
14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120000000 | 120 | 1395074154 |
15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3408000 | 43.41 | 1711171664 |
16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고려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리서치펠로우지원 | 50992000 | 50.99 | 1345234254 |
17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아이큐어(주) | 2021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동물실험 대체 효능 평가 기술개발 | 133334000 | 133.33 | 1465033564 |
18 | 다낭난소증후군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치료 효과 규명 연구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71089 |
19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1주관) | 국립농업과학원 | 2021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농식품자원연구 | 150000000 | 150 | 1395071411 |
20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85167000 | 85.17 | 2710009638 |
21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94630000 | 94.63 | 1711161332 |
22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고려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리서치펠로우 | 50505000 | 50.51 | 1345248572 |
23 | 운동 선수 특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 (주)에이치엠이헬스케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75000000 | 75 | 1425180356 |
24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이화여자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6303000 | 46.3 | 2710016247 |
25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000000 | 50 | 1345296666 |
26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37500000 | 37.5 | 1345262613 |
27 | 맞춤형 바이오식품 구현을 위한 "미각-마이크로바이옴-생리활성" 상호작용 기초융합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융합형 | 375000000 | 375 | 1711198703 |
28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94630000 | 94.63 | 1711127875 |
29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영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12500000 | 12.5 | 1345315802 |
30 | 운동 선수 특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 (주)에이치엠이헬스케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60000000 | 60 | 2420002145 |
31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고려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94630000 | 94.63 | 1711189795 |
32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2공동) | 국립농업과학원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농식품자원연구 | 120000000 | 120 | 1395074202 |
33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3302000 | 93.3 | 1711153295 |
34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서울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3972000 | 83.97 | 2710011734 |
35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중앙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3302000 | 93.3 | 1711183490 |
36 | 폐암에서 개인 맞춤 항암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 삼성서울병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마이크로바이옴기반차세대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마이크로 바이옴 기반 만성 난치성 질환 및 항암치료 원천기술개발 | 810000000 | 810 | 2710001846 |
37 | 폐암에서 개인 맞춤 항암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 삼성서울병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마이크로바이옴기반차세대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마이크로 바이옴 기반 만성 난치성 질환 및 항암치료 원천기술개발 | 900000000 | 900 | 1711196100 |
38 | 제2 유닛(4세부) : 난치성 감염질환의 Microbiome 진단센터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 개발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2014 | 보건복지부 | 연구중심병원육성 | 연구중심병원육성 | 253554000 | 253.55 | 1465016136 |
39 | 제2 유닛(4세부) : 난치성 감염질환의 Microbiome 진단센터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 개발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2015 | 보건복지부 | 연구중심병원육성 | 연구중심병원육성 | 444872000 | 444.87 | 1465019726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9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1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2공동) | 1395071417 | 145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기능성식품 | 기능성 물질 소재화ㆍ표준화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1345278889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24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2390000949 | 36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기능성식품 | 식품 영양ㆍ기능성 평가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1711182121 | 57878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질환 맞춤형 식이 추천 알고리즘 개발 연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서 식이 유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의 역할 및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규명을 중심으로 | 2710004205 | 215107000 | 기초연구 | 대학 | 동덕여자대학교 | 0건 | 0건 | |||
2020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1465031421 | 106667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아이큐어(주) | 화장품 | 제형기술 | 피부흡수 및 안정화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1345261175 | 50505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리서치펠로우지원사업 | 리서치펠로우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 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1465037213 | 133334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아이큐어(주) | 화장품 | 제형기술 | 피부흡수 및 안정화 | 0건 | 0건 |
2014 | 교육부 | 일반연구자지원 | 법의학적 개인식별을 위한 미생물군집(microbiome) 메타지놈 분석 | 1345220381 | 312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순천향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한국형 SGER | 0건 | 0건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3공동) | 1395074211 | 85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발효식품 | 발효자원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맞춤형 바이오식품 구현을 위한 "미각-마이크로바이옴-생리활성" 상호작용 기초융합연구 | 2710001728 | 469502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다낭난소증후군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치료 효과 규명 연구 | 2340000944 | 54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1395076864 | 45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기능성식품 | 식품 영양ㆍ기능성 평가 | 0건 | 0건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1주관) | 1395074154 | 12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기능성식품 | 기능성 물질 소재화ㆍ표준화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1711171664 | 43408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1345234254 | 50992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리서치펠로우지원사업 | 리서치펠로우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보건복지부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제형 개발 및 적용 | 1465033564 | 133334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아이큐어(주)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다낭난소증후군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기반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치료 효과 규명 연구 | 1345371089 | 5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R&D)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1주관) | 1395071411 | 15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기능성식품 | 기능성 물질 소재화ㆍ표준화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2710009638 | 85167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1711161332 | 9463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아토피피부염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환자맞춤형 microbiome-microRNA 융합치료제 효능연구 | 1345248572 | 50505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리서치펠로우지원사업 | 리서치펠로우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운동 선수 특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 1425180356 | 75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에이치엠이헬스케어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치과보철물 소재에 따른 구강 microbiome 특성파악 및 규조류-바이오캐비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구강 바이오필름 관리 전략의 개발 | 2710016247 | 46303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1345296666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1345262613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맞춤형 바이오식품 구현을 위한 "미각-마이크로바이옴-생리활성" 상호작용 기초융합연구 | 1711198703 | 37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1711127875 | 9463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당뇨병 맞춤의료 치료제 개발 전임상 기초연구 | 1345315802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운동 선수 특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 2420002145 | 6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에이치엠이헬스케어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난치성 당뇨족부궤양 치료를 위한 유전체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환자맞춤형 치료 플랫폼 구축 | 1711189795 | 9463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2 |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 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2공동) | 1395074202 | 12000000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농식품자원 | 기능성식품 | 기능성 물질 소재화ㆍ표준화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1711153295 | 93302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2710011734 | 83972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생체 폴리페놀 대사체 구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식이 제안 | 1711183490 | 93302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마이크로바이옴기반차세대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폐암에서 개인 맞춤 항암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 2710001846 | 810000000 | 응용연구 | 기타 | 삼성서울병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마이크로바이옴기반차세대치료원천기술개발사업 | 폐암에서 개인 맞춤 항암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 1711196100 | 900000000 | 응용연구 | 병원 | 삼성서울병원 | 0건 | 0건 | |||
2014 | 보건복지부 | 연구중심병원육성 | 제2 유닛(4세부) : 난치성 감염질환의 Microbiome 진단센터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 개발 | 1465016136 | 253554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감염 및 미생물학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연구중심병원육성 | 제2 유닛(4세부) : 난치성 감염질환의 Microbiome 진단센터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 개발 | 1465019726 | 444872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감염 및 미생물학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