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항암백신Next generation cancer vaccine
-
기술 정의
활성이 없는 다양한 암 유발 바이러스 인자들의 동정과 분석에 관한 빅데이터를 통해 고효율의 암 발생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이 가능한 백신물질을 개발하는 기술
-
기술장점
다양한 바이러스 유래의 암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발생된 암에 대한 면역증강을 통해 항암제 유래의 부작용 감소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2023년 : 여러 암 종별 백신 마커 개발다양한 면역세포의 면역치료 기술의 활성화
향후 10년 : ~2028년 : 개발된 다양한 백신 마커의 예방 및 치료의 상용화
-
요소 기술
1) 암 종별 항암 백신용 바이오마커 스크리닝 기술
- 외부 요인 혹은 유전자 변이로 인한 암 발생 시 고효율의 면역세포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타겟 마커 스크리닝 기술의 요구
- 암세포 특이적인 면역세포 활성 조절 기술의 요구
2) 고효율의 항원보강제(immuno-adjuvant) 개발 기술
- 개발된 백신 물질과 함께 면역 증강을 유도하는 안정하고 고효율의 보강제 연구 필수
3) 환자 맞춤형 백신 개발 기술
- 암종/환자별 최적화된 면역세포 연구 및 관련 백신 개발 기술
-
주요 이슈
여러 외부요인에 의한 암 발생을 근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으며, 종양의 면역회피 및 면역세포 조절 기능 분석을 통한 암 예방 및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도출
-
해외 기술개발동향
최근 암 발생의 원인이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됨을 이용하여 항암예방 백신 개발을 위한 당단백질의 바이오마커 스크리닝 기술 개발 시도
항암 백신 기반 암 치료 전략을 위해 면역세포 기반 고효율의 암특이적 인지·면역 반응 개선 연구를 통한 항암 백신 기술 개발에 주력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9를 2020년까지 접종률 8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보고
-
국내 기술개발동향
국내의 항암백신 관련 연구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며, 항암백신 예방·치료 관련 국내 기술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관련 기술 연구 필요
* 일부 연구팀이 임상 시험을 진행 중
집중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이 있는 특허 및 제품 창출을 통한 세계와의 경쟁력 제고 요구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글로벌 항암 백신 시장은 2015년 25억 달러(약 3조 원)에서 연평균 1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 75억 달러(약 8.9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 의료용 백신은 암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켜 더 많은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항암 백신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 출처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2년 글로벌 항암백신 시장 전망, 2017
-
사회적 기대효과
암의 유발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암환자의 수를 줄이고 부작용이 없는 암치료법 제시를 통한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삶의 질 개선 가능
-
필요 사항
각각의 백신에 대한 안정성 및 부작용 테스트를 통한 안전한 백신 개발 요구단순히 바이러스에 기인되는 백신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에 의한 치료제로의 가능성도 관련된 추가 연구도 고려 대상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 :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4,950.6 | 27건 |
2023년 | 3,106.45 | 24건 |
2022년 | 3,267.22 | 21건 |
2021년 | 2,514.82 | 15건 |
2020년 | 3,430.23 | 16건 |
2019년 | 3,605.88 | 18건 |
2018년 | 4,321.71 | 20건 |
2017년 | 3,195.16 | 18건 |
2016년 | 2,017.97 | 15건 |
2015년 | 1,556.58 | 13건 |
관련 R&D 과제 정보 187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주)엔에이백신연구소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300 | 9991008466 |
2 | 원예채소기반 항원 융합백신단백질 거대분자 구조개선 및 발현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립선 암 예방 및 치료 효과 극대화 기술개발 | 중앙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99 | 1711030686 |
3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주식회사 엔에이백신연구소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이관)(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47.18 | 9991008823 |
4 | 난치성암 치료용 B세포 및 단구 기반 면역치료백신 CeliVax의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및 임상개발 | (주)셀리드 | 2018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화연계기술개발(R&D) |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1,173.33 | 1415159562 |
5 | 원예채소기반 항원 융합백신단백질 거대분자 구조개선 및 발현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립선 암 예방 및 치료 효과 극대화 기술개발 | 중앙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99 | 1711043234 |
6 | 난치성암 치료용 B세포 및 단구 기반 면역치료백신 CeliVax의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및 임상개발 | (주)셀리드 | 2017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민간투자연계형 | 923.79 | 1415154029 |
7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주)엔에이백신연구소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600 | 9991007750 |
8 | 인공지능 기반 방광암 조직과 매칭된 소변 내 circulating tumor DNA를 이용한 진단 및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 충북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87.39 | 2710004444 |
9 | HPV 연관 두경부암 예방을 위한 구강 점막 마이크로니들 백신 패치 개발 | (주)쿼드메디슨 | 2022 | 보건복지부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 |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 221.36 | 1465036529 |
10 | 극성화 조절 CAR-T 세포와 이중 항원 제시 백신의 병용 요법을 통한 고효능 면역 항암치료 전략 개발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60 | 2340010334 |
11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주)플럼라인생명과학 | 2017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85.1 | 1545014964 |
12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109 | 1545017126 |
13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주)플럼라인생명과학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136.9 | 1545016583 |
14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7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51 | 1545015160 |
15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853.33 | 1711105423 |
16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773.33 | 1711075617 |
17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 | 933.33 | 1711043714 |
18 | 면역세포 선택적인 IL-4 신호전달을 통한 항암 치료 항체 및 백신 보조제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286958 |
19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 | 1711074895 |
20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 | 1711115047 |
21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 | 1711086234 |
22 | 종양 반응성 T세포와 신생항원의 결합 예측을 통한 고형암 치료용 개인맞춤 mRNA 백신 선도물질 도출 | 지니너스 주식회사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66.07 | 2710003335 |
23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연세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 | 1345350863 |
24 | 종양 반응성 T세포와 신생항원의 결합 예측을 통한 고형암 치료용 개인맞춤 mRNA 백신 선도물질 도출 | 지니너스 주식회사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133.33 | 1711200991 |
25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연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7.5 | 1345364736 |
26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연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33440 |
27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734.67 | 1711093246 |
28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552 | 1711129867 |
29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773.33 | 1711058269 |
30 | 마우스 모델에서 항암면역 유도능이 강화된 차세대 암치료용 동종이형 수지상세포(DC) 백신 개발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40.13 | 2710004879 |
31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충북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102 | 1711025512 |
32 | 난치성암 치료용 면역세포 백신 개발을 위한 종양 면역학적 연구 | 파미셀 주식회사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0.17 | 1345238036 |
33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충북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02 | 1711051958 |
34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충북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102 | 1711036084 |
35 | 난치성암 치료용 면역세포 백신 개발을 위한 종양 면역학적 연구 | 파미셀 주식회사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0.17 | 1345247141 |
36 |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진행하는 생쥐 모델에서 백신을 이용한 간암예방 효과 연구 | 국립암센터 | 2022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주요사업비) | 기관고유연구사업 | 120 | 1465038316 |
37 |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진행하는 생쥐 모델에서 백신을 이용한 간암예방 효과 연구 | 국립암센터 | 2023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공익적암연구사업 | 120 | 1465041343 |
38 | 백금계 내성 난소암에서 HIF1α/c-MET 종양 백신 기반 면역항암치료법 개발 및 기전 규명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41.97 | 2710004138 |
39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46743 |
40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10052 |
41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7 | 1345260062 |
42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2.5 | 1345250112 |
43 | 장간막림프절 전달형 항암 나노 백신의 설계 및 검증 | 전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7.86 | 1711136704 |
44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7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60 | 1395049752 |
45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91504 |
46 | 세포외 소포체 기반 암 치료용 백신 기술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1)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82.4 | 2710003576 |
47 | 경구형 항암 나노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및 항암 작용 기전 연구 | 경희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63077 |
48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 | 2710013761 |
49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8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9 | 1345279493 |
50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6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60 | 1395045017 |
51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5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 | 60 | 1395041603 |
52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60937 |
53 | 경구형 항암 나노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및 항암 작용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 | 1345354411 |
54 | 췌장암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 기반 hTERT/hFAP 펩타이드 결합 항암 면역 백신 후보물질 개발 | (주)포스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80.18 | 2420003335 |
55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중앙대학교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70 | 1395059728 |
56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68.96 | 1711174652 |
57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9.89 | 2710016670 |
58 | T세포내 아미노산에 의한 새로운 신호전달 규명 및 아미노산 기반 항암면역백신 개발 | 영남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 262 | 2710006550 |
59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주)셀리드 | 2018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 투자연계 | 93.69 | 1425126141 |
60 |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와 수용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민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신진연구자지원(인문사회) | 12.9 | 1345246715 |
61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50 | 1345253091 |
62 | B 세포를 활용한 항암 면역치료백신의 유효성 시험 및 제조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15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연구운영비지원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경비 | 160 | 1465018069 |
63 | 한국 HPV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의 확대 접종의 유효성 검증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보건복지부 |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 |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 | 75 | 2460001291 |
64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41.67 | 1345285630 |
65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90 | 1395063530 |
66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16.67 | 1345301962 |
67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중앙대학교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70 | 1395054954 |
68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중앙대학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70 | 1395063324 |
69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주)셀리드 | 2016 | 중소기업청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혁신기업기술개발 | 249.69 | 1425101947 |
70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41.67 | 1345268744 |
71 | 유방암미세환경 내 TSG-6의 기전 규명 및 유전자 편집 암세포백신의 효용성 연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67852 |
72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90 | 1395054933 |
73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주)셀리드 | 2017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혁신형기업기술개발 | 499.69 | 1425109661 |
74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44.32 | 1711181540 |
75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90 | 1395059670 |
76 |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원료생산 및 비임상독성평가 | (주)셀리드 | 2015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567 | 1465018003 |
77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 | 1345298115 |
78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 | 1345279017 |
79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주)셀리드 | 2019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466.67 | 1465027771 |
80 |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유효성 평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5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100 | 1465017969 |
81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37.5 | 1345264504 |
82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주)셀리드 | 2018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200 | 1465026120 |
83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주)셀리드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393 | 1465030886 |
84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12.5 | 1345313796 |
85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서울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50.27 | 1345270665 |
86 | 면역관문 단백질 발현 세균을 이용한 이중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 | 2340000405 |
87 | 시공간 제어 면역조절을 통한 mRNA 항암 백신 기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2.54 | 1711192361 |
88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를 위한 Th1-분극화된 면역반응이 극대화된 핵산 오리가미 기반의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2) | 88.13 | 1711199549 |
89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전남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5.37 | 2710013301 |
90 | 최적의 CpG 패턴과 신생항원을 포함한 DNA 나노구조체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07129 |
91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전남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86 | 1711180499 |
92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18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123 | 1465025339 |
93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23851 |
94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전남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86 | 1711156249 |
95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55.54 | 2710000106 |
96 | 시공간 제어 면역조절을 통한 mRNA 항암 백신 기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3.29 | 2710015061 |
97 |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연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40 | 2710007899 |
98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08.2 | 1711052088 |
99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50 | 1345315200 |
100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51.48 | 1345271238 |
101 | Disialyl Neu5Ac 2-3Galβ1-3[Neu5Ac 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48 | 1345240900 |
102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9.01 | 1711180354 |
103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인제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50 | 1711086778 |
104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19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84.75 | 1465027918 |
105 | 수지상세포 친화성 및 자극을 갖는 비-지질 암백신 나노전달체 개발 | 한양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외연수트랙) | 73.5 | 2710019054 |
106 | 경구 항암 백신의 장간막림프절 타겟팅과 면역항암 반응 연구 | 목포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44.09 | 1711200000 |
107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서울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27 | 1345255540 |
108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36.15 | 1711186018 |
109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25 | 1345289040 |
110 | 자궁경부암 백신 정제항원의 VLP함량시험법 개발 연구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등안전관리 | 감염병 예방 안전관리 | 150 | 1475008438 |
111 | 융합유전자 유래 종양의 종양미세환경 디지털 분석을 통한 초정밀 개인 맞춤 신항원 기반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178.66 | 2710004904 |
112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5 | 1345299054 |
113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펜타메딕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00 | 2710000444 |
114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36.15 | 1711170391 |
115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98.9 | 1711074611 |
116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1.64 | 1711127634 |
117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56.37 | 1711164574 |
118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50310 |
119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41.67 | 1345299344 |
120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40981 |
121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프로지니어(주)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00 | 2710000463 |
122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 | 1345322476 |
123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펜타메딕스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78.15 | 1711176426 |
124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25 | 1345366036 |
125 | 면역 초분자활성클러스터 유래 면역시냅토좀을 이용한 면역 항암 백신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 263 | 2710006412 |
126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108.2 | 1711036813 |
127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22.53 | 2710009493 |
128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 | 1345356342 |
129 | 면역종양치료를 위한 세포외소포체 기반 생체모방 나노항암백신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05602 |
130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인제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50 | 1711066702 |
131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6.33 | 1711133581 |
132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20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100 | 1465032066 |
133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0.35 | 1345285592 |
134 |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도입 효능평가 를 위한 HPV 항체 진단제 개발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17 | 보건복지부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200 | 1465023466 |
135 |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도입 효능평가를 위한 HPV항체 진단제 개발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16 | 보건복지부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100 | 1465021612 |
136 | 경구 항암 백신의 장간막림프절 타겟팅과 면역항암 반응 연구 | 목포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82.13 | 2710003137 |
137 | 무항원 (in situ) 항암백신 개발을 위한 폴리사카라이드 만난 기반 나노 면역 조절제 | 인하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88 | 1711171533 |
138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48 | 1345255277 |
139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 | 1345323273 |
140 | 최적의 CpG 패턴과 신생항원을 포함한 DNA 나노구조체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48443 |
141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98.9 | 1711108253 |
142 | 미세막상 구조물을 이용한 비세포 항암 백신 | 충남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05 | 1345240053 |
143 | 규조류 유래 친환경 바이오 실리카의 암 백신 최적화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 | 2340012953 |
144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 194 | 1711176436 |
145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5 | 1345279603 |
146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리서치펠로우 | 48.42 | 1345251963 |
147 | Jammed microgel을 이용한 모듈화된 항암 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연구인력교류(R&D) | (유형1)해외인재유치형 | 10.97 | 1711097277 |
148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경상대학교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80 | 1395054903 |
149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52507 |
150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경상대학교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80 | 1395059643 |
151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인제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50 | 1711051087 |
152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33.33 | 1345342743 |
153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펜타메딕스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65.19 | 1711179470 |
154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45439 |
155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15.13 | 1711194098 |
156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17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연구운영비지원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95 | 1465023009 |
157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병원 | 2021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100 | 1465035021 |
158 | 유효 신생항원 표적 개인맞춤형 항암 백신 개발 | (주)펜타메딕스 | 2019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R&D역량제고(R&D) | 2019년도 R&D기획지원사업(2차)_전략과제 | 34 | 1425137609 |
159 | 면역관문 단백질 발현 세균을 이용한 이중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 | 1345368481 |
160 | 박테리아 원형질체 유래 나노소포체를 이용한 패혈증 및 암백신 개발과 면역학적 기작 연구 | 포항공과대학교 | 2015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 | 미래기초과학사업핵심리더양성 | 23.6 | 1345233031 |
161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경상대학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80 | 1395063031 |
162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102 | 1711025359 |
163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25 | 1345362419 |
164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40.35 | 1345268551 |
165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5 | 1345266721 |
166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 | 1345344715 |
167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서울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27 | 1345240742 |
168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98.9 | 1711085252 |
169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프로지니어(주)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65.19 | 1711179471 |
170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16.14 | 1345303822 |
171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프로지니어(주)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78.15 | 1711176411 |
172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36.15 | 1711127782 |
173 | 자궁경부암 백신 정제항원의 VLP함량시험법 개발 연구(1)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2016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등안전관리 | 감염병 예방 안전관리 | 100 | 1475009351 |
174 | DNA 오리가미 기술과 항원포획을 통한 개인맞춤형 In Situ 암 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글로벌융합연구지원 | 50 | 2710006531 |
175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6.33 | 1711156939 |
176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6.33 | 1711187129 |
177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를 위한 Th1-분극화된 면역반응이 극대화된 핵산 오리가미 기반의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2) | 161.96 | 2710003011 |
178 |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를 위한 개인맞춤형 원형 mRNA 항암백신 선도물질 개발 | 펜타메딕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 사업 | 475 | 2710018673 |
179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00 | 1345330985 |
180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 | 1345347795 |
181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100 | 1465040124 |
182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2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150 | 1465036874 |
183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 | 1345320336 |
184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3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200 | 1465039692 |
185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75 | 1465037631 |
186 | 항암백신 개발을 위한 암항원 발굴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의공학연구사업 | 605.7 | 1711102241 |
187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 | 1345363213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41.15 | 215건 |
2023년 | 57.43 | 258건 |
2022년 | 64.91 | 288건 |
2021년 | 58.87 | 278건 |
2020년 | 62.22 | 307건 |
2019년 | 67.87 | 304건 |
2018년 | 69.64 | 304건 |
2017년 | 67.14 | 293건 |
2016년 | 55.99 | 273건 |
2015년 | 49.01 | 293건 |
검색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검색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187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주)엔에이백신연구소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300000000 | 300 | 9991008466 |
2 | 원예채소기반 항원 융합백신단백질 거대분자 구조개선 및 발현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립선 암 예방 및 치료 효과 극대화 기술개발 | 중앙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99000000 | 99 | 1711030686 |
3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주식회사 엔에이백신연구소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이관)(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47183000 | 247.18 | 9991008823 |
4 | 난치성암 치료용 B세포 및 단구 기반 면역치료백신 CeliVax의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및 임상개발 | (주)셀리드 | 2018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화연계기술개발(R&D) |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1173327000 | 1,173.33 | 1415159562 |
5 | 원예채소기반 항원 융합백신단백질 거대분자 구조개선 및 발현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립선 암 예방 및 치료 효과 극대화 기술개발 | 중앙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99000000 | 99 | 1711043234 |
6 | 난치성암 치료용 B세포 및 단구 기반 면역치료백신 CeliVax의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및 임상개발 | (주)셀리드 | 2017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민간투자연계형 | 923792000 | 923.79 | 1415154029 |
7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주)엔에이백신연구소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600000000 | 600 | 9991007750 |
8 | 인공지능 기반 방광암 조직과 매칭된 소변 내 circulating tumor DNA를 이용한 진단 및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 충북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87386000 | 287.39 | 2710004444 |
9 | HPV 연관 두경부암 예방을 위한 구강 점막 마이크로니들 백신 패치 개발 | (주)쿼드메디슨 | 2022 | 보건복지부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 |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 221364000 | 221.36 | 1465036529 |
10 | 극성화 조절 CAR-T 세포와 이중 항원 제시 백신의 병용 요법을 통한 고효능 면역 항암치료 전략 개발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60000000 | 60 | 2340010334 |
11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주)플럼라인생명과학 | 2017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85100000 | 85.1 | 1545014964 |
12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109000000 | 109 | 1545017126 |
13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주)플럼라인생명과학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136900000 | 136.9 | 1545016583 |
14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7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생명자원 부가가치 제고기술 | 51000000 | 51 | 1545015160 |
15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853334000 | 853.33 | 1711105423 |
16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773334000 | 773.33 | 1711075617 |
17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 | 933334000 | 933.33 | 1711043714 |
18 | 면역세포 선택적인 IL-4 신호전달을 통한 항암 치료 항체 및 백신 보조제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286958 |
19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074895 |
20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115047 |
21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100000000 | 100 | 1711086234 |
22 | 종양 반응성 T세포와 신생항원의 결합 예측을 통한 고형암 치료용 개인맞춤 mRNA 백신 선도물질 도출 | 지니너스 주식회사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66068000 | 366.07 | 2710003335 |
23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연세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70000000 | 70 | 1345350863 |
24 | 종양 반응성 T세포와 신생항원의 결합 예측을 통한 고형암 치료용 개인맞춤 mRNA 백신 선도물질 도출 | 지니너스 주식회사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133333000 | 133.33 | 1711200991 |
25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연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7500000 | 17.5 | 1345364736 |
26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연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33440 |
27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734667000 | 734.67 | 1711093246 |
28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552000000 | 552 | 1711129867 |
29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서울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773334000 | 773.33 | 1711058269 |
30 | 마우스 모델에서 항암면역 유도능이 강화된 차세대 암치료용 동종이형 수지상세포(DC) 백신 개발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40127000 | 240.13 | 2710004879 |
31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충북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102000000 | 102 | 1711025512 |
32 | 난치성암 치료용 면역세포 백신 개발을 위한 종양 면역학적 연구 | 파미셀 주식회사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0170000 | 40.17 | 1345238036 |
33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충북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02000000 | 102 | 1711051958 |
34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충북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102000000 | 102 | 1711036084 |
35 | 난치성암 치료용 면역세포 백신 개발을 위한 종양 면역학적 연구 | 파미셀 주식회사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40170000 | 40.17 | 1345247141 |
36 |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진행하는 생쥐 모델에서 백신을 이용한 간암예방 효과 연구 | 국립암센터 | 2022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주요사업비) | 기관고유연구사업 | 120000000 | 120 | 1465038316 |
37 |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진행하는 생쥐 모델에서 백신을 이용한 간암예방 효과 연구 | 국립암센터 | 2023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공익적암연구사업 | 120000000 | 120 | 1465041343 |
38 | 백금계 내성 난소암에서 HIF1α/c-MET 종양 백신 기반 면역항암치료법 개발 및 기전 규명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241965000 | 241.97 | 2710004138 |
39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46743 |
40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10052 |
41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73000 | 10.77 | 1345260062 |
42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2500000 | 12.5 | 1345250112 |
43 | 장간막림프절 전달형 항암 나노 백신의 설계 및 검증 | 전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7862000 | 47.86 | 1711136704 |
44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7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60000000 | 60 | 1395049752 |
45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91504 |
46 | 세포외 소포체 기반 암 치료용 백신 기술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유형1)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 82400000 | 82.4 | 2710003576 |
47 | 경구형 항암 나노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및 항암 작용 기전 연구 | 경희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63077 |
48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000000 | 180 | 2710013761 |
49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8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85000 | 10.79 | 1345279493 |
50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6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60000000 | 60 | 1395045017 |
51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중앙대학교 | 2015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 | 60000000 | 60 | 1395041603 |
52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60937 |
53 | 경구형 항암 나노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및 항암 작용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000000 | 75 | 1345354411 |
54 | 췌장암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 기반 hTERT/hFAP 펩타이드 결합 항암 면역 백신 후보물질 개발 | (주)포스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80178000 | 80.18 | 2420003335 |
55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중앙대학교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70000000 | 70 | 1395059728 |
56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68960000 | 68.96 | 1711174652 |
57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9888000 | 129.89 | 2710016670 |
58 | T세포내 아미노산에 의한 새로운 신호전달 규명 및 아미노산 기반 항암면역백신 개발 | 영남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 262000000 | 262 | 2710006550 |
59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주)셀리드 | 2018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 투자연계 | 93692371 | 93.69 | 1425126141 |
60 |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와 수용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국민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신진연구자지원(인문사회) | 12900000 | 12.9 | 1345246715 |
61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 | 50000000 | 50 | 1345253091 |
62 | B 세포를 활용한 항암 면역치료백신의 유효성 시험 및 제조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 2015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연구운영비지원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경비 | 160000000 | 160 | 1465018069 |
63 | 한국 HPV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의 확대 접종의 유효성 검증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보건복지부 |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 |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 | 75000000 | 75 | 2460001291 |
64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41667000 | 41.67 | 1345285630 |
65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90000000 | 90 | 1395063530 |
66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16666000 | 16.67 | 1345301962 |
67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중앙대학교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70000000 | 70 | 1395054954 |
68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중앙대학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70000000 | 70 | 1395063324 |
69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주)셀리드 | 2016 | 중소기업청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혁신기업기술개발 | 249693000 | 249.69 | 1425101947 |
70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충남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41667000 | 41.67 | 1345268744 |
71 | 유방암미세환경 내 TSG-6의 기전 규명 및 유전자 편집 암세포백신의 효용성 연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67852 |
72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90000000 | 90 | 1395054933 |
73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주)셀리드 | 2017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혁신형기업기술개발 | 499692628 | 499.69 | 1425109661 |
74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44320000 | 144.32 | 1711181540 |
75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90000000 | 90 | 1395059670 |
76 |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원료생산 및 비임상독성평가 | (주)셀리드 | 2015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567000000 | 567 | 1465018003 |
77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000000 | 50 | 1345298115 |
78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50000000 | 50 | 1345279017 |
79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주)셀리드 | 2019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466667000 | 1,466.67 | 1465027771 |
80 |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유효성 평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5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신약개발지원 | 100000000 | 100 | 1465017969 |
81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37500000 | 37.5 | 1345264504 |
82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주)셀리드 | 2018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200000000 | 1,200 | 1465026120 |
83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주)셀리드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신약개발 지원 | 1393000000 | 1,393 | 1465030886 |
84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인제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12500000 | 12.5 | 1345313796 |
85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서울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50271000 | 50.27 | 1345270665 |
86 | 면역관문 단백질 발현 세균을 이용한 이중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4600000 | 54.6 | 2340000405 |
87 | 시공간 제어 면역조절을 통한 mRNA 항암 백신 기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2543000 | 192.54 | 1711192361 |
88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를 위한 Th1-분극화된 면역반응이 극대화된 핵산 오리가미 기반의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2) | 88129000 | 88.13 | 1711199549 |
89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전남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5370000 | 85.37 | 2710013301 |
90 | 최적의 CpG 패턴과 신생항원을 포함한 DNA 나노구조체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07129 |
91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전남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855000 | 94.86 | 1711180499 |
92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18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123000000 | 123 | 1465025339 |
93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23851 |
94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전남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855000 | 94.86 | 1711156249 |
95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55541000 | 355.54 | 2710000106 |
96 | 시공간 제어 면역조절을 통한 mRNA 항암 백신 기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3289000 | 173.29 | 2710015061 |
97 |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연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40000000 | 40 | 2710007899 |
98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108200000 | 108.2 | 1711052088 |
99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50000000 | 50 | 1345315200 |
100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51480000 | 51.48 | 1345271238 |
101 | Disialyl Neu5Ac 2-3Galβ1-3[Neu5Ac 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480000 | 51.48 | 1345240900 |
102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9008000 | 179.01 | 1711180354 |
103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인제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50000000 | 50 | 1711086778 |
104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19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84750000 | 84.75 | 1465027918 |
105 | 수지상세포 친화성 및 자극을 갖는 비-지질 암백신 나노전달체 개발 | 한양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외연수트랙) | 73500000 | 73.5 | 2710019054 |
106 | 경구 항암 백신의 장간막림프절 타겟팅과 면역항암 반응 연구 | 목포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44094000 | 44.09 | 1711200000 |
107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서울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271000 | 50.27 | 1345255540 |
108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36150000 | 136.15 | 1711186018 |
109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25000000 | 25 | 1345289040 |
110 | 자궁경부암 백신 정제항원의 VLP함량시험법 개발 연구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등안전관리 | 감염병 예방 안전관리 | 150000000 | 150 | 1475008438 |
111 | 융합유전자 유래 종양의 종양미세환경 디지털 분석을 통한 초정밀 개인 맞춤 신항원 기반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 178662000 | 178.66 | 2710004904 |
112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53000 | 10.75 | 1345299054 |
113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펜타메딕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00000000 | 400 | 2710000444 |
114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36150000 | 136.15 | 1711170391 |
115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98900000 | 98.9 | 1711074611 |
116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1641000 | 201.64 | 1711127634 |
117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56374000 | 156.37 | 1711164574 |
118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50310 |
119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41667000 | 41.67 | 1345299344 |
120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40981 |
121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프로지니어(주)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00000000 | 400 | 2710000463 |
122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000000 | 75 | 1345322476 |
123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펜타메딕스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78150000 | 478.15 | 1711176426 |
124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25000000 | 25 | 1345366036 |
125 | 면역 초분자활성클러스터 유래 면역시냅토좀을 이용한 면역 항암 백신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 263000000 | 263 | 2710006412 |
126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108200000 | 108.2 | 1711036813 |
127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22535000 | 122.53 | 2710009493 |
128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45000000 | 45 | 1345356342 |
129 | 면역종양치료를 위한 세포외소포체 기반 생체모방 나노항암백신 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05602 |
130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인제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50000000 | 50 | 1711066702 |
131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6335000 | 96.33 | 1711133581 |
132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20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100000000 | 100 | 1465032066 |
133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40350000 | 40.35 | 1345285592 |
134 |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도입 효능평가 를 위한 HPV 항체 진단제 개발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17 | 보건복지부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200000000 | 200 | 1465023466 |
135 |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도입 효능평가를 위한 HPV항체 진단제 개발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2016 | 보건복지부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21612 |
136 | 경구 항암 백신의 장간막림프절 타겟팅과 면역항암 반응 연구 | 목포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1) | 82133000 | 82.13 | 2710003137 |
137 | 무항원 (in situ) 항암백신 개발을 위한 폴리사카라이드 만난 기반 나노 면역 조절제 | 인하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878000 | 57.88 | 1711171533 |
138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480000 | 51.48 | 1345255277 |
139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75000000 | 75 | 1345323273 |
140 | 최적의 CpG 패턴과 신생항원을 포함한 DNA 나노구조체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48443 |
141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98900000 | 98.9 | 1711108253 |
142 | 미세막상 구조물을 이용한 비세포 항암 백신 | 충남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1051000 | 51.05 | 1345240053 |
143 | 규조류 유래 친환경 바이오 실리카의 암 백신 최적화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30000000 | 30 | 2340012953 |
144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 194000000 | 194 | 1711176436 |
145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0753000 | 10.75 | 1345279603 |
146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리서치펠로우 | 48422000 | 48.42 | 1345251963 |
147 | Jammed microgel을 이용한 모듈화된 항암 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연구인력교류(R&D) | (유형1)해외인재유치형 | 10965550 | 10.97 | 1711097277 |
148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경상대학교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80000000 | 80 | 1395054903 |
149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52507 |
150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경상대학교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80000000 | 80 | 1395059643 |
151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인제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자유공모 | 50000000 | 50 | 1711051087 |
152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성균관대학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33333000 | 33.33 | 1345342743 |
153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펜타메딕스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65187000 | 265.19 | 1711179470 |
154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전남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45439 |
155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15130000 | 315.13 | 1711194098 |
156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2017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연구운영비지원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95000000 | 95 | 1465023009 |
157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화순전남대학병원 | 2021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 100000000 | 100 | 1465035021 |
158 | 유효 신생항원 표적 개인맞춤형 항암 백신 개발 | (주)펜타메딕스 | 2019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R&D역량제고(R&D) | 2019년도 R&D기획지원사업(2차)_전략과제 | 34000000 | 34 | 1425137609 |
159 | 면역관문 단백질 발현 세균을 이용한 이중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2500000 | 52.5 | 1345368481 |
160 | 박테리아 원형질체 유래 나노소포체를 이용한 패혈증 및 암백신 개발과 면역학적 기작 연구 | 포항공과대학교 | 2015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 | 미래기초과학사업핵심리더양성 | 23604000 | 23.6 | 1345233031 |
161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경상대학교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 | 80000000 | 80 | 1395063031 |
162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핵심연구지원 | 102000000 | 102 | 1711025359 |
163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25000000 | 25 | 1345362419 |
164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학문후속세대양성 | 40350000 | 40.35 | 1345268551 |
165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15000000 | 15 | 1345266721 |
166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을지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00000000 | 100 | 1345344715 |
167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서울대학교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271000 | 50.27 | 1345240742 |
168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98900000 | 98.9 | 1711085252 |
169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프로지니어(주)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65187000 | 265.19 | 1711179471 |
170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중앙대학교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리서치펠로우 | 16144000 | 16.14 | 1345303822 |
171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프로지니어(주)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78150000 | 478.15 | 1711176411 |
172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36150000 | 136.15 | 1711127782 |
173 | 자궁경부암 백신 정제항원의 VLP함량시험법 개발 연구(1)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2016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등안전관리 | 감염병 예방 안전관리 | 100000000 | 100 | 1475009351 |
174 | DNA 오리가미 기술과 항원포획을 통한 개인맞춤형 In Situ 암 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글로벌융합연구지원 | 50000000 | 50 | 2710006531 |
175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6335000 | 96.33 | 1711156939 |
176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가톨릭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96335000 | 96.33 | 1711187129 |
177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를 위한 Th1-분극화된 면역반응이 극대화된 핵산 오리가미 기반의 암백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2) | 161958000 | 161.96 | 2710003011 |
178 |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를 위한 개인맞춤형 원형 mRNA 항암백신 선도물질 개발 | 펜타메딕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 사업 | 475000000 | 475 | 2710018673 |
179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00000000 | 100 | 1345330985 |
180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000000 | 50 | 1345347795 |
181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3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100000000 | 100 | 1465040124 |
182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2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150000000 | 150 | 1465036874 |
183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00000 | 37.5 | 1345320336 |
184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 2023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200000000 | 200 | 1465039692 |
185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 75000000 | 75 | 1465037631 |
186 | 항암백신 개발을 위한 암항원 발굴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의공학연구사업 | 605700000 | 605.7 | 1711102241 |
187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00000 | 12.5 | 1345363213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출처 : 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출처 : 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인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187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백만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9991008466 | 3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엔에이백신연구소 | 0건 | 0건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원예채소기반 항원 융합백신단백질 거대분자 구조개선 및 발현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립선 암 예방 및 치료 효과 극대화 기술개발 | 1711030686 | 99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미래유망, 사회이슈)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9991008823 | 247.18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식회사 엔에이백신연구소 | 0건 | 0건 | |||
2018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화연계기술개발(R&D) | 난치성암 치료용 B세포 및 단구 기반 면역치료백신 CeliVax의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및 임상개발 | 1415159562 | 1,173.33 | 기타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유전자치료제 | 의약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원예채소기반 항원 융합백신단백질 거대분자 구조개선 및 발현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립선 암 예방 및 치료 효과 극대화 기술개발 | 1711043234 | 99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미래유망, 사회이슈) | 0건 | 0건 |
2017 |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난치성암 치료용 B세포 및 단구 기반 면역치료백신 CeliVax의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및 임상개발 | 1415154029 | 923.79 | 기타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유전자치료제 | 의약바이오 | 바이오·의료 | 0건 | 0건 |
2021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과 폐암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백신 개발 | 9991007750 | 6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엔에이백신연구소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인공지능 기반 방광암 조직과 매칭된 소변 내 circulating tumor DNA를 이용한 진단 및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 2710004444 | 287.39 | 개발연구 | 대학 | 충북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보건복지부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 | HPV 연관 두경부암 예방을 위한 구강 점막 마이크로니들 백신 패치 개발 | 1465036529 | 221.36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쿼드메디슨 | 의약품 | 제조기술 | 제형개발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극성화 조절 CAR-T 세포와 이중 항원 제시 백신의 병용 요법을 통한 고효능 면역 항암치료 전략 개발 연구 | 2340010334 | 6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7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1545014964 | 85.1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플럼라인생명과학 | 수의 | 수의과학 | 수의임상 | 0건 | 0건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1545017126 | 109 | 응용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의 | 수의과학 | 수의임상 | 0건 | 0건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1545016583 | 136.9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플럼라인생명과학 | 수의 | 수의과학 | 수의임상 | 0건 | 0건 |
2017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플라스미드 DNA 백신 기술을 이용한 반려견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 1545015160 | 51 | 응용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의 | 수의과학 | 수의임상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1711105423 | 853.33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1711075617 | 773.33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1711043714 | 933.33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면역세포 선택적인 IL-4 신호전달을 통한 항암 치료 항체 및 백신 보조제 개발 | 1345286958 | 45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1711074895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1711115047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방암세포 유래 엑소좀과 수지상세포 백신 생체추적 연구 | 1711086234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종양 반응성 T세포와 신생항원의 결합 예측을 통한 고형암 치료용 개인맞춤 mRNA 백신 선도물질 도출 | 2710003335 | 366.07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지니너스 주식회사 | 0건 | 0건 |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1345350863 | 7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종양 반응성 T세포와 신생항원의 결합 예측을 통한 고형암 치료용 개인맞춤 mRNA 백신 선도물질 도출 | 1711200991 | 133.33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지니너스 주식회사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1345364736 | 17.5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국내 암환자와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과 장기 면역반응 분석 | 1345333440 | 52.5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1711093246 | 734.67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1711129867 | 552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신규 융합형 암항원의 개발과 항원제시세포 기반 면역치료백신에의 적용 | 1711058269 | 773.33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차세대신약기반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마우스 모델에서 항암면역 유도능이 강화된 차세대 암치료용 동종이형 수지상세포(DC) 백신 개발 연구 | 2710004879 | 240.13 | 응용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0건 | 0건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1711025512 | 102 | 기초연구 | 대학 | 충북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난치성암 치료용 면역세포 백신 개발을 위한 종양 면역학적 연구 | 1345238036 | 40.17 | 기초연구 | 중소기업 | 파미셀 주식회사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1711051958 | 102 | 기초연구 | 대학 | 충북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TM4SF5를 표적으로 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백신의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 1711036084 | 102 | 기초연구 | 대학 | 충북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난치성암 치료용 면역세포 백신 개발을 위한 종양 면역학적 연구 | 1345247141 | 40.17 | 기초연구 | 대학 | 파미셀 주식회사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주요사업비) |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진행하는 생쥐 모델에서 백신을 이용한 간암예방 효과 연구 | 1465038316 | 12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국립암센터 | 0건 | 0건 | |||
2023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진행하는 생쥐 모델에서 백신을 이용한 간암예방 효과 연구 | 1465041343 | 12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국립암센터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백금계 내성 난소암에서 HIF1α/c-MET 종양 백신 기반 면역항암치료법 개발 및 기전 규명 | 2710004138 | 241.97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1711146743 | 2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1711110052 | 2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1345260062 | 10.77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1345250112 | 12.5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장간막림프절 전달형 항암 나노 백신의 설계 및 검증 | 1711136704 | 47.86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7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1395049752 | 6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기타물질.소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1711191504 | 2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재활용확산지원 | 세포외 소포체 기반 암 치료용 백신 기술 개발 | 2710003576 | 82.4 | 응용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경구형 항암 나노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및 항암 작용 기전 연구 | 1345363077 | 1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2710013761 | 18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대장암 예방 백신의 단백질 구조 및 당구조 개선을 위한 식물유전자 발현시스템 개발 | 1345279493 | 10.79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16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1395045017 | 6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기타물질.소재 | 0건 | 0건 |
2015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식물유래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대장암 예방 융합백신단백질 구축 시스템 개발 | 1395041603 | 6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기타물질.소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암/정소항원 표적 식물유래 방광암 면역치료 백신 개발 | 1711160937 | 2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경구형 항암 나노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및 항암 작용 기전 연구 | 1345354411 | 75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췌장암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 기반 hTERT/hFAP 펩타이드 결합 항암 면역 백신 후보물질 개발 | 2420003335 | 80.18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포스백스 | 0건 | 0건 |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1395059728 | 70 | 응용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1711174652 | 68.96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2710016670 | 129.89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T세포내 아미노산에 의한 새로운 신호전달 규명 및 아미노산 기반 항암면역백신 개발 | 2710006550 | 262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0건 | 0건 | |||
2018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1425126141 | 93.69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백신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인문사회기초연구 |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와 수용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1345246715 | 12.9 | 기초연구 | 대학 | 국민대학교 | 학술·인문사회사업 |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1345253091 | 5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연구운영비지원 | B 세포를 활용한 항암 면역치료백신의 유효성 시험 및 제조 기술 개발 | 1465018069 | 16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의료기술 | 보건학 | 기타 보건학 관련기술 | 0건 | 0건 |
2024 | 보건복지부 |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 | 한국 HPV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의 확대 접종의 유효성 검증 | 2460001291 | 75 | 응용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1345285630 | 41.67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1395063530 | 9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1345301962 | 16.67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1395054954 | 70 | 응용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고효율 면역유도 대장암 융합백신단백질의 식물생산시스템 검정 및 최적화 | 1395063324 | 70 | 응용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16 | 중소기업청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1425101947 | 249.69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백신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세포면결합형 사이토카인을 발현하는 암세포 백신에 의한 기억 CTL의 유도 | 1345268744 | 41.67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유방암미세환경 내 TSG-6의 기전 규명 및 유전자 편집 암세포백신의 효용성 연구 | 1345367852 | 52.5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1395054933 | 9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17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자궁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C의 임상 1상 개발 | 1425109661 | 499.69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백신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새로운 B세포 기반 암치료백신 플랫폼 구축 및 치료효능의 최적화 | 1711181540 | 144.32 | 기초연구 | 대학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배추식물체를 이용한 항암 융합백신단백질 고효율 생산시스템 구축 | 1395059670 | 90 | 응용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원료생산 및 비임상독성평가 | 1465018003 | 567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안전성시험 기술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1345298115 | 50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1345279017 | 50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9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1465027771 | 1,466.67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기타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관련기술 | 0건 | 0건 |
2015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 |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유효성 평가 | 1465017969 | 100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면역학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1345264504 | 37.5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1465026120 | 1,2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기타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관련기술 | 0건 | 0건 |
2020 | 보건복지부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임상 2상) 항원제시세포를 기반으로 한 자궁경부암 항암면역치료백신의 임상 2상 개발 | 1465030886 | 1,393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셀리드 | 의약품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기타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관련기술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광열치료 기반의 신개념 암치료백신 및 항암 광열치료 효과 개선 연구 | 1345313796 | 12.5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3년)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1345270665 | 50.27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면역관문 단백질 발현 세균을 이용한 이중표적 암백신 개발 | 2340000405 | 54.6 | 기초연구 | 대학 | 을지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시공간 제어 면역조절을 통한 mRNA 항암 백신 기술 개발 | 1711192361 | 192.54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를 위한 Th1-분극화된 면역반응이 극대화된 핵산 오리가미 기반의 암백신 개발 | 1711199549 | 88.13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2710013301 | 85.37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최적의 CpG 패턴과 신생항원을 포함한 DNA 나노구조체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 | 1711107129 | 15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1711180499 | 94.86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8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1465025339 | 123 | 기초연구 | 대학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면역학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1345323851 | 45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신개념의 신항원을 이용한 항암백신치료법 개발 | 1711156249 | 94.86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2710000106 | 355.54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시공간 제어 면역조절을 통한 mRNA 항암 백신 기술 개발 | 2710015061 | 173.29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연구 | 2710007899 | 4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1711052088 | 108.2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1345315200 | 5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1345271238 | 51.48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Disialyl Neu5Ac 2-3Galβ1-3[Neu5Ac 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1345240900 | 51.48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1711180354 | 179.01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1711086778 | 50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0건 | 0건 |
2019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1465027918 | 84.75 | 기초연구 | 대학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면역학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수지상세포 친화성 및 자극을 갖는 비-지질 암백신 나노전달체 개발 | 2710019054 | 73.5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경구 항암 백신의 장간막림프절 타겟팅과 면역항암 반응 연구 | 1711200000 | 44.09 | 기초연구 | 대학 | 목포대학교 | 0건 | 0건 |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1345255540 | 50.27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86018 | 136.15 | 기초연구 | 기타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1345289040 | 25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등안전관리 | 자궁경부암 백신 정제항원의 VLP함량시험법 개발 연구 | 1475008438 | 150 | 개발연구 | 국공립연구소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융합유전자 유래 종양의 종양미세환경 디지털 분석을 통한 초정밀 개인 맞춤 신항원 기반 암백신 개발 | 2710004904 | 178.66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0건 | 0건 | |||
2019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1345299054 | 10.75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2710000444 | 4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펜타메딕스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70391 | 136.15 | 기초연구 | 기타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1711074611 | 98.9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1711127634 | 201.64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광감응 초분자 면역스위칭 기반 나노복합체 항암백신 개발 | 1711164574 | 156.37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1345350310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을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1345299344 | 41.67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1345340981 | 45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2710000463 | 4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프로지니어(주)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1345322476 | 75 | 기초연구 | 대학 | 을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1711176426 | 478.15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펜타메딕스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1345366036 | 25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면역 초분자활성클러스터 유래 면역시냅토좀을 이용한 면역 항암 백신 개발 | 2710006412 | 263 | 기초연구 | 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1711036813 | 108.2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2710009493 | 122.53 | 기초연구 | 기타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환자 맞춤형 DNA 오리가미 기반의 신생항원 암백신 개발 | 1345356342 | 45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면역종양치료를 위한 세포외소포체 기반 생체모방 나노항암백신 개발 | 1345305602 | 45 | 기타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1711066702 | 50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1711133581 | 96.33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0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1465032066 | 100 | 기초연구 | 대학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의료기술 | 기초 및 임상의학 | 면역학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1345285592 | 40.35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7 | 보건복지부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도입 효능평가 를 위한 HPV 항체 진단제 개발 | 1465023466 | 2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6 | 보건복지부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도입 효능평가를 위한 HPV항체 진단제 개발 | 1465021612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경구 항암 백신의 장간막림프절 타겟팅과 면역항암 반응 연구 | 2710003137 | 82.13 | 기초연구 | 대학 | 목포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무항원 (in situ) 항암백신 개발을 위한 폴리사카라이드 만난 기반 나노 면역 조절제 | 1711171533 | 57.88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Disialyl Neu5Ac?2-3Galβ1-3[Neu5Ac?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 | 1345255277 | 51.48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1345323273 | 75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최적의 CpG 패턴과 신생항원을 포함한 DNA 나노구조체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 백신 개발 | 1711148443 | 15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1711108253 | 98.9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미세막상 구조물을 이용한 비세포 항암 백신 | 1345240053 | 51.05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SGER)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규조류 유래 친환경 바이오 실리카의 암 백신 최적화 연구 | 2340012953 | 3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1711176436 | 194 | 개발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R&D)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1345279603 | 10.75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1345251963 | 48.42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연구인력교류(R&D) | Jammed microgel을 이용한 모듈화된 항암 백신 개발 | 1711097277 | 10.97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국제연구인력교류사업 | 해외우수신진연구자 유치사업(KRF) | (유형1)해외인재유치형 | 0건 | 0건 |
2018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1395054903 | 80 | 응용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1345352507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1395059643 | 80 | 응용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종양모사 바이오로직스를 이용한 암백신 개발 | 1711051087 | 50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총연구비5천이상~1.5억이하)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Disialyl Neu5Acɑ2-3Galβ1-3[Neu5Acɑ2-6]GalNAc-R의 암항원, 암진단 및 암백신 당사슬화합물 개발을 위한 융합과학연구-후속연구 | 1345342743 | 33.33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불응성 극복을 위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 1711179470 | 265.19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펜타메딕스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악성신경교종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 강화 기전 연구 | 1345345439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급성골수성백혈병 자가항암백신 개발 | 1711194098 | 315.13 | 응용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7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연구운영비지원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1465023009 | 95 | 기초연구 | 대학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1 | 보건복지부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플라젤린 기반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 악성신경교종 치료 연구 | 1465035021 | 100 | 기초연구 | 대학 | 화순전남대학병원 | 0건 | 0건 | |||
2019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R&D역량제고(R&D) | 유효 신생항원 표적 개인맞춤형 항암 백신 개발 | 1425137609 | 34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펜타메딕스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백신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면역관문 단백질 발현 세균을 이용한 이중표적 암백신 개발 | 1345368481 | 52.5 | 기초연구 | 대학 | 을지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5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 | 박테리아 원형질체 유래 나노소포체를 이용한 패혈증 및 암백신 개발과 면역학적 기작 연구 | 1345233031 | 23.6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교육인력양성사업 | 미래기초과학사업핵심리더양성사업 | 미래기초과학사업핵심리더양성사업 | 0건 | 0건 |
2020 | 농촌진흥청 |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 Glycoengineering 기반 항암 백신 후보물질 식물 생산 원천기술 개발 | 1395063031 | 80 | 응용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물질ㆍ소재 | 약리성소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체내 암세포 유도를 통해 실시간 암특이항원의 생성이 가능한 3차원 스캐폴드 기반 All-in-One 암백신 개발 | 1711025359 | 102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1345362419 | 25 | 기초연구 | 대학 | 을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1345268551 | 40.35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0.5) |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 (MDSC) 억제를 통한 DNA 암 백신의 효능 증진 연구 | 1345266721 | 15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교육인력양성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세균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면역관문 표적 암백신 개발 | 1345344715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을지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5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IL-12 유도성 새로운 면역활성제로서 원충 유래 프로필린의 면역 증강 및 자가암 백신 효과 규명 | 1345240742 | 50.27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연구 | 1711085252 | 98.9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1711179471 | 265.19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프로지니어(주) | 0건 | 0건 |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거대분자구조 형성을 유도한 항암백신 후보 단백질 식물세포 발현 원천기술연구 | 1345303822 | 16.14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리서치펠로우 | 0건 | 0건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개인 맞춤형 림프종 항암 백신의 비임상 단계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 1711176411 | 478.15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프로지니어(주)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27782 | 136.15 | 기초연구 | 기타 |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16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등안전관리 | 자궁경부암 백신 정제항원의 VLP함량시험법 개발 연구(1) | 1475009351 | 100 | 개발연구 | 국공립연구소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03.생물의약품 | 0301.생물학적제제 | 030108.약물약력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STEAM연구 | DNA 오리가미 기술과 항원포획을 통한 개인맞춤형 In Situ 암 백신 개발 | 2710006531 | 5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1711156939 | 96.33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항원/항암약물 함유 스마트 엑소좀 칵테일의 항암 백신 후속 연구 | 1711187129 | 96.33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후속연구 |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를 위한 Th1-분극화된 면역반응이 극대화된 핵산 오리가미 기반의 암백신 개발 | 2710003011 | 161.96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를 위한 개인맞춤형 원형 mRNA 항암백신 선도물질 개발 | 2710018673 | 475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펜타메딕스 | 0건 | 0건 |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1345330985 | 1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1345347795 | 5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1465040124 | 100 | 기타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2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1465036874 | 150 | 기타 | 대학 | 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1345320336 | 37.5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3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1465039692 | 200 | 개발연구 | 병원 | 서울대학교병원 | 0건 | 0건 | |||
2022 | 보건복지부 |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적용가능한 나노항암백신기술의 개발 | 1465037631 | 75 | 기타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항암백신 개발을 위한 암항원 발굴 | 1711102241 | 605.7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전이성 점막암 치료를 위한 삼중 면역 동시 유도가 가능한 점막 표적화 나노 항암 백신 개발 | 1345363213 | 12.5 | 개발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상세정보:
출원번호 | 출원일자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상세정보:
출원번호 | 출원일자 | 문헌번호 | 출원인명 | 발명자명 | 대리인명 | IPC코드 | 공고번호 | 공보번호 | 등록번호 | 우선권주장번호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