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Plant microbiome engineering
-
기술 정의
식물 공생 미생물체, 병원성 미생물체 분석으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조절을 통해 작물 성장을 돕거나 멸종위기 보호종을 보전하는 기술
-
기술장점
우수한 성장성 및 병충해에 강한 식물 자원을 생산, 유지하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생명현상 연구뿐만 아니라 품종개량 등에 활용
-
실현 시기
향후 5년 : 식물 성장에 효율적인 식물 마이크로 바이옴 엔지니어링 기술이 확립되어 식물 성장에 도움을 주는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소재 개발
향후 10년 : 해당 기술의 고도화로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생산성 감소를 예방하고 환경변화로 인한 멸종위기 보호종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로 이용
-
요소 기술
1) 식물 성장과 관련된 식물 홀로바이옴 분석기술 - 식물 홀로바이옴은 숙주-미생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환경을 의미하며, 식물 성장과정에 따른 식물과 미생물의 네트워크 분석 기술 - 16s rRNA sequencing과 shoutgun sequencing과 같은 유전자 분석 기술에 단백질 및 대사물질을 분석하는 기술을 접목하여 식물-미생물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는 대량의 데이터 확보 - 식물 홀로바이옴 기반으로 식물 성장 및 병충해에 강한 식물을 개발 및 유지하는데 있어 유효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미생물, 고분자, 그리고 대사물질 발굴 기술 2) Bottom up 방식을 이용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기술 - 식물 성장에 도움을 주는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의 발굴 및 개발 - 합성생물학 기반의 식물 성장 조절 인자를 생산하는 미생물 제작 기술 - 식물 성장에 도움을 주는 박테리아 종을 선정하여 식물 성장 조절 인자를 미생물 내로 도입하는 Bottom up 방식의 식물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 Phage integrase system, ICE(Integrative and conjugative element) system, CRAGE(Chassis-independent recombinase-assited genome engineering) system 등 3) Top down 방식을 이용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기술 - 식물 성장환경에 직접 식물 성장 조절인자를 노출시켜 식물 주변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군집에서 관련 인자의 생성을 유도하는 Top down 방식의 식물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 Mini-ICEbs1 system과 MAGIC(The metabolomics alteration of gut microbiome in situ conjugation) system 등
-
주요 이슈
유전자 분석 및 대사물질 분석 기술의 진보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의 면밀한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의 연구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차원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및 활용 가능
-
해외 기술개발동향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의 야스오 요시쿠니(Yasuo Yoshikuni) 박사팀에 의해 Biosynthetic gene cluster(BCG)를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박테리아에 도입할 수 있는 CRAGE 기술을 개발(Nat Microbiol., 2019 Dec;4(12):2498-2510.) - 복잡한 BCG construct를 효율적으로 미생물에 도입할 수 있는 기술로, 미생물의 2차 대사물질 메커니즘을 확인할 있는 유전공학적 기술 - 기존의 Cre recombinase/loxP site를 활용한 기술로 유전자를 도입할 수 있는 박테리아의 종류가 증가 콜롬비아대의 해리스 왕(Harris H. Wang) 교수팀에 의해 metablomics alteration of gut microbiome in situ conjugation(MAGIC) 기술이 발달되어 숙주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표적으로 엔지니어링 하는 기술 개발 - MAGIC 기술은 인간 장 홀로바이옴 표적으로 기술이 개발 - MAGIC 기술은 높은 특이성과 효율을 보이는 방법으로 미생물 집단 전체를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는 장점 보유
-
국내 기술개발동향
중앙대학교 이상준 교수팀에서 CRISPR/CAS9유전자가위를 이용한 미생물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Genome Res. 2020 May; 30(5): 768–775.) - 미생물 유전체 편집 기술에서 단일염기 수준으로 미생물의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는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 미생물 유전체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성장 속도와 대사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가능하며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작물의 성장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친환경 바이오 비료 소재로 작물 성장에 필요한 성분을 생산할 수 있는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은 환경의 오염을 줄이면서 작물의 생산력을 높일 것으로 전망스마트팜 시장의 성장과 함께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의 시장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사회적 기대효과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작물의 생산성 향상 및 품종 개량은 친환경적인 농업 및 축산업을 가능하게 하여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필요 사항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국내 기술경쟁력 확보 및 고도화 기술개발 필요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개발에 대한 가이드라인 필요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홀로바이옴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기술에 의해 개발된 미생물이 실제 환경 내 안착(colonization)에 관한 분석 데이터 확보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513.77 | 3건 |
2023년 | 786.56 | 4건 |
2022년 | 857.22 | 5건 |
2021년 | 741.12 | 5건 |
2020년 | 499.7 | 4건 |
2019년 | 573.71 | 4건 |
2018년 | 506.7 | 4건 |
2017년 | 343.31 | 2건 |
2016년 | 353.53 | 2건 |
2015년 | 391.4 | 2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8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120 | 1395054433 |
2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 | 1711114708 |
3 | 메타오믹스 정보 기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 기전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29.38 | 2710000688 |
4 | 작물 특이적 마이크로바이옴 정보 기반 생육촉진 병해방제 다기능성 복합미생물제 개발 및 실용화 | 마이크로자임 | 2024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마이크로바이옴혁신기술기반구축 | 성과 연계 마이크로바이옴 산업화 지원 | 255 | 2540000248 |
5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82.7 | 1545017461 |
6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연계 신진후속 | 143.76 | 1711155151 |
7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연계 신진후속 | 143.76 | 1711190295 |
8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5 | 농촌진흥청 | 국책기술개발 | 우장춘프로젝트 | 311.4 | 1395042758 |
9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50 | 1545019488 |
10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110 | 1395059097 |
11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50 | 1711142034 |
12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연계 신진후속 | 129.38 | 2710011618 |
13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6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203.53 | 1395045294 |
14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6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150 | 1395045958 |
15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300 | 1711170574 |
16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00 | 1545017538 |
17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50 | 1545021381 |
18 | 희귀·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R&D) | 소재발굴 및 효능규명 | 91 | 1405004239 |
19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 | 1545019651 |
20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5 | 농촌진흥청 | 국책기술개발 | 우장춘프로젝트 | 80 | 1395043151 |
21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3.46 | 1711165372 |
22 | 메타오믹스 정보 기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 기전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43.76 | 1711194163 |
23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205.01 | 1395059073 |
24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7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203.31 | 1395050997 |
25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24.62 | 1711129323 |
26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200 | 1711141116 |
27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50 | 1545024232 |
28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7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140 | 1395051282 |
29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9.04 | 1711182335 |
30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 | 1545020825 |
31 | 희귀 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전북대학 | 2021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R&D) | 소재발굴 및 효능규명 | 116.5 | 1405004749 |
32 | 희귀 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 | 소재발굴 및 효능규명 | 140 | 1405005424 |
33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300 | 1711186681 |
34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8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204 | 1395054421 |
35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00 | 1711162419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4.11 | 92건 |
2023년 | 25.58 | 101건 |
2022년 | 23.56 | 92건 |
2021년 | 19.04 | 96건 |
2020년 | 13.11 | 86건 |
2019년 | 9.89 | 68건 |
2018년 | 10.0 | 42건 |
2017년 | 7.04 | 27건 |
2016년 | 5.26 | 18건 |
2015년 | 3.06 | 13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5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8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120000000 | 120 | 1395054433 |
2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150000000 | 150 | 1711114708 |
3 | 메타오믹스 정보 기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 기전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29384000 | 129.38 | 2710000688 |
4 | 작물 특이적 마이크로바이옴 정보 기반 생육촉진 병해방제 다기능성 복합미생물제 개발 및 실용화 | 마이크로자임 | 2024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마이크로바이옴혁신기술기반구축 | 성과 연계 마이크로바이옴 산업화 지원 | 255000000 | 255 | 2540000248 |
5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82700000 | 82.7 | 1545017461 |
6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연계 신진후속 | 143759000 | 143.76 | 1711155151 |
7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연계 신진후속 | 143759000 | 143.76 | 1711190295 |
8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5 | 농촌진흥청 | 국책기술개발 | 우장춘프로젝트 | 311400000 | 311.4 | 1395042758 |
9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50000000 | 150 | 1545019488 |
10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110000000 | 110 | 1395059097 |
11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50000000 | 50 | 1711142034 |
12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견연계 신진후속 | 129384000 | 129.38 | 2710011618 |
13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6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203530000 | 203.53 | 1395045294 |
14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6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150000000 | 150 | 1395045958 |
15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서울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300000000 | 300 | 1711170574 |
16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00000000 | 100 | 1545017538 |
17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50000000 | 150 | 1545021381 |
18 | 희귀·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0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R&D) | 소재발굴 및 효능규명 | 91000000 | 91 | 1405004239 |
19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00000 | 108.7 | 1545019651 |
20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5 | 농촌진흥청 | 국책기술개발 | 우장춘프로젝트 | 80000000 | 80 | 1395043151 |
21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73464000 | 173.46 | 1711165372 |
22 | 메타오믹스 정보 기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 기전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143759000 | 143.76 | 1711194163 |
23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205010000 | 205.01 | 1395059073 |
24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7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203310000 | 203.31 | 1395050997 |
25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24619000 | 224.62 | 1711129323 |
26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서울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200000000 | 200 | 1711141116 |
27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1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부처연계 | 150000000 | 150 | 1545024232 |
28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경상대학교 | 2017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우장춘프로젝트 | 140000000 | 140 | 1395051282 |
29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99042000 | 199.04 | 1711182335 |
30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환경부하저감자재 | 108700000 | 108.7 | 1545020825 |
31 | 희귀 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전북대학 | 2021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R&D) | 소재발굴 및 효능규명 | 116500000 | 116.5 | 1405004749 |
32 | 희귀 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2022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 | 소재발굴 및 효능규명 | 140000000 | 140 | 1405005424 |
33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서울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300000000 | 300 | 1711186681 |
34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국립농업과학원 | 2018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우장춘프로젝트 | 204000000 | 204 | 1395054421 |
35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신진연구 | 100000000 | 100 | 1711162419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5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18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1395054433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유전체 | 기타유전체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711114708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메타오믹스 정보 기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 기전 연구 | 2710000688 | 129384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4 | 농림축산식품부 | 농생명마이크로바이옴혁신기술기반구축 | 작물 특이적 마이크로바이옴 정보 기반 생육촉진 병해방제 다기능성 복합미생물제 개발 및 실용화 | 2540000248 | 255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마이크로자임 | 0건 | 0건 |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1545017461 | 827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생물농약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1711155151 | 14375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계 신진후속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1711190295 | 14375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계 신진후속 | 0건 | 0건 |
2015 | 농촌진흥청 | 국책기술개발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1395042758 | 3114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토양 | 0건 | 0건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1545019488 | 1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식물미생물 분류ㆍ동정ㆍ생태 | 0건 | 0건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1395059097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유전체 | 기타유전체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711142034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저등급 석탄 유래 휴믹 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 뿌리 내생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 2710011618 | 129384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계 신진후속 | 0건 | 0건 |
2016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1395045294 | 20353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토양 | 0건 | 0건 |
2016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1395045958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유전체 | 기타유전체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1711170574 | 3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0건 | 0건 |
2018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1545017538 | 1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식물미생물 분류ㆍ동정ㆍ생태 | 0건 | 0건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1545021381 | 1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식물미생물 분류ㆍ동정ㆍ생태 | 0건 | 0건 |
2020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R&D) | 희귀·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1405004239 | 91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9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1545019651 | 1087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생물농약 | 0건 | 0건 |
2015 | 농촌진흥청 | 국책기술개발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1395043151 | 8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유전체 | 기타유전체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1711165372 | 173464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메타오믹스 정보 기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 기전 연구 | 1711194163 | 14375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9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1395059073 | 20501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토양 | 0건 | 0건 |
2017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1395050997 | 20331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토양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1711129323 | 224619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1711141116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원천기술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0건 | 0건 |
2021 | 농림축산식품부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를 통한 작물생산성 증대 기술 개발 | 1545024232 | 15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식물미생물 분류ㆍ동정ㆍ생태 | 0건 | 0건 |
2017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 | 작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기작 구명을 위한 기능성 홀로지놈 연구 | 1395051282 | 1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대학교 | 생명공학 | 유전체 | 기타유전체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온난화 대응 아열대작물 Polyscias fruticosa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대장염증-간보호-마이크로바이옴-메타보노믹스 축 조절기전 연구 | 1711182335 | 199042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농림축산식품부 | 농축산자재산업화기술개발(R&D) | 배양공정개량에 의한 마이크로바이옴 분리한 균주와 식물추출물 혼합에 의한 토양병해와 점박이응 | 1545020825 | 108700000 | 개발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림식품 환경생태 | 농림생물 | 생물농약 | 0건 | 0건 |
2021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R&D) | 희귀 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1405004749 | 116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전북대학 | 0건 | 0건 | |||
2022 | 산림청 | 산림생명자원소재발굴연구 | 희귀 특산식물의 근권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분석 및 식물연관 기능 검정 | 1405005424 | 1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 1711186681 | 3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조성 | 0건 | 0건 |
2018 | 농촌진흥청 | 농업첨단핵심기술개발사업(R&D) | 작물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구명 및 유용 기능 이용 연구 | 1395054421 | 204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국립농업과학원 | 미생물 | 환경미생물 | 토양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페나진 생성 근권 세균 Pseudomonas chlororpahis가 주요 작물의 가뭄 저항성 증가와 근권 microbiom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711162419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