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노화 항체치료제Antiaging antibodies
-
기술 정의
노화 과정에서 증가하며 혈관을 통해 전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세포와 인자를 표적으로 제어하는 항체 기반 치료제
-
기술장점
전신 노화의 주요 원인인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와 염증 인자를 정밀하게 표적하여 전신 염증을 완화하고, 면역 체계를 재활성화 함으로써 지속적인 항노화 효과를 제공
-
실현 시기
향후 5년 : 만성염증 질환 대상으로 항노화 항체치료제의 안정성과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초기 임상시험 진행, 표적 다각화 및 치료 대상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진단 기술 개발
향후 10년 : 노화 치료를 목표로 항노화 항체치료제를 투여하는 임상시험 진행, 중장년층 대상 예방적 처치를 통한 노화 치료 효능 극대화
-
요소 기술
■ 항노화 항체치료제 정밀 표적 발굴 기술
- 고해상도 단일세포 지도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에서 시스테믹 노화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세포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이적인 표면 마커를 발굴하는 기술
- 정밀 오믹스 분석을 통해 노화의 원인이 되는 염증 인자, 대사체 등을 식별하고, 해당 인자들을 분비하는 원인 장기 및 세포를 규명하는 기술
- 종단적 코호트 분석을 통해 다양한 노화 유형을 정밀하게 분류하고, 각 유형을 특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기술
■ 정밀 면역 조절 기술
- 특정 면역세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항체를 개발하여, 노화로 저하된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술
- 노화로 기능이 저하된 면역세포를 리프로그래밍하여, 젊은 세포처럼 반응하게 만드는 기술
- 노화 유발 염증성 사이토카인(예: IL-1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항노화 항체치료제 기술■ 항노화 효능 증대 및 예방을 위한 전달 기술
- 면역세포의 과도한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항체 엔지니어링 기술
- 부작용 없이 장기간 항체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지속적인 전달 기술
- 다중특이적 항체 등을 통한 다중 표적 제어를 통해 항노화 효능을 증대할 수 있는 기술 -
주요 이슈
■ (기술적 니즈) 노화에 대한 첫 번째 임상시험과 노화 질병 코드 부여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오프타겟 효과나 다회 투여 등의 한계가 존재함. 이에 따라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적은 횟수의 투여로도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밀한 노화 치료 기술이 요구 ■ (경제적 니즈) 전 세계적인 초고령화로 인해 정부, 기업의 노화 관련 기초 및 응용 R&D 투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화 치료제 시장의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에 발맞춰 경제적 가치를 지닌 노화 치료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 ■ (사회적 니즈) 초고령화 사회에서 노화 예방과 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 인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화 치료제 개발 시급
-
해외 기술개발동향
■ 노화 유발 염증인자(IL-11) 표적 항노화 항체의 항노화 효능 보고(Widjaja, Nature, 2024)
- 노화로 인해 증가하는 IL-11이 노화 연관 질환 및 노화의 주요 원인임을 규명
- 노화 생쥐 모델을 활용한 연구에서 단회 투여로 장기적인 효과가 나타남
■ 비정상적인 조혈모세포 세포군을 제거하는 항체의 면역 노화 회복 효능 보고됨(Ross, Nature, 2024)
- 골수편향 조혈모세포가 노화에 따라 증가하며, 이 세포군이 면역 기능 저하와 염증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이 규명됨
- 골수편향 조혈모세포 표적 항체 치료가 면역세포 균형을 회복시키고 T세포와 B세포 수를 증가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낮춤 -
국내 기술개발동향
■ 암 치료용 항체(이중항체, 항체-약물적합체 치료제 등)를 개발하는 ABL바이오, 리가켐바이오 등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항노화 항체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은 전무한 상황
■ 일부 출연연과 스타트업에서 면역노화제어를 통한 노화 치료제 개발 진행 중
- 생명연 노화융합연구단에서는 조혈모세포 노화 제어를 통한 노화 치료제 개발 연구 수행 중
- ㈜메디스팬은 면역 활성 유도 물질을 기반으로 건강 수명 연장 약물 개발 중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항노화 항체치료제의 선도적 개발을 통해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키우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비용 증가와 건강보험 재정 위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사회적 기대효과
항노화 항체치료제 원천기술 확보와 저비용 생산 시스템이 확립된다면, 고령 인구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건강 불평등을 해소에 기여
-
필요 사항
■ 항노화 항체치료제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확한 환자 선별과 진단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임. 특히, 다양한 노화 유형을 정밀하게 분류하고, 각 유형에 맞는 개인화된 치료 접근법을 제시하기 위해 임상 빅데이터와 AI 기반 분석을 활용한 데이터 구축 필요 ■ 항노화 항체치료제 개발을 위해 전문 인력과 연구 네트워크 확장이 시급함. 특히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노화 생물학, 면역학, 약리학 등) 촉진을 위한 정부 R&D 투자 필요■ 항노화 항체치료제의 노화 대상 임상시험을 위한 질병코드 부여, 표준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설정, 규제 승인 프로세스의 효율화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BioIN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250.63 | 2건 |
2023년 | 623.13 | 6건 |
2022년 | 60 | 1건 |
2021년 | 1,735 | 2건 |
2020년 | 1,645 | 1건 |
2019년 | 1,650 | 1건 |
2018년 | 1,625 | 1건 |
2017년 | 1,625 | 1건 |
2016년 | 1,625 | 1건 |
2015년 | 1,316.6 | 1건 |
2006년 | 46 | 1건 |
2004년 | 1,528 | 1건 |
2003년 | 786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20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기초의과학분야(MRC) | 1,316.6 | 1711025775 |
2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25 | 1711035301 |
3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선도연구센터 | 1,625 | 1711048629 |
4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45 | 1711109444 |
5 | 노화연관 세포막 단백질의 기능 및 제어 연구 | 서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 | 1345361644 |
6 | 후성유전학 기반 노화 조절 회로 리프로그래밍의 이보디보 연구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한우물파기 | 200.63 | 2710000689 |
7 | 노화세포의 선택적 치료를 위한 나노메디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60 | 1345358403 |
8 | 후성유전학 기반 노화 조절 회로 리프로그래밍의 이보디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한우물파기 | 200.63 | 1711195066 |
9 | 노화 관련 질병의 치료를 위한, 노화세포 유래 혈중 노화 유발 인자 규명 및 제거방법 개발 | 고려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90 | 1711147146 |
10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45 | 1711139192 |
11 | 실버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한림대학교 | 2004 | 산업자원부 | 지역협력연구센터육성 | 1,528 | 1410058371 | |
12 | 실버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한림대학교 | 2003 | 과학기술부 | 지역협력연구센터육성 | 786 | 1350000180 | |
13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25 | 1711065893 |
14 | 노화세포의 선택적 치료를 위한 나노메디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60 | 1345371479 |
15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50 | 1711091413 |
16 |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프로티오믹스를 이용한 노화 표지자 및 조절 인자 탐색 | 서울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우수연구센터육성 | 46 | 1350007034 | |
17 | 모발의 백발화 과정에 관여하는 노화 신호경로의 규명을 기반으로 한 선도물질의 발굴 및 응용연구 | 동의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0년) | 100 | 1345364824 |
18 | 최종 당화 산물 억제 효과를 지닌 피부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 사업화 | (주)인코스팜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 |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원사업(세부사업) | 225 | 1711201898 |
19 | 정렬된 항체 결합을 위한 다공성 나노입자의 고분자 코팅법 개발과 노화세포 표적 치료 | 울산과학기술원 | 2024 | 우주항공청 | 우주국제협력기반조성(R&D) | (공동연구) 튀르키예 | 50 | 2800000172 |
20 | 정렬된 항체 결합을 위한 다공성 나노입자의 고분자 코팅법 개발과 노화세포 표적 치료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공동연구) 튀르키예 | 25 | 1711198896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1.89 | 86건 |
2023년 | 29.16 | 113건 |
2022년 | 28.61 | 119건 |
2021년 | 25.53 | 122건 |
2020년 | 23.66 | 107건 |
2019년 | 18.64 | 79건 |
2018년 | 16.15 | 69건 |
2017년 | 17.79 | 63건 |
2016년 | 16.16 | 64건 |
2015년 | 16.03 | 71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20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기초의과학분야(MRC) | 1316600000 | 1,316.6 | 1711025775 |
2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25000000 | 1,625 | 1711035301 |
3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선도연구센터 | 1625000000 | 1,625 | 1711048629 |
4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45000000 | 1,645 | 1711109444 |
5 | 노화연관 세포막 단백질의 기능 및 제어 연구 | 서울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00000 | 12.5 | 1345361644 |
6 | 후성유전학 기반 노화 조절 회로 리프로그래밍의 이보디보 연구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한우물파기 | 200635000 | 200.63 | 2710000689 |
7 | 노화세포의 선택적 치료를 위한 나노메디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60000000 | 60 | 1345358403 |
8 | 후성유전학 기반 노화 조절 회로 리프로그래밍의 이보디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한우물파기 | 200635000 | 200.63 | 1711195066 |
9 | 노화 관련 질병의 치료를 위한, 노화세포 유래 혈중 노화 유발 인자 규명 및 제거방법 개발 | 고려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우수신진연구 | 90000000 | 90 | 1711147146 |
10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45000000 | 1,645 | 1711139192 |
11 | 실버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한림대학교 | 2004 | 산업자원부 | 지역협력연구센터육성 | 1528000000 | 1,528 | 1410058371 | |
12 | 실버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한림대학교 | 2003 | 과학기술부 | 지역협력연구센터육성 | 786000000 | 786 | 1350000180 | |
13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25000000 | 1,625 | 1711065893 |
14 | 노화세포의 선택적 치료를 위한 나노메디신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60000000 | 60 | 1345371479 |
15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영남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기초의과학분야(MRC) | 1650000000 | 1,650 | 1711091413 |
16 |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프로티오믹스를 이용한 노화 표지자 및 조절 인자 탐색 | 서울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우수연구센터육성 | 46000000 | 46 | 1350007034 | |
17 | 모발의 백발화 과정에 관여하는 노화 신호경로의 규명을 기반으로 한 선도물질의 발굴 및 응용연구 | 동의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0년) | 100000000 | 100 | 1345364824 |
18 | 최종 당화 산물 억제 효과를 지닌 피부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 사업화 | (주)인코스팜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 |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원사업(세부사업) | 225000000 | 225 | 1711201898 |
19 | 정렬된 항체 결합을 위한 다공성 나노입자의 고분자 코팅법 개발과 노화세포 표적 치료 | 울산과학기술원 | 2024 | 우주항공청 | 우주국제협력기반조성(R&D) | (공동연구) 튀르키예 | 50000000 | 50 | 2800000172 |
20 | 정렬된 항체 결합을 위한 다공성 나노입자의 고분자 코팅법 개발과 노화세포 표적 치료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공동연구) 튀르키예 | 25000000 | 25 | 1711198896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20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025775 | 13166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집단연구지원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035301 | 16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048629 | 16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109444 | 16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노화연관 세포막 단백질의 기능 및 제어 연구 | 1345361644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후성유전학 기반 노화 조절 회로 리프로그래밍의 이보디보 연구 | 2710000689 | 2006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노화세포의 선택적 치료를 위한 나노메디신 개발 | 1345358403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후성유전학 기반 노화 조절 회로 리프로그래밍의 이보디보 연구 | 1711195066 | 2006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노화 관련 질병의 치료를 위한, 노화세포 유래 혈중 노화 유발 인자 규명 및 제거방법 개발 | 1711147146 | 9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고려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우수신진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139192 | 16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04 | 산업자원부 | 지역협력연구센터육성 | 실버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1410058371 | 1528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0건 | 0건 | |||
2003 | 과학기술부 | 지역협력연구센터육성 | 실버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1350000180 | 78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0건 | 0건 |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065893 | 16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노화세포의 선택적 치료를 위한 나노메디신 개발 | 1345371479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R&D)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 1711091413 | 16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영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0건 | 0건 |
2006 | 과학기술부 | 우수연구센터육성 |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프로티오믹스를 이용한 노화 표지자 및 조절 인자 탐색 | 1350007034 | 4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모발의 백발화 과정에 관여하는 노화 신호경로의 규명을 기반으로 한 선도물질의 발굴 및 응용연구 | 1345364824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동의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0년)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 | 최종 당화 산물 억제 효과를 지닌 피부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 사업화 | 1711201898 | 225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인코스팜 | 0건 | 0건 | |||
2024 | 우주항공청 | 우주국제협력기반조성(R&D) | 정렬된 항체 결합을 위한 다공성 나노입자의 고분자 코팅법 개발과 노화세포 표적 치료 | 2800000172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정렬된 항체 결합을 위한 다공성 나노입자의 고분자 코팅법 개발과 노화세포 표적 치료 | 1711198896 | 2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