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 편집 기반 양적형질 조절기술IQT engineering by genome editing
-
기술 정의
양적형질(quantitative traits)*에 관여된 여러 개의 타겟 유전자를 동시에 편집하여 동·식물의 형질을 강화/개량하는 기술 * 무게, 길이, 생산성 등의 형질에 여러 개의 유전자가 관여하여 각 유전자의 기능이 잘 드러나지 않는 형질
-
기술장점
혁신적으로 육종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불가능했던 형질 도입이 가능
-
실현 시기
향후 5년 : ~2023년 : 양적형질이 개선된 동·식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성과 보고
향후 10년 : ~2028년 :양적형질이 조절된 동·식물이 시장에 유통되고 유전자편집기술이 적용된 작물 상용화로 인한 식량부족 해결
-
요소 기술
1) CRISPR/Cas9을 이용한 동식물 유전자 편집 기술, 다수의 유전자를 동시에 편집할 수 있는 기술과 더불어 유전자 조절인자 편집 기술 필요
- 유전체 정보 및 동식물 유전자 지도 및 QTL 지도 작성 기술
2) 기반이 될 수 있는 동·식물에 대한 regeneration 기술
-
주요 이슈
동식물의 주요 형질은 대부분 양적형질로 기존 방법을 이용한 개량은 한 번에 하나의 형질 도입 및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시간이 많이 소요 - 개량이 불가한 경우도 다수 존재하여 빠른 시간에 개량할 수 있는 방법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한 번에 여러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하며 실제 작물 육종에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
- (미국) 토마토의 조절인자 편집을 통해 수량과 관련된 열매의 크기, 개수, 식물체의 가지 수 등 양적 형질을 조절하는 결과를 발표
거대자본의 다국적 종자기업이 선도적으로 작물을 개량하는데 기술을 사용
- (미국) 외래유입 DN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개발된 작물을 GMO 규제대상에서 제외하여 승인, 실용화 촉진
-
국내 기술개발동향
유전자 편집 기술에 대한 성공 사례는 있으나 연구용이며 실용화 사례는 아직 없음
- 더군다나 QTL 형질 관련된 유전자 편집 기술의 활용을 통한 작물 개량 연구는 미비
농진청이 주도적으로 이 기술과 유전자편집 기술을 육종에 활용하는 내용의 연구사업을 기획 중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식량수요는 인구증가, 경제성장, 식단변화 등에 따라 2030년까지 2008년 대비 50% 증가 전망 *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농업 가치 제고를 위한 ICT 역할과 과제, 2013현재 전세계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한 기업인 몬산토에 툴젠의 유전자가위 기술을 제공하는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 향후 안전하고 효율적인 품종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출처 : 조선비즈, 툴젠, 세계1위 종자기업 몬산토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기술 제공, 2017
-
사회적 기대효과
기존 방법으로 도입 또는 개량이 어렵거나 오래 걸리는 육종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정확하게 개량 가능 - 사회적 국민적 요구에 맞는 기후변화 대응, 식량위기 극복, 고영양가지 작물 개발 등 기존 GM방법에 의한 작물 개량과는 다른 규정과 인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GMO에 대한 사회적인 우려 경감 가능
-
필요 사항
작물개량에 활용을 위해서는 실용작물의 재분화 기술 확립이 필요국내 작물 개량을 위해서는 국내 재배환경과 품종에 맞는 다수의 QTL mapping 정보 및 유전체 정보 구축 육종과 생명공학과의 연계가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3년 | 96.36 | 1건 |
2022년 | 96.36 | 1건 |
2021년 | 45.95 | 1건 |
2020년 | 96.36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4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6.36 | 1711182233 |
2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원광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45.95 | 1711140132 |
3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6.36 | 1711162050 |
4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원광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96.36 | 1711120764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23.04 | 83건 |
2023년 | 25.63 | 98건 |
2022년 | 31.36 | 112건 |
2021년 | 33.35 | 114건 |
2020년 | 29.01 | 109건 |
2019년 | 27.64 | 105건 |
2018년 | 23.41 | 86건 |
2017년 | 19.15 | 61건 |
2016년 | 17.68 | 44건 |
2015년 | 13.36 | 26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4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6362000 | 96.36 | 1711182233 |
2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원광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45950000 | 45.95 | 1711140132 |
3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6362000 | 96.36 | 1711162050 |
4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원광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96362000 | 96.36 | 1711120764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4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1711182233 | 96362000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1711140132 | 45950000 | 기초연구 | 대학 | 원광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1711162050 | 96362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다배체 가지과 종 유전체 편집기반 양적형질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1711120764 | 96362000 | 기초연구 | 대학 | 원광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