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 접착기술Molecular glue
-
기술 정의
세포 내 단백질이나 분자를 인위적으로 접착시켜 새로운 생명현상을 유도하여,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기술
-
기술장점
새로운 형태의 분자 간 상호작용을 유도해 기존에 표적하기 어려웠던 단백질과 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을 촉진
-
실현 시기
향후 5년 : 핵산, 단백질, 항체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분자 접착체 개발 및 분자 접착에 활용가능한 새로운 기전 개발
향후 10년 : 분자 접착을 이용한 단백질 수준의 생체 신호전달 네트워크 재구성을 통한 세포 기능 복원
-
요소 기술
■ 약물화 할 수 없는 표적 단백질 분해 및 제어 분자 접합체 개발
- 많은 질병 단백질은 기존 치료 기술로 표적화가 어려우며, 빈번한 저항성 발생
- 기존에 약물화가 어려웠던 단백질 또는 치료제가 없는 약물 저항성 단백질을 대상으로 하는 분자 접착 치료제 개발
■ 새로운 형태의 분자 접착제 개발 기술
- 기존의 저분자 화합물이 아닌, 핵산, 항체, 단백질 등 다양한 형태의 분자 접합제 개발 기술
- 인공지능을 이용한 새로운 분자 접합체 설계 기술
- 분자 접착제의 안정성, 안전성 평가 기술 및 실시간 효능 탐색 기술
■ 새로운 세포 생체 신호 조절 분자 접합 기술
- 선택적 단백질 후생 유전 조절, 염색체 모델링 등 분자 접착제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세포 신호 조절 기술 개발
- 비가역적인 유전자 편집이 아니라, 설계된 분자 접착체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 전달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고 세포의 기능을 복원하는 가역적 분자 접착 조절 기술 개발 -
주요 이슈
■ (기술적 니즈) 현재까지의 분자 접합체는 천연물 유래 또는 대부분 저분자 화합물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선택성, 타겟 다양성 등을 위해 핵산, 항체, 단백질 등 다양한 형태의 분자 접착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 특히, 분자 접착제는 생체 내 두가지 이상의 분자의 거리를 조절하여 기능을 하기에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장점이 있음 ■ (경제적 니즈) 난치성 질환의 증가 및 기존 치료제의 내성 발생에 따라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자 접합체 기술 개발 및 관련 치료 물질 개발을 통해서 사회적 비용 절감이 기대됨 ■ (사회적 니즈) 글로벌 인구 고령화에 의한 다양한 퇴행성 질환 및 노인 질환의 환자수가 가파르게 급증하고 있어, 해당 질병의 진행을 막고 세포 기능을 원래대로 돌릴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요구
-
해외 기술개발동향
■ 글로벌 제약사들은 20여개이상의 분자접합체를 임상 시험 중
- BMS는 ‘19년 Celgene을 인수하면서, 다발성 골수종 및 고형암에 대해서 IKZF3 분해제를 개발하고 임상 2상을 수행중
■ Bivalent라는 점에서 분자 접착제와 다소 다르나, 접착제중 실제 치료제 개발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표적 단백질과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를 연결하는 PROTAC 기술
- 표적 단백질과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를 연결하는 PROTAC 기술선진그룹인 Arvinas는 전립선암과, ER양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2개의 화합물에 대한 임상 2상을 진행중
■ 최근 글로벌 제약사 노보노디스크는 네오모프의 분자접착제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해 2조원 규모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 -
국내 기술개발동향
■ 대웅제약, 일동제약, SK바이오팜 등 국내 기업도 분자접착제 기반 TPD 신약 연구에 적극적으로 투자중
- 아리리드비엠에서는 유럽종양학회에서 독자 개발한 CDK12 조절 분자접착제 IL2106을 발표
- 대웅제약은 핀테라퓨틱스와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항암 TPD 공동연구 개발 진행 중
- SK바이오팜은 미국의 연구개발 자회사를 통해 타겟 단백질을 개발하고 현재 전임상 연구 수행 중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 기존 약물 개발 접근법 대비 혁신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신약개발 성공률 제고 및 연구 개발비 절감 - 새로운 분자 접합체 기반의 First-in-class 신약개발로 글로벌 시장 독점적 지위 확보 기회 마련 - 글로벌 제약사 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개발로 향후 더큰 산업적 기회 창출 가능
-
사회적 기대효과
새로운 분자 접합체 원천 기술 확보로 난치성 질환 신약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통해 국민 보건에 기여
-
필요 사항
새로운 개념의 분자접합체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 지원 필요, 개발된 원천기술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원천 기술 개발 지원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8,009.24 | 18건 |
2023년 | 2,615.21 | 7건 |
2022년 | 2,452.78 | 4건 |
2013년 | 46.35 | 1건 |
2012년 | 156.35 | 2건 |
2011년 | 46.35 | 1건 |
2010년 | 60 | 1건 |
2009년 | 55 | 1건 |
2006년 | 600 | 2건 |
2005년 | 15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3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EloB-EloC-SOCS Box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기질 수용체 복합체 단백질들의 구조생물학 연구 | 국립암센터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1.08 | 2710010583 |
2 | EloB-EloC-SOCS Box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기질 수용체 복합체 단백질들의 구조생물학 연구 |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34.53 | 1711185262 |
3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65.19 | 1711179460 |
4 | 단백질 상호작용 조절제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DNA 암호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기술 | 부산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미래의료혁신대응기술개발 | 233.5 | 1711197750 |
5 | 신장 섬유화 관련 유전자 조절에 의한 만성신장질환 제어기술 개발 기반연구 | 전남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유전자 제어 의과학 연구센터 | 110 | 1345191909 |
6 | 새로운 E3 리가아제를 활용한 KRAS 표적 분해 기반 암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확대형) | 204 | 2420015011 |
7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00 | 2710000155 |
8 | 지의류 대사체 기초연구실 | 순천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심화형 | 500 | 2710018277 |
9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78.15 | 1711176397 |
10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BIG3) 시행계획 공고 | 121.84 | 2420010330 |
11 | 난치성 KRAS 돌연변이 암 극복을 위한 시스템적 ADC 약제병용 후보 발굴 연구 | (주)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산학연CollaboR&D | 산학협력(예비연구) | 66.67 | 1425177877 |
12 | 스트레스 과립 형성을 이용한 광범위 항바이러스 물질의 개발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27 | 2340001467 |
13 | 나노생체물질의 초미세력 감지기술 개발 (II) | 포항공과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기반기술개발(나노,바이오) | 150 | 1350004553 | |
14 | WEE1 degrader를 이용한 난소암치료제 개발 | (주)프로티어바이오텍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TIPS) | 127.6 | 2420013890 |
15 | 나노생체물질의 초미세력 감지기술 개발 (II) | 포항공과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50 | 1350019627 | |
16 | 분자접착기반 IKZF2 분해제 선도 물질 개발 | 한국화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00 | 2710003675 |
17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BIG3) 시행계획 공고 | 111.43 | 1425174594 |
18 |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p53 wild-type solid cancer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 사업 | 1,917.73 | 2710018658 |
19 | 나노 기술 융합을 통한 AAV 유전자 치료제의 고도화 및 이를 이용한 말판 증후군 대동맥 질환의 치료제 개발 | 중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미래의료혁신대응기술개발 | 600 | 2710018368 |
20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5.17 | 2710010944 |
21 | 신규 뉴클레오사이드 및 뉴클레오베이스 기반 SuTEx 저분자화합물의 개발과 프로테오믹스 기반 생물학적 활성 평가 | 서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60 | 2340010378 |
22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64 | 1711156706 |
23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64 | 1711183592 |
24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46.35 | 1345155075 |
25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핀테라퓨틱스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BIG3) 시행계획 공고 | 80 | 1425168182 |
26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46.35 | 9991005582 |
27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46.35 | 1345173697 |
28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전략형) | 80 | 2420004047 |
29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1,190.88 | 2710008898 |
30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1,709.26 | 1711196170 |
31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1,800 | 1711170633 |
32 | 이종이식 거부반응 관련 분자들의 분자생물학적 조절 | 가천의과학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450 | 1350013371 | |
33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60 | 1355061182 |
34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부산대학교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55 | 1355060000 |
35 | 신경염증을 타겟하는 molecular glue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 도출 | (주)아이비스바이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50 | 2710004086 |
36 | 신경염증을 타겟하는 molecular glue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 도출 | (주)아이비스바이오 | 2024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산업부) | 0 | 2460002337 | |
37 | Molecular glue 기반 치매 치료제 임상 진입을 위한 비임상 연구 | (주)아이비스바이오 | 2024 | 다부처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 | 치매극복 글로벌 공동연구 | 823.93 | 2460000200 |
38 | 소세포폐암 및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를 위한 GSPT1 분해제(Molecular Glue Degrader) CYRS1542의 비임상개발 | (주)사이러스테라퓨틱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1,000 | 2710003464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19.12 | 87건 |
2023년 | 16.41 | 70건 |
2022년 | 11.77 | 55건 |
2021년 | 7.09 | 38건 |
2020년 | 5.0 | 31건 |
2019년 | 4.52 | 29건 |
2018년 | 2.99 | 22건 |
2017년 | 2.23 | 13건 |
2016년 | 1.15 | 13건 |
2015년 | 1.77 | 12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3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EloB-EloC-SOCS Box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기질 수용체 복합체 단백질들의 구조생물학 연구 | 국립암센터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21082000 | 121.08 | 2710010583 |
2 | EloB-EloC-SOCS Box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기질 수용체 복합체 단백질들의 구조생물학 연구 |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34535000 | 134.53 | 1711185262 |
3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265187000 | 265.19 | 1711179460 |
4 | 단백질 상호작용 조절제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DNA 암호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기술 | 부산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미래의료혁신대응기술개발 | 233500000 | 233.5 | 1711197750 |
5 | 신장 섬유화 관련 유전자 조절에 의한 만성신장질환 제어기술 개발 기반연구 | 전남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유전자 제어 의과학 연구센터 | 110000000 | 110 | 1345191909 |
6 | 새로운 E3 리가아제를 활용한 KRAS 표적 분해 기반 암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확대형) | 204000000 | 204 | 2420015011 |
7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00000000 | 400 | 2710000155 |
8 | 지의류 대사체 기초연구실 | 순천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기초연구실 심화형 | 500000000 | 500 | 2710018277 |
9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세부2)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78150000 | 478.15 | 1711176397 |
10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BIG3) 시행계획 공고 | 121840000 | 121.84 | 2420010330 |
11 | 난치성 KRAS 돌연변이 암 극복을 위한 시스템적 ADC 약제병용 후보 발굴 연구 | (주)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산학연CollaboR&D | 산학협력(예비연구) | 66667000 | 66.67 | 1425177877 |
12 | 스트레스 과립 형성을 이용한 광범위 항바이러스 물질의 개발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내연수 | 27000000 | 27 | 2340001467 |
13 | 나노생체물질의 초미세력 감지기술 개발 (II) | 포항공과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기반기술개발(나노,바이오) | 150000000 | 150 | 1350004553 | |
14 | WEE1 degrader를 이용한 난소암치료제 개발 | (주)프로티어바이오텍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TIPS) | 127600000 | 127.6 | 2420013890 |
15 | 나노생체물질의 초미세력 감지기술 개발 (II) | 포항공과대학교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150000000 | 150 | 1350019627 | |
16 | 분자접착기반 IKZF2 분해제 선도 물질 개발 | 한국화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300000000 | 300 | 2710003675 |
17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BIG3) 시행계획 공고 | 111429000 | 111.43 | 1425174594 |
18 |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p53 wild-type solid cancer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 사업 | 1917729000 | 1,917.73 | 2710018658 |
19 | 나노 기술 융합을 통한 AAV 유전자 치료제의 고도화 및 이를 이용한 말판 증후군 대동맥 질환의 치료제 개발 | 중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미래의료혁신대응기술개발 | 600000000 | 600 | 2710018368 |
20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85172000 | 85.17 | 2710010944 |
21 | 신규 뉴클레오사이드 및 뉴클레오베이스 기반 SuTEx 저분자화합물의 개발과 프로테오믹스 기반 생물학적 활성 평가 | 서울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후국외연수 | 60000000 | 60 | 2340010378 |
22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635000 | 94.64 | 1711156706 |
23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경희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94635000 | 94.64 | 1711183592 |
24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46355000 | 46.35 | 1345155075 |
25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핀테라퓨틱스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2022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BIG3) 시행계획 공고 | 80000000 | 80 | 1425168182 |
26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46355000 | 46.35 | 9991005582 |
27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46355000 | 46.35 | 1345173697 |
28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주)핀테라퓨틱스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전략형) | 80000000 | 80 | 2420004047 |
29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1190880000 | 1,190.88 | 2710008898 |
30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1709256000 | 1,709.26 | 1711196170 |
31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주요사업비 | 1800000000 | 1,800 | 1711170633 |
32 | 이종이식 거부반응 관련 분자들의 분자생물학적 조절 | 가천의과학대학교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450000000 | 450 | 1350013371 | |
33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60000000 | 60 | 1355061182 |
34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부산대학교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55000000 | 55 | 1355060000 |
35 | 신경염증을 타겟하는 molecular glue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 도출 | (주)아이비스바이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450000000 | 450 | 2710004086 |
36 | 신경염증을 타겟하는 molecular glue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 도출 | (주)아이비스바이오 | 2024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산업부) | 0 | 0 | 2460002337 | |
37 | Molecular glue 기반 치매 치료제 임상 진입을 위한 비임상 연구 | (주)아이비스바이오 | 2024 | 다부처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 | 치매극복 글로벌 공동연구 | 823934000 | 823.93 | 2460000200 |
38 | 소세포폐암 및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를 위한 GSPT1 분해제(Molecular Glue Degrader) CYRS1542의 비임상개발 | (주)사이러스테라퓨틱스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 1000000000 | 1,000 | 2710003464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38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EloB-EloC-SOCS Box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기질 수용체 복합체 단백질들의 구조생물학 연구 | 2710010583 | 121082000 | 기초연구 | 대학 | 국립암센터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EloB-EloC-SOCS Box E3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기질 수용체 복합체 단백질들의 구조생물학 연구 | 1711185262 | 1345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1711179460 | 265187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단백질 상호작용 조절제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DNA 암호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기술 | 1711197750 | 233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0건 | 0건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신장 섬유화 관련 유전자 조절에 의한 만성신장질환 제어기술 개발 기반연구 | 1345191909 | 1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기초의과학분야(MRC) | 유전자 제어 의과학 연구센터 | 0건 | 0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새로운 E3 리가아제를 활용한 KRAS 표적 분해 기반 암 치료제 개발 | 2420015011 | 204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2710000155 | 400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집단연구지원 | 지의류 대사체 기초연구실 | 2710018277 | 5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순천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복지부,산업부) | (개발단계조정_비임상→후보)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개발 | 1711176397 | 478150000 | 기초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0건 | 0건 |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2420010330 | 12184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저분자의약품 | 0건 | 0건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산학연CollaboR&D | 난치성 KRAS 돌연변이 암 극복을 위한 시스템적 ADC 약제병용 후보 발굴 연구 | 1425177877 | 66667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스트레스 과립 형성을 이용한 광범위 항바이러스 물질의 개발 | 2340001467 | 27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06 | 과학기술부 | 기반기술개발(나노,바이오) | 나노생체물질의 초미세력 감지기술 개발 (II) | 1350004553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WEE1 degrader를 이용한 난소암치료제 개발 | 2420013890 | 1276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프로티어바이오텍 | 0건 | 0건 | |||
2005 | 과학기술부 | 나노바이오기술개발 | 나노생체물질의 초미세력 감지기술 개발 (II) | 1350019627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포항공과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분자접착기반 IKZF2 분해제 선도 물질 개발 | 2710003675 | 300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화학연구원 | 0건 | 0건 | |||
2023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1425174594 | 111429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저분자의약품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CK1α 선택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을 활용한 p53 wild-type solid cancer 치료제 개발 | 2710018658 | 1917729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나노 기술 융합을 통한 AAV 유전자 치료제의 고도화 및 이를 이용한 말판 증후군 대동맥 질환의 치료제 개발 | 2710018368 | 60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2710010944 | 85172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신규 뉴클레오사이드 및 뉴클레오베이스 기반 SuTEx 저분자화합물의 개발과 프로테오믹스 기반 생물학적 활성 평가 | 2340010378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1711156706 | 946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산화적 Diels-Alder 반응 기반 benzobicyclo[3.2.2]nonenone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이를 통한 단백질 분해 유도 분자접착제 개발 연구 | 1711183592 | 9463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1345155075 | 4635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1425168182 | 8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핀테라퓨틱스 | 바이오ㆍ의료 | 의약바이오 | 저분자의약품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9991005582 | 4635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연구비지원)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접착성 연골형성시트에 의한 연골 재생효능 확인 | 1345173697 | 46355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연구비지원) | 0건 | 0건 |
2024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성장기술개발 | CK1ε 선택적 분해를 통한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개발 | 2420004047 | 80000000 | 응용연구 | 중소기업 | (주)핀테라퓨틱스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2710008898 | 119088000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96170 | 170925600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개발 | 1711170633 | 1800000000 | 응용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건 | 0건 | |||
2006 | 과학기술부 |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장기) | 이종이식 거부반응 관련 분자들의 분자생물학적 조절 | 1350013371 | 4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천의과학대학교 | 0건 | 0건 | |||
2010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1355061182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 및 임상의학 | 발달 및 노화 | 노화 연구기술 | 0건 | 0건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 Lysophosphatidylcholine (LPC)의 혈관 접착분자 유도에 의한 노인성 혈관 질환 유발 기전 및 제어 | 1355060000 | 5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부산대학교 | 기초 및 임상의학 | 발달 및 노화 | 노화 연구기술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신경염증을 타겟하는 molecular glue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 도출 | 2710004086 | 45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아이비스바이오 | 0건 | 0건 | |||
2024 | 다부처 | 국가신약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산업부) | 신경염증을 타겟하는 molecular glue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 도출 | 2460002337 | 0 | (주)아이비스바이오 | 0건 | 0건 | |||||
2024 | 다부처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 | Molecular glue 기반 치매 치료제 임상 진입을 위한 비임상 연구 | 2460000200 | 823934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아이비스바이오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신약개발사업(과기부) | 소세포폐암 및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를 위한 GSPT1 분해제(Molecular Glue Degrader) CYRS1542의 비임상개발 | 2710003464 | 1000000000 | 개발연구 | 중소기업 | (주)사이러스테라퓨틱스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