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모델링AI based protein modeling
-
기술 정의
분자물리학적 접근방법과 딥러닝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단백질 구조뿐만 아니라 세포 내 단백질 작용을 예측하는 기술
-
기술장점
단백질 간의 네트워크 규명을 통해 그간 알지 못했던 생명현상을 밝힐 수 있고, 신속한 약물표적 발굴을 통해 신약개발의 생산성을 향상
-
실현 시기
향후 5년 : 단백질 접힙 및 아미노산 배치 예측 정확도 향상을 통한 단일 단백질 삼차구조 모델링
향후 10년 :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및 다중 단백질 복합체 삼차구조 모델링
-
요소 기술
아미노산 연결상의 물리적 특성 예측 기술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심층학습(딥 러닝)을 활용 - 단백질 내부 모든 아미노산-아미노산 연결 거리 및 화학 결합 각도를 예측하고 확률값 분포도를 작성 - 단백질 구조의 정확성 평가를 위하여 수학적 점수(score)를 매김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 - 위에서 나온 아미노산 연결 확률값을 바탕으로, 아미노산이 여러 개 연결된 단백질 조각의 구조를 조립한 후 그것들을 결합하여 전체 단백질 구조를 모델링하는 텐션 알고리즘(tension algorithm) 기법을 사용 - 1차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최소값을 찾아가는 근사값 발견용 최적화 알고리즘인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이용, 제안된 단백질 구조의 점수값을 계산하여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조의 정확성을 높임
-
주요 이슈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 기존의 실험적 단백질 구조 규명을 보완할 수 있는 정확성 높은 단백질 모델링 기법
-
해외 기술개발동향
CASP14 순위표. 가장 앞 줄이 [알파폴드 2]. 출처: CASP14 홈페이지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심층학습 기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폴드 1]은 2018년 12월 13차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 (CASP)에 참석하여 평균 60점의 점수로 전 세계 98개 연구그룹 중 1위 달성 2년 뒤인 2020년 같은 회사에서 만든 [알파폴드 2]는 14차 CASP에 참가하여 훨신 더 나아진 성능을 보이며 압도적 차이로 1위 달성 - 해당 대회에서 개별 단백질 정확성이 90점 이상이면 실제 구조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데, [알파폴드 2]는 92개 구조에 대하여 전체 평균 92.4점을 받았으며, 특히 가장 어려운 단백질로 예측된 문제에서도 87점으로 2등과 25점 차이로 압승
-
국내 기술개발동향
국내에서도 단백질 모델링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 - (고등과학원) 이주영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CASP7, CASP8 등의 대회에서 1위를 차지 - (서울대학교) 석차옥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 분자 모델링 프로그램 Galaxy를 개발하였으며 2020년 5월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삼차구조에 대한 부분적 실험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전체 삼차구조를 규명한 바 있음 향후 딥러닝 기술 확산과 더불어 국내에서도 보다 향상된 수준의 관련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기존에 삼차구조 규명이 어려웠거나 새롭게 질병과의 연관성이 밝혀진 질환 표적 단백질에 대하여 신속한 생체 내 작용기작, 질병과의 연관성, 약물 개발을 위한 표적지점 규명이 가능향후 기술 발달 및 대중화가 이루어지면 2018년 기준 1조 2천억 달러(약 1,400조원), 2023년 기준 1조 5천억 달러(약 1,700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제약산업에서 난치성 질병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에 기본적으로 사용될 기반 기술
-
사회적 기대효과
기존에 표적 단백질의 삼차구조 정보 부족으로 신약개발이 어려웠던 질환에 대한 신약개발 연구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어 암, 난치질환 등 글로벌 난제의 해결 기대
-
필요 사항
인공지능 국내 경쟁력 확보 및 고도화 기술개발 필요 국제경쟁력의 확보를 위한 국가 수준의 신속한 대응 필요세계적인 수준의 국내 구조생물학 연구역량과 융합 및 시너지 창출 방안 필요
-
BICS·BioIN 연계 데이터
BICS 연계데이터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1,846 | 2건 |
2023년 | 1,515 | 2건 |
2022년 | 75 | 2건 |
2021년 | 215 | 4건 |
2020년 | 465 | 3건 |
2019년 | 115 | 2건 |
2018년 | 15 | 1건 |
2017년 | 15.38 | 1건 |
2016년 | 16.67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1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치료사업 | 100 | 1711151973 |
2 |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 | AI기반과학·공공분야난제해결 | 1,833.5 | 2710007825 |
3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5 | 1711150799 |
4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거대수치계산연구 | 16.67 | 1711046145 |
5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 | 1711176655 |
6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11117 |
7 |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 | AI기반과학·공공분야난제해결 | 1,500 | 1711195748 |
8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 | 1711123028 |
9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 | 15 | 1711078461 |
10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 | 1711097389 |
11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090805 |
12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0 | 1711150639 |
13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 | 1711143903 |
14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코로나대응 과학기술뉴딜사업 | 60 | 1711178313 |
15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치료사업 | 350 | 1711125503 |
16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 | 1711202982 |
17 | 단백질-화합물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모델 구축: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분자 모델링과의 접목 | 경상국립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2.5 | 2340010575 |
18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첨단기초과학연구(기관고유) | 15.38 | 1711061610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179.35 | 733건 |
2023년 | 203.76 | 832건 |
2022년 | 182.7 | 795건 |
2021년 | 145.47 | 668건 |
2020년 | 124.72 | 562건 |
2019년 | 91.01 | 417건 |
2018년 | 81.99 | 307건 |
2017년 | 66.15 | 234건 |
2016년 | 60.13 | 187건 |
2015년 | 52.29 | 172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1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치료사업 | 100000000 | 100 | 1711151973 |
2 |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 | AI기반과학·공공분야난제해결 | 1833500000 | 1,833.5 | 2710007825 |
3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5000000 | 5 | 1711150799 |
4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거대수치계산연구 | 16667000 | 16.67 | 1711046145 |
5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000000 | 15 | 1711176655 |
6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11117 |
7 |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 | AI기반과학·공공분야난제해결 | 1500000000 | 1,500 | 1711195748 |
8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000000 | 15 | 1711123028 |
9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 | 15000000 | 15 | 1711078461 |
10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000000 | 15 | 1711097389 |
11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090805 |
12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0000000 | 10 | 1711150639 |
13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한국과학기술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100000000 | 100 | 1711143903 |
14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한국과학기술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코로나대응 과학기술뉴딜사업 | 60000000 | 60 | 1711178313 |
15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한국과학기술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치료사업 | 350000000 | 350 | 1711125503 |
16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거대수치계산연구(Advanced Computation) | 15000000 | 15 | 1711202982 |
17 | 단백질-화합물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모델 구축: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분자 모델링과의 접목 | 경상국립대학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2500000 | 12.5 | 2340010575 |
18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첨단기초과학연구(기관고유) | 15383043 | 15.38 | 1711061610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18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1711151973 | 100000000 | 개발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 |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 2710007825 | 1833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1711150799 | 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1711046145 | 16667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1711176655 | 1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1711111117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 |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 1711195748 | 150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1711123028 | 1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1711078461 | 1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1711097389 | 1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1711090805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1711150639 | 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 예측을 위한 Deep Learning 모델 개발 및 그 응용 | 1711143903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1711178313 | 60000000 | 개발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딥러닝 기반 기저질환 환자별 최적의 바이러스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코로나바이러스 핵심 단백질 구조 기반 약물 재창출 | 1711125503 | 350000000 | 개발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예측 및 응용연구 | 1711202982 | 15000000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0건 | 0건 |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단백질-화합물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모델 구축: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분자 모델링과의 접목 | 2340010575 | 12500000 | 응용연구 | 대학 | 경상국립대학교 | 0건 | 0건 | |||
201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 | 광역최적화, 머신러닝 방법에 의한 단백질 구조의 예측, 결정 및 응용연구 | 1711061610 | 15383043 | 기초연구 | 출연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원 고등과학원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