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성유전학적 발생·분화 조절기술Epigenetic regulation of development
-
기술 정의
후성유전학적 방법으로 발생 및 분화 과정에서의 광범위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술
-
기술장점
후성유전학적 방법으로 발생 및 분화 과정에서의 광범위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술
-
실현 시기
향후 5년 : ~2020년 : 발생/분화를 직접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인자의 발굴 및 조절기술 개발
향후 10년 : ~2027년 :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술의 안정성 및 다양한 적용분야 확보
-
요소 기술
1) 후성유전학적 인자 발굴 기술
- 발생·분화 과정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관장하는 후성유전학적 인자를 파악하는 기술
- 대규모 유전자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유전체 및 단백질체 분석 기술
2) 후성유전학적인 유전자 발현의 제어기술
- 세포의 운명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인 조절을 유도하는 화합물 혹은 신규 조절기술
3) 재생의학적 활용을 위한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술
- 세포의 운명을 전환시킬 수 있는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술을 통해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및 질환모델의 개발
4)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술의 안정성 확보 및 최적화 기술
- 세포의 발생·분화 및 성숙상태를 결정하는 후성유전학적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하고 이를 유도하는 기술
-
주요 이슈
세포의 발생, 분화, 성숙 나타내는 후성유전학적인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는 기술을 통해 생체와의 유사도 증대 필요
-
해외 기술개발동향
마우스의 경우 배아를 대상으로 수정한 발달과 이후 발생과정 동안 다양한 후성유전체의 변형과 이를 유도하는 후성유전학적 인자들의 변화에 대한 활발한 연구진행
사람의 경우 배아 연구의 한계로 인해 줄기세포를 이용한 후성유전학적 변형에 초점이 맞추어져 연구진행
NGS 기술을 통해 리프로그래밍 과정동안 다양한 후성유전학적 변형의 과정과 이로 인해 조절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 진행
-
국내 기술개발동향
국외에 비해 후성유전학적 연구 대상이 발생·분화 과정에 대한 연구보다는 암과 관련된 방향으로 진행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글로벌 후성유전체 시장 규모는 2013년 39억 달러 - 2008년 10억 달러에서 연평균 30.8%로 고성장 전망 * 자료 출처 : Fuji-Keizai, ‘The Epigenetics Healthcare R&D, Products and Commercial Implications, 2009글로벌 유전체 시장 규모는 2013년 111억 달러 - 2018년 198억 달러로 연평균 12.2% 성장 전망 * 자료 출처 : Markets and Markets, ‘Global Genomics Market’, 2013
-
사회적 기대효과
발생과정의 정확한 이해를 통해 고품질의 세포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재생의학적 치료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
-
필요 사항
재생의학 치료제의 안정성 및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모델 동물 인프라
-
BICS·BioIN 연계 데이터
(단위 : 백만원)
검색일 : 2024-11-25 | 출처: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정부연구비(백만원) | 과제수 |
---|---|---|
2024년 | 772.22 | 6건 |
2023년 | 684.44 | 8건 |
2022년 | 988.83 | 12건 |
2021년 | 841.79 | 9건 |
2020년 | 778.01 | 7건 |
2019년 | 449.16 | 6건 |
2018년 | 224.16 | 4건 |
2017년 | 79.16 | 2건 |
2016년 | 854.6 | 7건 |
2015년 | 1,096.91 | 8건 |
2014년 | 864.26 | 7건 |
2013년 | 773.31 | 6건 |
2012년 | 1,450.82 | 6건 |
2011년 | 928.54 | 5건 |
2010년 | 260 | 2건 |
2009년 | 210 | 1건 |
2008년 | 183 | 1건 |
2007년 | 200 | 1건 |
관련 R&D 과제 정보 9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기관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1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1-2) | 180.55 | 2710000997 |
2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전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150 | 1711109543 |
3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중배엽계 세포로의 분화조절 및 재생기능연구 | 190 | 1345157961 |
4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1-2) | 200.61 | 1711194319 |
5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60 | 1345123171 |
6 | 태반 매개 후성 유전학적 검증을 통한 임신 중 고농도 대기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소아 천식 발생 원인 규명 및 예측인자 발굴 | 인제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56 | 1711172315 |
7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55 | 2710011225 |
8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여성과학자지원 | 50.31 | 1711024631 |
9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41.67 | 1345269889 |
10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37.49 | 1345263355 |
11 | 신경 발달 과정에서 Phf21b에 의한 후성 유전체 리프로그래밍 조절 기작의 시스템 생물학적 연구 | 포항공과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외연수) | 34 | 1345248911 |
12 | 한국 청소년들의 지능 및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및 후성유전적, 환경적 요인 발굴 사업: 쌍둥이 연구 | 목포대학교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 | 한국 청소년들의 지능 및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및 후성유전적, 환경적 요인 발굴 사업: 쌍둥이 연구 | 57.48 | 1345159115 |
13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 인자의 조절 메커니즘 연구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체 분석 연구 | 421.06 | 1345164359 |
14 | 배아 발생부터 성체 노화까지 줄기세포 전사체 변화 분석을 통한 배아 및 성체줄기세포 조절 공통 후성유전체 인자 발굴 및 기능 연구 | 울산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200 | 1711043549 |
15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세포재생기술개발 | 160 | 1711028515 |
16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200 | 1345182395 |
17 | 지방세포 및 근육세포 분화 시 후성유전학 조절 기전 분석을 통한 대사 질환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37.5 | 1345282775 |
18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세포재생기술개발 | 160 | 1711044905 |
19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190 | 1711025751 |
20 |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 스크리닝을 이용한 혈액암 분화 조절 관련 후성학적 인자 발굴 및 분화 조절 메카니즘 연구 | 중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 | 1711117715 |
21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120 | 1711025615 |
22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100 | 1711019205 |
23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100 | 1711006149 |
24 | 후성유전체 조절에 의한 림프관 발생 기전 규명 | 건국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 | 1345354755 |
25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0 | 1345349538 |
26 | 배아 발생 과정에서의 후성유전적 조절에 대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규명 | 서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 | 1345341150 |
27 | 후성유전체-전사체 통합 기반 소아 스트레스에 의한 천식 발생 기전 규명 및 종단적 유전자 발현 패턴에 따른 예측지표 발굴 | 중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39.98 | 2710004664 |
28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240 | 1711025604 |
29 |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후성유전체 기반 표적항암제 저항성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0 | 1345374770 |
30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50 | 1345277534 |
31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21 | 1711181670 |
32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50 | 1345297014 |
33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5.77 | 2710011648 |
34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중배엽계 세포로의 분화조절 및 재생기능연구 | 190 | 1345169340 |
35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60 | 1345167238 |
36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50.31 | 9991000118 |
37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여성과학자지원 | 50.6 | 1711041660 |
38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61 | 1711155814 |
39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골수 줄기세포 가동화 기술 및 심근세포 분화 기작을 이용한 당뇨 및 당뇨성 혈관질환 치료의 POP 연구 | 200 | 1711001698 |
40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50.31 | 1711012708 |
41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인하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42 | 1711162650 |
42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2.5 | 1345365388 |
43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37.95 | 1711018884 |
44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37.5 | 1345323054 |
45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200 | 1711018594 |
46 | 후성유전체 인자 DOt1L이 혈관내피세포 발달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86 | 1711018298 |
47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200 | 1345121508 |
48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50 | 1711159511 |
49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41.67 | 1345286149 |
50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중배엽계 세포로의 분화조절 및 재생기능연구 | 190 | 1711000159 |
51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골수 줄기세포 가동화 기술 및 심근세포 분화 기작을 이용한 당뇨 및 당뇨성 혈관질환 치료의 POP 연구 | 200 | 1345181963 |
52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183 | 1345075587 |
53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 | 1345253687 |
54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5.38 | 2710013347 |
55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06706 |
56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7.09 | 1711169357 |
57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 인자의 조절 메커니즘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후성유전 조절에 의한 세포 기능 연구센터 | 700.82 | 1345188136 |
58 | 지방세포 및 근육세포 분화 시 후성유전학 조절 기전 분석을 통한 대사 질환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50 | 1345293702 |
59 | 배아 발생부터 성체 노화까지 줄기세포 전사체 변화 분석을 통한 배아 및 성체줄기세포 조절 공통 후성유전체 인자 발굴 및 기능 연구 | 울산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도약연구지원 | 200 | 1711031042 |
60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한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5.01 | 1711185003 |
61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60 | 1345157147 |
62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0 | 1345343422 |
63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전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150 | 1711133147 |
64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42557 |
65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61 | 1711185487 |
66 | 세포 독성 T 세포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RUNX3에 의한 후성유전 조절 기작 연구 | 연세대학교 | 2013 | 교육부 | 기초연구기반구축(교육부) | 세포 독성 T 세포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RUNX3에 의한 후성유전 조절 기작 연구 | 33 | 1711003177 |
67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98.01 | 1345312153 |
68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인하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 | 15.71 | 1711140387 |
69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200 | 1711005887 |
70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120 | 1711041177 |
71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190 | 1711019303 |
72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인하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42 | 1711185396 |
73 | 후성유전체 인자 DOt1L이 혈관내피세포 발달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86 | 1711025776 |
74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100 | 1345191706 |
75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2.5 | 1345313709 |
76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분화관련 후성유전체 연구 | 200 | 1345147625 |
77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여성과학자지원 | 50.6 | 1711027775 |
78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240 | 1711038415 |
79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질병관리본부 | 2021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기인 질병 치료 및 중재연구 | 230 | 1465034255 |
80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210 | 1345101305 |
81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55.13 | 1711139891 |
82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6.67 | 1345302479 |
83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질병관리본부 | 2019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기인 질병치료 및 중재연구 | 200 | 1465028841 |
84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 | 1345342385 |
85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 | 1711165389 |
86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2.91 | 1711172662 |
87 |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후성유전체 기반 표적항암제 저항성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20 | 2340001236 |
88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질병관리청 | 2020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기인 질병 치료 및 중재연구 | 230 | 1465030642 |
89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07 | 과학기술부 |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200 | 1355048572 |
90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교(의대)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 | 1345300556 |
91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한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5.95 | 1711136722 |
92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 | 1345351084 |
93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200 | 1711019042 |
94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7.09 | 1711186536 |
95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한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31 | 1711168306 |
96 | 후성유전체 기반 소아 정서발달과 소아 천식 발생 위험 연관성 규명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6.43 | 1711171677 |
97 | 내피세포 분화.발생과정에서 후성유전체조절 기전 연구 | 건국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95 | 1711084389 |
98 | 내피세포 분화.발생과정에서 후성유전체조절 기전 연구 | 건국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95 | 1711068060 |
(단위 : 백만달러)
검색일 : 2024-09-25 | 출처:Dimensions AI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연도 | 연구비(백만달러) | 과제수 |
---|---|---|
2024년 | 129.23 | 463건 |
2023년 | 135.04 | 561건 |
2022년 | 152.59 | 618건 |
2021년 | 154.28 | 632건 |
2020년 | 131.25 | 605건 |
2019년 | 124.73 | 540건 |
2018년 | 96.46 | 447건 |
2017년 | 69.46 | 340건 |
2016년 | 51.19 | 240건 |
2015년 | 34.56 | 148건 |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최근 등록일 : 2024-11-25 | 출처: NTIS에서 관련 연구과제 검색
관련 R&D 과제 정보   98 건
NO | 과제명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정부투자비(백만원) | 과제고유번호 | |
---|---|---|---|---|---|---|---|---|---|
1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1-2) | 180548000 | 180.55 | 2710000997 |
2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전남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150000000 | 150 | 1711109543 |
3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중배엽계 세포로의 분화조절 및 재생기능연구 | 190000000 | 190 | 1345157961 |
4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1-2) | 200608000 | 200.61 | 1711194319 |
5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60000000 | 60 | 1345123171 |
6 | 태반 매개 후성 유전학적 검증을 통한 임신 중 고농도 대기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소아 천식 발생 원인 규명 및 예측인자 발굴 | 인제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565000 | 57.56 | 1711172315 |
7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80548000 | 180.55 | 2710011225 |
8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여성과학자지원 | 50310000 | 50.31 | 1711024631 |
9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41667000 | 41.67 | 1345269889 |
10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기본연구지원사업 | 37495000 | 37.49 | 1345263355 |
11 | 신경 발달 과정에서 Phf21b에 의한 후성 유전체 리프로그래밍 조절 기작의 시스템 생물학적 연구 | 포항공과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외연수) | 34000000 | 34 | 1345248911 |
12 | 한국 청소년들의 지능 및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및 후성유전적, 환경적 요인 발굴 사업: 쌍둥이 연구 | 목포대학교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 | 한국 청소년들의 지능 및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및 후성유전적, 환경적 요인 발굴 사업: 쌍둥이 연구 | 57480000 | 57.48 | 1345159115 |
13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 인자의 조절 메커니즘 연구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체 분석 연구 | 421060000 | 421.06 | 1345164359 |
14 | 배아 발생부터 성체 노화까지 줄기세포 전사체 변화 분석을 통한 배아 및 성체줄기세포 조절 공통 후성유전체 인자 발굴 및 기능 연구 | 울산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핵심개인연구 | 200000000 | 200 | 1711043549 |
15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세포재생기술개발 | 160000000 | 160 | 1711028515 |
16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200000000 | 200 | 1345182395 |
17 | 지방세포 및 근육세포 분화 시 후성유전학 조절 기전 분석을 통한 대사 질환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37500000 | 37.5 | 1345282775 |
18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세포재생기술개발 | 160000000 | 160 | 1711044905 |
19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190000000 | 190 | 1711025751 |
20 |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 스크리닝을 이용한 혈액암 분화 조절 관련 후성학적 인자 발굴 및 분화 조절 메카니즘 연구 | 중앙대학교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50000000 | 50 | 1711117715 |
21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120000000 | 120 | 1711025615 |
22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100000000 | 100 | 1711019205 |
23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100000000 | 100 | 1711006149 |
24 | 후성유전체 조절에 의한 림프관 발생 기전 규명 | 건국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20000000 | 20 | 1345354755 |
25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0000000 | 50 | 1345349538 |
26 | 배아 발생 과정에서의 후성유전적 조절에 대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규명 | 서울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45000000 | 45 | 1345341150 |
27 | 후성유전체-전사체 통합 기반 소아 스트레스에 의한 천식 발생 기전 규명 및 종단적 유전자 발현 패턴에 따른 예측지표 발굴 | 중앙대학교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우수연구-신진연구/우수신진 | 239981000 | 239.98 | 2710004664 |
28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240000000 | 240 | 1711025604 |
29 |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후성유전체 기반 표적항암제 저항성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10000000 | 10 | 1345374770 |
30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49996000 | 50 | 1345277534 |
31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7209000 | 57.21 | 1711181670 |
32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49996000 | 50 | 1345297014 |
33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5768000 | 45.77 | 2710011648 |
34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중배엽계 세포로의 분화조절 및 재생기능연구 | 190000000 | 190 | 1345169340 |
35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60000000 | 60 | 1345167238 |
36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50310000 | 50.31 | 9991000118 |
37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여성과학자지원 | 50602000 | 50.6 | 1711041660 |
38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608000 | 200.61 | 1711155814 |
39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골수 줄기세포 가동화 기술 및 심근세포 분화 기작을 이용한 당뇨 및 당뇨성 혈관질환 치료의 POP 연구 | 200000000 | 200 | 1711001698 |
40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50310000 | 50.31 | 1711012708 |
41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인하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421000 | 31.42 | 1711162650 |
42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12500000 | 12.5 | 1345365388 |
43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37951000 | 37.95 | 1711018884 |
44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37500000 | 37.5 | 1345323054 |
45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200000000 | 200 | 1711018594 |
46 | 후성유전체 인자 DOt1L이 혈관내피세포 발달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86000000 | 86 | 1711018298 |
47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200000000 | 200 | 1345121508 |
48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전남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150000000 | 150 | 1711159511 |
49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41667000 | 41.67 | 1345286149 |
50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중배엽계 세포로의 분화조절 및 재생기능연구 | 190000000 | 190 | 1711000159 |
51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서울대학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골수 줄기세포 가동화 기술 및 심근세포 분화 기작을 이용한 당뇨 및 당뇨성 혈관질환 치료의 POP 연구 | 200000000 | 200 | 1345181963 |
52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183000000 | 183 | 1345075587 |
53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기본연구지원 | 50000000 | 50 | 1345253687 |
54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05379000 | 105.38 | 2710013347 |
55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06706 |
56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7087000 | 117.09 | 1711169357 |
57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 인자의 조절 메커니즘 연구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후성유전 조절에 의한 세포 기능 연구센터 | 700820000 | 700.82 | 1345188136 |
58 | 지방세포 및 근육세포 분화 시 후성유전학 조절 기전 분석을 통한 대사 질환 연구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5년) | 50000000 | 50 | 1345293702 |
59 | 배아 발생부터 성체 노화까지 줄기세포 전사체 변화 분석을 통한 배아 및 성체줄기세포 조절 공통 후성유전체 인자 발굴 및 기능 연구 | 울산대학교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도약연구지원 | 200000000 | 200 | 1711031042 |
60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한림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5008000 | 55.01 | 1711185003 |
61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60000000 | 60 | 1345157147 |
62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경북대학교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50000000 | 50 | 1345343422 |
63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전남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150000000 | 150 | 1711133147 |
64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42557 |
65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608000 | 200.61 | 1711185487 |
66 | 세포 독성 T 세포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RUNX3에 의한 후성유전 조절 기작 연구 | 연세대학교 | 2013 | 교육부 | 기초연구기반구축(교육부) | 세포 독성 T 세포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RUNX3에 의한 후성유전 조절 기작 연구 | 33000000 | 33 | 1711003177 |
67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98012000 | 98.01 | 1345312153 |
68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인하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생애 첫 연구 | 15710000 | 15.71 | 1711140387 |
69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200000000 | 200 | 1711005887 |
70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120000000 | 120 | 1711041177 |
71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연세대학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190000000 | 190 | 1711019303 |
72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인하대학교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생애 첫 연구 | 31421000 | 31.42 | 1711185396 |
73 | 후성유전체 인자 DOt1L이 혈관내피세포 발달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86000000 | 86 | 1711025776 |
74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한국과학기술원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학을 이용한 줄기세포 제어기술 개발 | 100000000 | 100 | 1345191706 |
75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충남대학교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2498000 | 12.5 | 1345313709 |
76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의 분화관련 후성유전체 연구 | 200000000 | 200 | 1345147625 |
77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여성과학자지원 | 50602000 | 50.6 | 1711027775 |
78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 | 240000000 | 240 | 1711038415 |
79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질병관리본부 | 2021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기인 질병 치료 및 중재연구 | 230000000 | 230 | 1465034255 |
80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210000000 | 210 | 1345101305 |
81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유형1-1)중견연구 | 55128000 | 55.13 | 1711139891 |
82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서울대학교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기본연구(1년~3년) | 16666000 | 16.67 | 1345302479 |
83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질병관리본부 | 2019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기인 질병치료 및 중재연구 | 200000000 | 200 | 1465028841 |
84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50000000 | 50 | 1345342385 |
85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성균관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2)중견연구 | 200000000 | 200 | 1711165389 |
86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42907000 | 42.91 | 1711172662 |
87 |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후성유전체 기반 표적항암제 저항성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울산과학기술원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20000000 | 20 | 2340001236 |
88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질병관리청 | 2020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기인 질병 치료 및 중재연구 | 230000000 | 230 | 1465030642 |
89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07 | 과학기술부 |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200000000 | 200 | 1355048572 |
90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교(의대)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37500000 | 37.5 | 1345300556 |
91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한림대학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기본연구 | 45955000 | 45.95 | 1711136722 |
92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충남대학교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12500000 | 12.5 | 1345351084 |
93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한국과학기술원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연구사업 | 200000000 | 200 | 1711019042 |
94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형1-1)중견연구 | 117087000 | 117.09 | 1711186536 |
95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한림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0310000 | 50.31 | 1711168306 |
96 | 후성유전체 기반 소아 정서발달과 소아 천식 발생 위험 연관성 규명 | 중앙대학교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기본연구 | 56433000 | 56.43 | 1711171677 |
97 | 내피세포 분화.발생과정에서 후성유전체조절 기전 연구 | 건국대학교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95000000 | 95 | 1711084389 |
98 | 내피세포 분화.발생과정에서 후성유전체조절 기전 연구 | 건국대학교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95000000 | 95 | 1711068060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논문성과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논문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논문 검색
검색된 논문이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NTIS 관련 연구과제의 특허성과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관련 R&D 과제 특허 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관련 글로벌 특허 성과
(단위 : 건)
최근 등록일 : | 출처:ScienceON에서 관련 특허 검색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출처 : NTIS 관련 연구과제로 ZEUS 등록 연구장비 검색
관련 장비/분석 서비스
발전흐름
관련 R&D 과제 정보 98 건
과제수행연도 | 부처명 | 사업명 | 과제명 | 과제고유번호 | 총연구비 합계(원) | 연구개발단계 | 연구수행주체 | 과제수행기관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논문 | 특허 |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2710000997 | 18054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1711109543 | 1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1345157961 | 19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1711194319 | 20060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0건 | 0건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1345123171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태반 매개 후성 유전학적 검증을 통한 임신 중 고농도 대기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소아 천식 발생 원인 규명 및 예측인자 발굴 | 1711172315 | 57565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제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2710011225 | 18054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1711024631 | 5031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1345269889 | 4166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7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1345263355 | 37495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6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신경 발달 과정에서 Phf21b에 의한 후성 유전체 리프로그래밍 조절 기작의 시스템 생물학적 연구 | 1345248911 | 34000000 | 기초연구 | 기타 | 포항공과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 | 한국 청소년들의 지능 및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및 후성유전적, 환경적 요인 발굴 사업: 쌍둥이 연구 | 1345159115 | 57480000 | 기타 | 대학 | 목포대학교 |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 | 학제간융합연구 | 학제간융합연구사업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 인자의 조절 메커니즘 연구 | 1345164359 | 42106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이공학분야) | 후성 유전 조절에 의한 세포기능 연구센터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배아 발생부터 성체 노화까지 줄기세포 전사체 변화 분석을 통한 배아 및 성체줄기세포 조절 공통 후성유전체 인자 발굴 및 기능 연구 | 1711043549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지원사업 | 핵심개인연구(성과확산)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1711028515 | 1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1345182395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방세포 및 근육세포 분화 시 후성유전학 조절 기전 분석을 통한 대사 질환 연구 | 1345282775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1711044905 | 1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1711025751 | 19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 스크리닝을 이용한 혈액암 분화 조절 관련 후성학적 인자 발굴 및 분화 조절 메카니즘 연구 | 1711117715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1711025615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1711019205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1711006149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후성유전체 조절에 의한 림프관 발생 기전 규명 | 1345354755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1345349538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배아 발생 과정에서의 후성유전적 조절에 대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규명 | 1345341150 | 4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후성유전체-전사체 통합 기반 소아 스트레스에 의한 천식 발생 기전 규명 및 종단적 유전자 발현 패턴에 따른 예측지표 발굴 | 2710004664 | 239981000 | 응용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0건 | 0건 |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1711025604 | 2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후성유전체 기반 표적항암제 저항성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1345374770 | 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1345277534 | 49996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1711181670 | 57209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1345297014 | 49996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2710011648 | 45768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1345169340 | 19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1345167238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유형I)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일반연구자지원(미래부)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9991000118 | 5031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여성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개인연구지원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1711041660 | 5060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1711155814 | 20060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1711001698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신경세포 분화 시 알코올에 의해 변화하는 후성유전 조절인자의 기능 연구 | 1711012708 | 5031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여성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1711162650 | 31421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23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1345365388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1711018884 | 37951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여성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1345323054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1711018594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 인자 DOt1L이 혈관내피세포 발달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711018298 | 8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0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1345121508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미래기반기술개발(차세대바이오원천분야)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1711159511 | 15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전남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8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1345286149 | 41667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1711000159 | 19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배아줄기세포의 심근분화에서 후성유전조절자 ASCOM의 역할 규명 | 1345181963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세포재생기술개발사업 | 0건 | 0건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연구 | 1345075587 | 183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6 | 교육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1345253687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2710013347 | 105379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1711106706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1711169357 | 117087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선도연구센터지원 | 세포 분화 연동 후성유전 인자의 조절 메커니즘 연구 | 1345188136 | 70082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이공학분야(S/ERC) | 후성 유전 조절에 의한 세포기능 연구센터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지방세포 및 근육세포 분화 시 후성유전학 조절 기전 분석을 통한 대사 질환 연구 | 1345293702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중견연구자지원 | 배아 발생부터 성체 노화까지 줄기세포 전사체 변화 분석을 통한 배아 및 성체줄기세포 조절 공통 후성유전체 인자 발굴 및 기능 연구 | 1711031042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대학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 | 도약연구지원사업(전략)(성과확산)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1711185003 | 55008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일반연구자지원 | 신경 발달시기의 후성 유전체학을 통한 풍요로운 환경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 1345157147 | 6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후성유전체분석기반 미세먼지 유발 폐암발생 기전 및 생체지표 발굴 연구 | 1345343422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경북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실내공기 오염 (미세먼지)에 따른 반려견에서의 아토피부염 발생과 후성 유전자 분석연구 | 1711133147 | 15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전남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1711142557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유방암세포의 표현형 전환과 발달 유전자 리프로그래밍의 후성유전적 조절자 연구 | 1711185487 | 200608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13 | 교육부 | 기초연구기반구축(교육부) | 세포 독성 T 세포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RUNX3에 의한 후성유전 조절 기작 연구 | 1711003177 | 33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1345312153 | 98012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1711140387 | 15710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13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1711005887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1711041177 | 1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제대혈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혈관분화관련 후성유전체 및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 | 1711019303 | 190000000 | 응용연구 | 대학 | 연세대학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중력 변화에 따라 인간 체세포에 발생하는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변화 양상 탐색 | 1711185396 | 31421000 | 기초연구 | 대학 | 인하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생애 첫 연구 | 생애 첫 연구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체 인자 DOt1L이 혈관내피세포 발달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711025776 | 86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2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줄기세포 유지/분화 후성유전적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구축 | 1345191706 | 1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0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 탐색 | 1345313709 | 12498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1345147625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15 | 미래창조과학부 | 신진연구자지원 | 후성유전자 조절에 따른 골분화 및 조혈모세포 지지능에 특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개발과 MSC 유래 exosome 및 miR의 활용성 연구 | 1711027775 | 50602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구)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구)여성과학자지원사업 | 0건 | 0건 |
2016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1711038415 | 24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1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1465034255 | 230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질병관리본부 | 0건 | 0건 |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미래기반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지와 분화조절 기전 연구 | 1345101305 | 21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1711139891 | 55128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19 | 교육부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벼의 발달, 개화 및 불량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조절하는 CHD3/Mi-2 크로마틴 리모델링 인자의 후성유전적 기작 연구 | 1345302479 | 16666000 | 기초연구 | 대학 | 서울대학교 |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지원사업 | 기본연구(1년~3년) | 0건 | 0건 |
2019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1465028841 | 200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질병관리본부 | 보건학 | 기타 보건학 관련기술 | 기타 보건학 관련기술 | 0건 | 0건 |
2021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1345342385 | 5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Ebp1에 의한 소뇌형성/기능 발달의 분자적 조절기전과 후성유전 조절 연구 | 1711165389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성균관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사람 말초혈액의 T 세포 분화 단계를 식별하는 후성유전 표지자 개발 | 1711172662 | 42907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4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후성유전체 기반 표적항암제 저항성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2340001236 | 2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울산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20 | 보건복지부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발생 및 악화 후성유전 조절기전 연구 | 1465030642 | 230000000 | 기초연구 | 국공립연구소 | 질병관리청 | 보건학 | 기타 보건학 관련기술 | 기타 보건학 관련기술 | 0건 | 0건 |
2007 | 과학기술부 |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후성유전적 조절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연구 | 1355048572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0건 | 0건 | |||
2019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1345300556 | 37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의대)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1711136722 | 45955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림대학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2 | 교육부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동맥경화환자의 말초혈액 염증세포의 아형 별로 발생하는 global 및 동맥경화 관련 후성유전적 remodeling 관찰 | 1345351084 | 12500000 | 기초연구 | 대학 | 충남대학교 |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0건 | 0건 |
2014 | 미래창조과학부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후성유전적 조절에 의한 조혈모세포 유지,분화,기능 연구 | 1711019042 | 200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국과학기술원 | 원천기술개발사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줄기세포연구사업 | 0건 | 0건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공여세포 유래 후성유전체 메모리 제거를 통한 임상수준 직접분화교차세포 생산 기술개발 | 1711186536 | 117087000 | 기초연구 | 대학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뇌동맥류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학 분석 및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기전분석 | 1711168306 | 50310000 | 기초연구 | 대학 | 한림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후성유전체 기반 소아 정서발달과 소아 천식 발생 위험 연관성 규명 | 1711171677 | 56433000 | 기초연구 | 대학 | 중앙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본연구 | 기본연구 | 0건 | 0건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내피세포 분화.발생과정에서 후성유전체조절 기전 연구 | 1711084389 | 9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201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내피세포 분화.발생과정에서 후성유전체조절 기전 연구 | 1711068060 | 95000000 | 기초연구 | 대학 | 건국대학교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1.5억초과~3억이하) | 0건 | 0건 |
관련 R&D 과제 논문정보
건
NO | 논문명 | 저널명 | 저자 | 발행년도 |
---|---|---|---|---|
관련 R&D 과제 특허성과
건
NO | 특허명 | 출원기관 | 출원국가 | 출원일자 |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
특허명:
출원번호 | 출원날짜 | 초록 | IPC코드 | 공개일자 | 공개번호 | 출원일자 | 공고일자 | 공고번호 | 등록일자 | 등록번호 | 등록상태 |
---|---|---|---|---|---|---|---|---|---|---|---|
검색된 특허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