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육지 식물 유래 다당류의 구조와 생리활성의 상관관계 및 기전 연구
|
1711101494 |
2019-12-31 ~ 2022-12-30 |
2019 |
단위동물에 있어서의 나노기법 활용 항생제 대체 유가공 기반물질 발굴
|
1711099122 |
2019-09-15 ~ 2023-12-31 |
2019 |
자가면역성질환에서 시각기능 이상과 치료전략
|
1711098148 |
2019-09-01 ~ 2024-02-29 |
2019 |
VHSV 감염시 생체 방어기전에 작용하는 nlxr1의 기능 연구
|
1711098146 |
2019-09-01 ~ 2022-02-28 |
2019 |
방사선 내성 폐암세포에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암전이 억제 효능과 기전 연구
|
1711097085 |
2019-06-01 ~ 2020-05-31 |
2019 |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수산어류질병 감염모델 구축
|
1711096895 |
2019-06-01 ~ 2020-05-31 |
2019 |
신경전달물질로 유발된 콩팥섬유화 발병기전 연구
|
1711096310 |
2019-06-01 ~ 2022-02-28 |
2019 |
GREM1-양성 암연관 섬유모세포가 침윤성 대장암의 성장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711096233 |
2019-06-01 ~ 2021-02-28 |
2019 |
제주 메밀 품종 육종을 위한 목표형질을 가진 유전자원 선발
|
1711096186 |
2019-06-01 ~ 2022-02-28 |
2019 |
대기 라돈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미세먼지 유입경로 추적자 연구
|
1711096155 |
2019-06-01 ~ 2022-02-28 |
2019 |
좌골신경 손상 후 골수간질세포 이식과 운동 처치가 신경 재생 단계별 축삭 재성장 및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근비대 관련 단백질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효과
|
1711096102 |
2019-06-01 ~ 2022-02-28 |
2019 |
제주산 흰점박이꽃무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천연유화제 및 나노콜로이드 개발
|
1711095735 |
2019-06-01 ~ 2022-02-28 |
2019 |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3의 산화적 스트레스 손상억제 규명
|
1711095697 |
2019-06-01 ~ 2022-02-28 |
2019 |
제주도 연안어장에 있어서 오분자기의 서식기구 개발에 관한 연구
|
1711095687 |
2019-06-01 ~ 2020-05-31 |
2019 |
췌장암 억제 파이토케미칼 발굴 및 기전연구
|
1711095310 |
2019-06-01 ~ 2022-02-28 |
2019 |
좌골신경 손상 후 골수간질세포 이식과 트레드밀 운동이 시간에 따른 척수와 감각신경절 뉴런의 활성화 및 슈반세포의 변화에 미치는 치료적 효과 규명
|
1711094973 |
2019-06-01 ~ 2022-02-28 |
2019 |
소아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에서 점막면역에 관여하는 α4β7 부착 T 세포의 분포와 역할 차이 규명
|
1711094667 |
2019-06-01 ~ 2022-02-28 |
2019 |
동물성 지방 기반 에멀션의 산화안정성 개선 및 기능성 향상 연구
|
1711094555 |
2019-06-01 ~ 2022-02-28 |
2019 |
Toll-like Receptor 13의 대장암 발생 억제 기능
|
1711091669 |
2019-03-01 ~ 2022-02-28 |
2019 |
식물 연령 노화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관여하는 자연변이 유전자 발굴 및 소진화 연구
|
1711090391 |
2018-09-01 ~ 2021-08-31 |
2019 |
마유(horse fat) 지방질 산화 기작 및 산화안정성 확보 연구
|
1711090094 |
2017-03-01 ~ 2020-02-29 |
2019 |
해양미생물 유래 종양혈관신생 저해제 개발
|
1711089879 |
2018-03-01 ~ 2021-02-28 |
2019 |
콩팥섬유화 발생에서 세포특이적 CGRP-RAMP1 axis의 조절기전 규명
|
1711089862 |
2016-06-01 ~ 2019-05-31 |
2019 |
미토콘드리아 DNA 전사인자인 TFAM이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이를 조절할 기능성 식품 탐색
|
1711089735 |
2018-03-01 ~ 2021-02-28 |
2019 |
생체조직공학을 이용한 말의 골절치료법 개발
|
1711089391 |
2017-03-01 ~ 2020-02-29 |
2019 |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기전 규명 및 표적분자 발굴을 통한 아토피피부염의 새로운 요법 제시
|
1711089271 |
2016-06-01 ~ 2019-05-31 |
2019 |
비교유전학에 의한 Tenacibaculum maritimum의 핵심 병원 인자 연구 및 어류활주세균증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약독화 생백신 개발
|
1711089219 |
2016-06-01 ~ 2019-05-31 |
2019 |
빅밸리해마(Hippocampus abdominalis)에 대한 항균성 면역기전 연구
|
1711089202 |
2017-06-01 ~ 2020-02-29 |
2019 |
생물학적 나노 커큐민 사료 첨가제 개발을 통한 제주흑돼지 생산성 및 분뇨냄새 저감 바이오 나노 기술 개발
|
1711089086 |
2017-03-01 ~ 2022-02-28 |
2019 |
초강력 ESWL 충격파에 의한 캐비테이션 및 음파발광의 특성 평가
|
1711088597 |
2017-03-01 ~ 2022-02-28 |
2019 |
폐섬유화 유도기전에서 특정 NOX와 Sirt1 활성화 조절기전에 의한 TWIST1-YB1역할규명 및 치료표적 물질로서의 가능성 탐색
|
1711088111 |
2017-03-01 ~ 2020-02-29 |
2019 |
대장암에서 암줄기세포 표지자를 이용한 암 줄기세포 집단의 동력한 연구
|
1711088066 |
2017-03-01 ~ 2020-02-29 |
2019 |
수산물 단백질과 축산물 단백질 인공효소 가수분해물의 동물모델에서 항고혈압 활성과 mTOR/AKT 메커니즘 활성화에 따른 근력손실 예방에 대한 비교 및 우수성 구명
|
1711087973 |
2019-03-01 ~ 2022-02-28 |
2019 |
성호르몬 억제 물질을 이용한 해양 어류의 성 성숙 제어 기술 개발
|
1711087161 |
2017-03-01 ~ 2020-02-29 |
2019 |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대장 오가노이드 라이브러리 구축과 이를 이용한 대장암 발병 위험성 평가를 위한 진단 마커 개발
|
1711086687 |
2019-03-01 ~ 2020-02-29 |
2019 |
유전체 및 군집구조를 활용한 난배양성 아질산산화세균의 미세다양성과 생태생리학적 기능 연구
|
1711086543 |
2018-03-01 ~ 2021-02-28 |
2019 |
암줄기 세포 특이적 염증신호를 표적하는 식물성 향기화합물을 이용한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연구
|
1711086386 |
2019-03-01 ~ 2020-02-29 |
2019 |
코점막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와 알기나아제 I,II의 상호 균형에 따른 알레르기 염증반응 조절
|
1711086332 |
2018-03-01 ~ 2021-02-28 |
2019 |
닭의 번식효율, 항병성 그리고 성장율 증진을 위한 플라즈마 기술 개발
|
1711086061 |
2019-03-01 ~ 2019-03-24 |
2019 |
항산화 조절인자로서 RUNX3의 새로운 역할과 후성 유전학적 조절 규명
|
1711085937 |
2016-06-01 ~ 2019-05-31 |
2019 |
피부손상 제어 네트워크 연구실
|
1711085919 |
2017-06-01 ~ 2020-02-29 |
2019 |
양식넙치의 여윔병 발병환경 조사 및 치료법 개발
|
1711085896 |
2017-03-01 ~ 2020-02-29 |
2019 |
넙치 수정란을 이용한 유전자 미세주입법 및 배아줄기세포 배양기술 구축
|
1711085787 |
2016-06-01 ~ 2019-05-31 |
2019 |
신경계 자가면역질환에서 신규 조절 인자로서의 CD244 역할 구명
|
1711085060 |
2017-03-01 ~ 2020-02-29 |
2019 |
뇌혈관 질환 진단과 예측을 위한 3차원 경동맥 분지 박동혈류의 초음파/자기공명 융합 영상과 수치 해석
|
1711084320 |
2018-03-01 ~ 2023-02-28 |
2019 |
자가면역성 신경염증 모델에서 발생하는 후각 기능 장애와 후각 기능 보호 기전 연구
|
1711084073 |
2017-03-01 ~ 2020-02-29 |
2019 |
제주연안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질병세균 억제 기능성 물질 탐색 및 세균 군집분석
|
1711084031 |
2017-03-01 ~ 2020-02-29 |
2019 |
유비퀴틴 신호전달조절에 의한 파이토케미칼의 항암 기전 규명
|
1711083965 |
2016-06-01 ~ 2019-05-31 |
2019 |
해수 수온 상승에 따른 연안 유용 연체동물에 출현하는 토착 및 외래 유입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탐색
|
1711083641 |
2017-03-01 ~ 2020-02-29 |
2019 |
발효어유를 이용한 탈모방지 소재개발 인력양성
|
1711082897 |
2016-06-01 ~ 2019-05-31 |
2019 |
해양유래 미생물을 이용한 생리적·면역 활성이 우수한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
|
1711082871 |
2016-06-01 ~ 2019-05-31 |
2019 |
장내미생물 변화 모니터링 통한 프로바이오틱스 효과 평가 시스템개발
|
1711082617 |
2019-01-01 ~ 2021-06-30 |
2019 |
지카 바이러스의 숙주세포 상호작용 및 질병 연관성 연구
|
1711082016 |
2016-04-01 ~ 2019-03-31 |
2019 |
식물 연령 노화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관여하는 자연변이 유전자 발굴 및 소진화 연구
|
1711077352 |
2018-09-01 ~ 2021-08-31 |
2018 |
유전체 및 군집구조를 활용한 난배양성 아질산산화세균의 미세다양성과 생태생리학적 기능 연구
|
1711074951 |
2018-03-01 ~ 2021-02-28 |
2018 |
제주 해양생물 자원을 이용한 Fibroblast growth factor 21 경로를 통한 신규 대사성 질환 억제 경로 규명 및 치료제 개발
|
1711074822 |
2018-03-01 ~ 2021-02-28 |
2018 |
산화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항암제 내성 기전 규명
|
1711073584 |
2017-05-01 ~ 2019-04-30 |
2018 |
발효어유를 이용한 탈모방지 소재개발 인력양성
|
1711073568 |
2016-06-01 ~ 2019-05-31 |
2018 |
해양유래 미생물을 이용한 생리적·면역 활성이 우수한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
|
1711073331 |
2016-06-01 ~ 2019-05-31 |
2018 |
코점막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와 알기나아제 I,II의 상호 균형에 따른 알레르기 염증반응 조절
|
1711072920 |
2018-03-01 ~ 2021-02-28 |
2018 |
비교유전학에 의한 Tenacibaculum maritimum의 핵심 병원 인자 연구 및 어류활주세균증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약독화 생백신 개발
|
1711072601 |
2016-06-01 ~ 2019-05-31 |
2018 |
콩팥섬유화 발생에서 세포특이적 CGRP-RAMP1 axis의 조절기전 규명
|
1711072407 |
2016-06-01 ~ 2019-05-31 |
2018 |
넙치 수정란을 이용한 유전자 미세주입법 및 배아줄기세포 배양기술 구축
|
1711072266 |
2016-06-01 ~ 2019-05-31 |
2018 |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기전 규명 및 표적분자 발굴을 통한 아토피피부염의 새로운 요법 제시
|
1711072046 |
2016-06-01 ~ 2019-05-31 |
2018 |
항산화 조절인자로서 RUNX3의 새로운 역할과 후성 유전학적 조절 규명
|
1711071479 |
2016-06-01 ~ 2019-05-31 |
2018 |
미토콘드리아 DNA 전사인자인 TFAM이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이를 조절할 기능성 식품 탐색
|
1711071170 |
2018-03-01 ~ 2021-02-28 |
2018 |
유비퀴틴 신호전달조절에 의한 파이토케미칼의 항암 기전 규명
|
1711071066 |
2016-06-01 ~ 2019-05-31 |
2018 |
제주 미이용 및 해양자원 단백질 유래 신규 펩타이드의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ARB) 및 칼슘채널(CCB)을 통한 심혈관 질환 개선 및 치료에 관한 연구
|
1711070212 |
2017-03-01 ~ 2020-02-29 |
2018 |
제주연안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질병세균 억제 기능성 물질 탐색 및 세균 군집분석
|
1711069636 |
2017-03-01 ~ 2020-02-29 |
2018 |
생체조직공학을 이용한 말의 골절치료법 개발
|
1711069410 |
2017-03-01 ~ 2020-02-29 |
2018 |
초강력 ESWL 충격파에 의한 캐비테이션 및 음파발광의 특성 평가
|
1711068786 |
2017-03-01 ~ 2022-02-28 |
2018 |
양식넙치의 여윔병 발병환경 조사 및 치료법 개발
|
1711068426 |
2017-03-01 ~ 2020-02-29 |
2018 |
자가면역성 신경염증 모델에서 발생하는 후각 기능 장애와 후각 기능 보호 기전 연구
|
1711068409 |
2017-03-01 ~ 2020-02-29 |
2018 |
신경계 자가면역질환에서 신규 조절 인자로서의 CD244 역할 구명
|
1711068103 |
2017-03-01 ~ 2020-02-29 |
2018 |
생물학적 나노 커큐민 사료 첨가제 개발을 통한 제주흑돼지 생산성 및 분뇨냄새 저감 바이오 나노 기술 개발
|
1711068043 |
2017-03-01 ~ 2022-02-28 |
2018 |
자연계 존재하는 옥시리핀 화합물을 이용한 암줄기세포 억제 및 조절연구
|
1711067802 |
2017-03-01 ~ 2019-02-28 |
2018 |
빅밸리해마(Hippocampus abdominalis)에 대한 항균성 면역기전 연구
|
1711067801 |
2017-06-01 ~ 2020-02-29 |
2018 |
성호르몬 억제 물질을 이용한 해양 어류의 성 성숙 제어 기술 개발
|
1711067771 |
2017-03-01 ~ 2020-02-29 |
2018 |
각종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로 인해 유발되는 어류 질병에 대한 박테리오파아지 치료법 개발
|
1711067749 |
2017-03-01 ~ 2020-02-29 |
2018 |
폐섬유화 유도기전에서 특정 NOX와 Sirt1 활성화 조절기전에 의한 TWIST1-YB1역할규명 및 치료표적 물질로서의 가능성 탐색
|
1711067140 |
2017-03-01 ~ 2020-02-29 |
2018 |
장염 연관 대장암 모델을 이용한 olfactomedin ·4(olfm4)의 항염, 항암 이중 억제 기능 규명
|
1711067070 |
2017-03-01 ~ 2019-02-28 |
2018 |
마유(horse fat) 지방질 산화 기작 및 산화안정성 확보 연구
|
1711066837 |
2017-03-01 ~ 2020-02-29 |
2018 |
대장암에서 암줄기세포 표지자를 이용한 암 줄기세포 집단의 동력한 연구
|
1711066412 |
2017-03-01 ~ 2020-02-29 |
2018 |
해수 수온 상승에 따른 연안 유용 연체동물에 출현하는 토착 및 외래 유입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탐색
|
1711066043 |
2017-03-01 ~ 2020-02-29 |
2018 |
피부손상 제어 네트워크 연구실
|
1711065932 |
2017-06-01 ~ 2020-02-29 |
2018 |
뇌혈관 질환 진단과 예측을 위한 3차원 경동맥 분지 박동혈류의 초음파/자기공명 융합 영상과 수치 해석
|
1711065656 |
2018-03-01 ~ 2023-02-28 |
2018 |
장내미생물 변화 모니터링 통한 프로바이오틱스 효과 평가 시스템개발
|
1711064811 |
2016-07-01 ~ 2021-06-30 |
2018 |
지카 바이러스의 숙주세포 상호작용 및 질병 연관성 연구
|
1711064714 |
2016-04-01 ~ 2019-03-31 |
2018 |
국민식생활 밀착형 국가표준식품성분 DB를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E, K 분석
|
1395062347 |
2019-04-01 ~ 2022-12-31 |
2019 |
제주지역 소면적 작물 해충 분류 동정 및 발생 조사
|
1395062266 |
2019-01-01 ~ 2023-12-31 |
2019 |
표현체 이용 콩 내건성 분석 모델 개발
|
1395061443 |
2019-03-01 ~ 2020-12-31 |
2019 |
(제16협동과제)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 및 그룹약효 기준안 설정
|
1395061301 |
2019-01-01 ~ 2019-12-31 |
2019 |
제주산 흑돼지, 육제품, 부산물의 주요국 수출전략 수립
|
1395060082 |
2018-01-01 ~ 2020-12-31 |
2019 |
차나무 핵심분리집단 이용 유전정보 분석
|
1395060061 |
2016-01-01 ~ 2020-12-31 |
2019 |
순환식 수경재배를 위한 EC 기반 양액 균형 제어시스템 개발
|
1395060052 |
2018-03-01 ~ 2020-12-31 |
2019 |
GMO 인식개선을 위한 대국민 수용도 개선전략
|
1395059653 |
2019-01-01 ~ 2019-12-31 |
2019 |
교배종 제초제내성 GM잔디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
1395059572 |
2018-02-01 ~ 2020-12-31 |
2019 |
교배종 제초제내성 GM잔디의 분자생물 및 유전학적 특성평가
|
1395059525 |
2018-02-01 ~ 2020-12-31 |
2019 |
교배종 제초제내성 GM잔디 육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
1395059450 |
2018-02-01 ~ 2020-12-31 |
2019 |
참다래 신육성 품종 제주지역 재배 적응성 평가
|
1395058986 |
2015-01-01 ~ 2019-12-31 |
2019 |
페로몬 등 활용 자동예찰장치 현장적용 및 수집정보 활용기술 개발
|
1395058814 |
2018-01-01 ~ 2020-12-31 |
2019 |
영양유전체 기반 성장단계별 제주재래흑돼지 맞춤형 개량기술 개발
|
1395058662 |
2018-01-01 ~ 2020-12-31 |
2019 |
치마버섯 유래 베타글루칸의 장내유익균 증진 기능성과 장 손상 억제 기능성 입증을 위한 독성 시험 및 전임상 기전연구
|
1395058465 |
2018-01-01 ~ 2020-12-31 |
2019 |
유전체정보를 이용한 제주마 선발 기술 개발
|
1395058458 |
2018-01-01 ~ 2020-12-31 |
2019 |
UAE 농업 일반 현황과 농업 기반에 대한 조사 및 분석연구
|
1395057861 |
2018-09-01 ~ 2019-02-28 |
2018 |
감귤 바이오겔을 포함하는 풋귤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화(피부자극완화) 연구
|
1395057386 |
2018-03-01 ~ 2018-12-31 |
2018 |
순환식 수경재배를 위한 EC 기반 양액 균형 제어시스템 개발
|
1395057175 |
2018-03-01 ~ 2020-12-31 |
2018 |
외래 도입 농작물의 환경영향평가 국내외 사례 및 동향분석 연구
|
1395056988 |
2018-03-01 ~ 2018-12-31 |
2018 |
차나무 핵심분리집단 이용 유전정보 분석
|
1395056970 |
2016-01-01 ~ 2020-12-31 |
2018 |
(제10협동과제)소면적작물 농약직권등록시험 약효약해 시험
|
1395056813 |
2018-02-01 ~ 2018-12-31 |
2018 |
참다래 신육성 품종 제주지역 재배 적응성 평가
|
1395056763 |
2015-01-01 ~ 2019-12-31 |
2018 |
GMO 재배의 안전관리에 대한 사회적 고려사항 및 인식 개선 프로그램 개발
|
1395056491 |
2018-01-01 ~ 2018-12-31 |
2018 |
교배종 제초제내성 GM잔디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
1395056072 |
2018-02-01 ~ 2020-12-31 |
2018 |
교배종 제초제내성 GM잔디의 분자생물 및 유전학적 특성평가
|
1395056068 |
2018-02-01 ~ 2020-12-31 |
2018 |
교배종 제초제내성 GM잔디 육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
1395056057 |
2018-02-01 ~ 2020-12-31 |
2018 |
남방형 우수목초 선발 및 경주마 방목 이용기술 개발
|
1395056018 |
2014-02-01 ~ 2018-12-31 |
2018 |
영양유전체 기반 성장단계별 제주재래흑돼지 맞춤형 개량기술 개발
|
1395053950 |
2018-01-01 ~ 2020-12-31 |
2018 |
페로몬 등 활용 자동예찰장치 현장적용 및 수집정보 활용기술 개발
|
1395053943 |
2018-01-01 ~ 2020-12-31 |
2018 |
유전체정보를 이용한 제주마 선발 기술 개발
|
1395053836 |
2018-01-01 ~ 2020-12-31 |
2018 |
제주산 흑돼지, 육제품, 부산물의 주요국 수출전략 수립
|
1395053718 |
2018-01-01 ~ 2020-12-31 |
2018 |
치마버섯 유래 베타글루칸의 장내유익균 증진 기능성과 장 손상 억제 기능성 입증을 위한 독성 시험 및 전임상 기전연구
|
1395053659 |
2018-01-01 ~ 2020-12-31 |
2018 |
세포활성 응용기반 창의인재 양성
|
1345311287 |
2013-09-01 ~ 2020-08-31 |
2019 |
해양바이오 인재양성 사업팀
|
1345311213 |
2013-09-01 ~ 2020-08-31 |
2019 |
아열대 해양생명 국제인력양성 사업팀-플러스
|
1345311206 |
2013-09-01 ~ 2020-08-31 |
2019 |
황산화균(Acidithiobacillus thiooxidans)과 바이오황을 이용한 골분액비 제조 기술 개발
|
1345306513 |
2019-09-01 ~ 2020-08-31 |
2019 |
괭생이 모자반에서 추출한 후코이단과 probiotics의 혼합물질에 대한 양식 어류의 비 특이적 면역반응 확인
|
1345305375 |
2018-09-01 ~ 2020-08-31 |
2019 |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루테올린의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한 항암 작용기전 규명
|
1345303760 |
2016-11-01 ~ 2019-10-31 |
2019 |
천연물 기능성 색소 대사물질의 생리활성 연구
|
1345303672 |
2016-11-01 ~ 2019-10-31 |
2019 |
해상교통관제(VTS)에서 선박 교통 빅데이터 기반의 선박충돌 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
1345303571 |
2016-11-01 ~ 2019-10-31 |
2019 |
폐암 항암제 내성 발생 과정 중 sirt 기능의 분자적 역할규명 및 sirt 조절을 이용한 내성 억제재 후보물질 개발
|
1345303481 |
2016-11-01 ~ 2019-10-31 |
2019 |
Kudoa septempunctata의 cDNA database 구축 및 protease 특성화
|
1345303470 |
2016-11-01 ~ 2019-10-31 |
2019 |
동물성 지방(horse fat)의 활용성 증진을 위한 포화지방산 저감화 및 제형화 기술개발연구
|
1345302980 |
2016-11-01 ~ 2019-10-31 |
2019 |
연골퇴행에서 ERRγ의 역할에 대한 기전 연구
|
1345301405 |
2016-11-01 ~ 2019-10-31 |
2019 |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1345301353 |
2019-06-01 ~ 2028-02-29 |
2019 |
해양과학연구소
|
1345301209 |
2019-06-01 ~ 2028-02-29 |
2019 |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1345301146 |
2019-06-01 ~ 2025-02-28 |
2019 |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교란 식물 서양금혼초와 양미역취의 분포변화 모니터링-예측 및 생태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1345301009 |
2019-06-01 ~ 2029-05-31 |
2019 |
간헐적 단식에서 면역세포 조절을 통한 비만 개선 효능 및 기전 연구
|
1345300962 |
2019-06-01 ~ 2022-05-31 |
2019 |
DcR1을 통한 전이암 형성 및 제어기전 규명
|
1345300961 |
2019-06-01 ~ 2022-05-31 |
2019 |
면역 단백체학을 통한 Enteromyxum leei 면역원 탐색 및 넙치 여윔증 예방 백신 개발
|
1345300956 |
2019-06-01 ~ 2022-05-31 |
2019 |
유전체분석 기반의 식물플랑크톤 유래 기후변화물질 모니터링
|
1345300955 |
2019-06-01 ~ 2022-05-31 |
2019 |
양식넙치 여윔증의 분자학적 기전 규명 및 구제법 개발
|
1345300954 |
2019-06-01 ~ 2022-05-31 |
2019 |
홍조 보들지누아리목의 개체군 다양성 분석을 위한 세포소기관 유전자의 유용성 평가
|
1345300949 |
2019-06-01 ~ 2022-05-31 |
2019 |
신세포암 사멸기전 연구
|
1345300605 |
2018-06-01 ~ 2021-05-31 |
2019 |
양식 넙치의 여윔증 원인체 규명 및 약제 스크리닝
|
1345297490 |
2017-06-01 ~ 2020-05-31 |
2019 |
Neurofilament Light Chain을 이용한 뇌혈관질환의 예후예측: 바이오마커연구
|
1345297064 |
2018-06-01 ~ 2023-05-31 |
2019 |
서북극해 홀로세 SMTZ 퇴적층에 대한 메타지놈 연구
|
1345297053 |
2018-06-01 ~ 2020-05-31 |
2019 |
Glutamate 신경 기반 치료저항성 우울증 기전 확립
|
1345296914 |
2016-06-01 ~ 2022-05-31 |
2019 |
Myxococcus xanthus protoporphyrinogen oxidase(MxProtox) 유전자를 이용한 제초제 내성 들잔디의 개발
|
1345296642 |
2018-06-01 ~ 2021-05-31 |
2019 |
기능성 강화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플라보노이드 당전이효소 기능연구 규명
|
1345295390 |
2018-06-01 ~ 2021-05-31 |
2019 |
컬러 푸드 유용물질을 이용한 Stat3/IL-6 신호전달 조절 물질 개발을 통한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연구
|
1345295343 |
2018-06-01 ~ 2022-05-31 |
2019 |
비스페놀류가 어류골형성에 미치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전
|
1345295259 |
2018-06-01 ~ 2021-05-31 |
2019 |
대사증후군 관련 증상 개선을 위한 국내산 해조류의 다각도적인 스크리닝과 그 메커니즘 연구
|
1345295238 |
2017-06-01 ~ 2020-05-31 |
2019 |
천연추출물 복합처리에 의한 피부건강 및 코스메틱 기능성 섬유소재 개발 시스템 구축
|
1345294805 |
2018-06-01 ~ 2023-05-31 |
2019 |
췌장암 표적 물질로써 Dll4 및 Jagged1의 억제 신약후보 개발
|
1345294726 |
2017-06-01 ~ 2020-05-31 |
2019 |
고혈압군과 대사증후군 간의 microRNA 관련 유전자 다형성 비교를 통한 상관성 분석
|
1345294565 |
2017-06-01 ~ 2020-05-31 |
2019 |
길랑-바레 증후군 모델에서 신경세포 사멸 억제 및 염증세포 조절을 통한 치료법 개발
|
1345294425 |
2018-06-01 ~ 2023-05-31 |
2019 |
항균단백질 생산 신균주 동정 및 크리스퍼 유전자편집에 의한 슈퍼항균활성 생성
|
1345294286 |
2018-06-01 ~ 2022-05-31 |
2019 |
식물엑디스테로이드 대사제어 시스템 개발
|
1345294279 |
2016-06-01 ~ 2025-05-31 |
2019 |
선발 돌연변이 감귤 우수 계통의 유전학적 분석 및 분자마커 개발
|
1345294236 |
2017-06-01 ~ 2027-05-31 |
2019 |
약용 작물을 활용한 염증성 장 질환 및 대장암 예방 기능성 식의약 소재 개발 및 장내 미생물과의 상관 관계 분석
|
1345294229 |
2018-06-01 ~ 2022-05-31 |
2019 |
생활 속 화학물질 프탈레이트류와 단환방향족아민의 독성·발암성 예측지표 발굴 및 제어기능 연구
|
1345294012 |
2017-06-01 ~ 2020-05-31 |
2019 |
항암요법에 의한 탈모 기전 규명 및 제어 천연 소재 도출
|
1345293925 |
2016-06-01 ~ 2023-05-31 |
2019 |
흰다리새우 사료 원료로써의 곤충박 연구
|
1345293730 |
2018-06-01 ~ 2021-05-31 |
2019 |
제주연안 조하대에 분포하는 아열대종 중국굴 (Hyotissa hyotis) 개체군의 생활사 구명에 관한 생리 생태학 연구
|
1345293607 |
2018-06-01 ~ 2021-05-31 |
2019 |
2차원/무기나노구조 어레이 기반 자가구동 무선압전 태아 모니터링 센서의 개발
|
1345293531 |
2018-06-01 ~ 2021-05-31 |
2019 |
말초신경 손상과 만성통증에서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역할 규명
|
1345293443 |
2018-06-01 ~ 2021-05-31 |
2019 |
천연기념물 제주마의 면역체계에 관련된 유전자 발굴 및 규명
|
1345293360 |
2018-06-01 ~ 2021-05-31 |
2019 |
제주 자생식물에서 대사성 질환 개선 식물소재 탐색 연구
|
1345293285 |
2017-06-01 ~ 2020-05-31 |
2019 |
채소류 엽권의 박테리아 군집 형성에 대한 박테리오파지의 역할 규명
|
1345293162 |
2018-06-01 ~ 2021-05-31 |
2019 |
반응-확산계에 대한 최적제어문제
|
1345293064 |
2017-06-01 ~ 2020-05-31 |
2019 |
방사선 감수성 증강 물질의 항암효능 및 기전 연구
|
1345292788 |
2017-06-01 ~ 2020-05-31 |
2019 |
탈모 유발 호르몬 dihydrotestosterone의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작용기전 규명 및 제어 천연 소재 도출
|
1345292669 |
2017-06-01 ~ 2020-05-31 |
2019 |
아열대열대생물유전자은행센터
|
1345292560 |
2016-05-01 ~ 2024-12-31 |
2019 |
괭생이 모자반에서 추출한 후코이단과 probiotics의 혼합물질에 대한 양식 어류의 비 특이적 면역반응 확인
|
1345286902 |
2018-09-01 ~ 2020-08-31 |
2018 |
폐암 항암제 내성 발생 과정 중 sirt 기능의 분자적 역할규명 및 sirt 조절을 이용한 내성 억제재 후보물질 개발
|
1345286439 |
2016-11-01 ~ 2019-10-31 |
2018 |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루테올린의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한 항암 작용기전 규명
|
1345286109 |
2016-11-01 ~ 2019-10-31 |
2018 |
무세포 바이오 시스템을 이용한 천연물 스크리닝 키트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제주 자생식물의 MAPK 신호전달 억제물질의 탐색
|
1345285705 |
2016-11-01 ~ 2019-10-31 |
2018 |
천연물 기능성 색소 대사물질의 생리활성 연구
|
1345285684 |
2016-11-01 ~ 2019-10-31 |
2018 |
동물성 지방(horse fat)의 활용성 증진을 위한 포화지방산 저감화 및 제형화 기술개발연구
|
1345284938 |
2016-11-01 ~ 2019-10-31 |
2018 |
Kudoa septempunctata의 cDNA database 구축 및 protease 특성화
|
1345284725 |
2016-11-01 ~ 2019-10-31 |
2018 |
기능성 강화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플라보노이드 당전이효소 기능연구 규명
|
1345284411 |
2018-06-01 ~ 2021-05-31 |
2018 |
천연추출물 복합처리에 의한 피부건강 및 코스메틱 기능성 섬유소재 개발 시스템 구축
|
1345283462 |
2018-06-01 ~ 2023-05-31 |
2018 |
비스페놀류가 어류골형성에 미치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전
|
1345283233 |
2018-06-01 ~ 2021-05-31 |
2018 |
길랑-바레 증후군 모델에서 신경세포 사멸 억제 및 염증세포 조절을 통한 치료법 개발
|
1345283122 |
2018-06-01 ~ 2023-05-31 |
2018 |
채소류 엽권의 박테리아 군집 형성에 대한 박테리오파지의 역할 규명
|
1345283033 |
2018-06-01 ~ 2021-05-31 |
2018 |
흰다리새우 사료 원료로써의 곤충박 연구
|
1345282988 |
2018-06-01 ~ 2021-05-31 |
2018 |
Neurofilament Light Chain을 이용한 뇌혈관질환의 예후예측: 바이오마커연구
|
1345282603 |
2018-06-01 ~ 2023-05-31 |
2018 |
컬러 푸드 유용물질을 이용한 Stat3/IL-6 신호전달 조절 물질 개발을 통한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연구
|
1345282457 |
2018-06-01 ~ 2022-05-31 |
2018 |
말초신경 손상과 만성통증에서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역할 규명
|
1345282407 |
2018-06-01 ~ 2021-05-31 |
2018 |
Myxococcus xanthus protoporphyrinogen oxidase(MxProtox) 유전자를 이용한 제초제 내성 들잔디의 개발
|
1345282154 |
2018-06-01 ~ 2021-05-31 |
2018 |
생체 형광 이미지 촬영 기술을 이용한 활주세균과 에드워드균의 어체 내 침입 경로 및 감염 작용 연구
|
1345282152 |
2018-06-01 ~ 2021-05-31 |
2018 |
제주연안 조하대에 분포하는 아열대종 중국굴 (Hyotissa hyotis) 개체군의 생활사 구명에 관한 생리 생태학 연구
|
1345281997 |
2018-06-01 ~ 2021-05-31 |
2018 |
항균단백질 생산 신균주 동정 및 크리스퍼 유전자편집에 의한 슈퍼항균활성 생성
|
1345281571 |
2018-06-01 ~ 2022-05-31 |
2018 |
미토콘드리아 이온통로 네트워크 조절 기반 퇴행성뇌질환 신경세포 보호기술 개발
|
1345281528 |
2018-06-01 ~ 2023-05-31 |
2018 |
천연기념물 제주마의 면역체계에 관련된 유전자 발굴 및 규명
|
1345281384 |
2018-06-01 ~ 2021-05-31 |
2018 |
서북극해 홀로세 SMTZ 퇴적층에 대한 메타지놈 연구
|
1345281093 |
2018-06-01 ~ 2020-05-31 |
2018 |
2차원/무기나노구조 어레이 기반 자가구동 무선압전 태아 모니터링 센서의 개발
|
1345281088 |
2018-06-01 ~ 2021-05-31 |
2018 |
약용 작물을 활용한 염증성 장 질환 및 대장암 예방 기능성 식의약 소재 개발 및 장내 미생물과의 상관 관계 분석
|
1345281073 |
2018-06-01 ~ 2022-05-31 |
2018 |
신세포암 사멸기전 연구
|
1345280860 |
2018-06-01 ~ 2021-05-31 |
2018 |
식물엑디스테로이드 대사제어 시스템 개발
|
1345278269 |
2016-06-01 ~ 2025-05-31 |
2018 |
항암요법에 의한 탈모 기전 규명 및 제어 천연 소재 도출
|
1345278128 |
2016-06-01 ~ 2023-05-31 |
2018 |
양식 넙치의 여윔증 원인체 규명 및 약제 스크리닝
|
1345278091 |
2017-06-01 ~ 2020-05-31 |
2018 |
Glutamate 신경 기반 치료저항성 우울증 기전 확립
|
1345277578 |
2016-06-01 ~ 2022-05-31 |
2018 |
췌장암 표적 물질로써 Dll4 및 Jagged1의 억제 신약후보 개발
|
1345277509 |
2017-06-01 ~ 2020-05-31 |
2018 |
생활 속 화학물질 프탈레이트류와 단환방향족아민의 독성·발암성 예측지표 발굴 및 제어기능 연구
|
1345277507 |
2017-06-01 ~ 2020-05-31 |
2018 |
산화스트레스와 사이토카인 조절에 의한 암줄기세포 발생 기전 연구
|
1345277439 |
2017-06-01 ~ 2020-05-31 |
2018 |
선발 돌연변이 감귤 우수 계통의 유전학적 분석 및 분자마커 개발
|
1345277232 |
2017-06-01 ~ 2027-05-31 |
2018 |
제주 자생식물에서 대사성 질환 개선 식물소재 탐색 연구
|
1345276781 |
2017-06-01 ~ 2020-05-31 |
2018 |
대사증후군 관련 증상 개선을 위한 국내산 해조류의 다각도적인 스크리닝과 그 메커니즘 연구
|
1345276500 |
2017-06-01 ~ 2020-05-31 |
2018 |
반응-확산계에 대한 최적제어문제
|
1345276486 |
2017-06-01 ~ 2020-05-31 |
2018 |
고혈압군과 대사증후군 간의 microRNA 관련 유전자 다형성 비교를 통한 상관성 분석
|
1345276447 |
2017-06-01 ~ 2020-05-31 |
2018 |
제주 천연 자원 활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
1345276359 |
2017-06-01 ~ 2018-11-05 |
2018 |
탈모 유발 호르몬 dihydrotestosterone의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작용기전 규명 및 제어 천연 소재 도출
|
1345276327 |
2017-06-01 ~ 2020-05-31 |
2018 |
방사선 감수성 증강 물질의 항암효능 및 기전 연구
|
1345276107 |
2017-06-01 ~ 2020-05-31 |
2018 |
아열대열대생물유전자은행센터
|
1345275626 |
2016-05-01 ~ 2024-12-31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