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돋보기전체
- 신약신약
- 의료기기의료기기
- 의료서비스의료서비스
- 유전체유전체
- 뇌연구뇌연구
- 줄기세포줄기세포
- 생명연구자원생명연구자원
- 농림수축산/식품농림수축산/식품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과제 99,679건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운영비
- 9991008113
- 2021
- (재)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2021-01-01 ~ 2021-12-31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 부처별 분산·단절된 R&D지원*으로 성과의 연계부족, 동일분야 중복지원 및 인허가 지연 등 R&D 투자 비효율 발생 * 원천연구(과기부), 제품화(산업부), 임상시험(복지부), 평가기술(식약처) - 의료기기 R&D의 전주기(기술개발→임상 및 인허가→제품화)를 범부처로 지원하여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신성장동력 극대화 필요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식약처) 차원의 R&D 지원 → 개발·임상·인허가·제품화’ 전주기 지원을 통하여 ①글로벌 제품 개발 ②미래의료 선도 ③의료 복지 구현 ④사업화 역량 강화 지원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기획평가관리비(기평비)
- 9991008112
- 2021
- (재)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2021-01-01 ~ 2021-12-31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
기획심사평가비
- 9991008111
- 2021
- (재)한국연구재단
- 2021-03-01 ~ 2021-12-31
- 한국연구재단
-
-
신규 면역항암제 YBL-006의 임상 1상 수행 및 종료
- 9991008107
- 2021
- (주)와이바이오로직스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 본 과제에서는 YBL-006의 임상 2상 IND 승인을 최종 목표로 함.- 임상 2상 시험의 IND 승인 및 진행을 위해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될 임상1상시험에서 안전성, 약동학 및 적응증 등의 정보를 확보하고, 권장 제2상 용량(RP2D)을 수립함. 또한 CMC 품질 측면의 실질적 관리 강화와 자료제출을 위해 분석법개발 및 특성분석을 완료함.
-
다발성 경화증 질병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CD40 항체 선도물질 도출 및 최적화
- 9991008106
- 2021
- 주식회사 피비이뮨테라퓨틱스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본 연구진이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항CD40단클론항체인 PB-40N을 키메라화 및 인간화하여 키메라화 항CD40단클론항체(chimeric PB-40N) 및 인간화항CD40단클론항체(humanized PB-40N)을 개발하고 영장류 마모셋 다발성 경화증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최적화된 다발성 경화증의 항체 신약 치료제 선도물질을 개발하고자 함.
-
DDOST 단백질을 타겟팅하는 폐암치료용 인간화항체의 개발
- 9991008105
- 2021
- 한양대학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본 연구계획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 약물은 폐암 치료용 인간화항체임. 보다 구체적으로 폐암 세포막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DDOST단백질을 타게팅하는 인간화항체 2종과, 아직 인간화가 되어있지 않은 7개 단클론 항체 중 가장 치료효능이 좋은 항체를 선별해 선도 물질화하고, 유효성 테스트 등 비임상 실험을 진행하고자 함.
-
대장암 치료를 위한 항-HLA-G/CD3 T-세포 연결 이중항체 후보물질 도출
- 9991008104
- 2021
- (주)와이바이오로직스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 대장암 치료를 위한 항-HLA-G/CD3 이중항체 개발 후보물질 확보 - 대장암에 발현이 높은 신규 면역항암 타겟 HLA-G와 동시에 T세포의 활성을 일으키는 CD3를 타겟하여 T세포에 의해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HLA-G/CD3 이중항체 개발 후보물질을 확보를 위해 이중항체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in vitro 효능 평가, 면역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암억제 효능 평가 및 사이토카인 분석, 설치류에서 PK 분석 및 예비 독성 평가를 목표를 함.
-
차세대 유효성 평가법을 활용한 RNA 치환기술 기반의 신경발달장애 (Rett syndrome) 치료제 개발
- 9991008103
- 2021
- 알지노믹스(주)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본 연구는 Trans-splicing Ribozyme 기반의 안전하고 효율성 높은 RNA 치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및 동물모델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유효성 평가모델을 바탕으로 신경발달장애 질환인 Rett syndrome 희귀질환의 치료 선도물질을 개발하고자 함.
-
전립선암 표적 치료 방사성의약품 신약 임상개발
- 9991008102
- 2021
- (주)퓨쳐켐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1.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치료를 위한, 전립선 막항원 (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를 표적하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신약을 개발함.2. 임상시험에 필요한 비임상시험 보완자료를 확보함.3. 국내 임상1상 시험 연구를 실시하여 안전성, 유효성 자료를 확보함 4. 임상시험용 GMP 방사성의약품 대량 샘산을 위한 생산 공정 밸리데이션 기술을 정립함5. 임상2상 시험을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며, IND 신청 및 임상2상 시험 승인받음. 6. 사업화를 위하여 해외 임상 시험 진입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함
-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IP6 kinase 타겟 기반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 도출 연구
- 9991008101
- 2021
- 한국과학기술원
- 2021-11-01 ~ 2021-12-31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지속적으로 급성장하는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에서의 신규 타겟의 약물개발 필요성이 제기됨. 비만은 다양한 신경계 및 내분비학적 물질들과 에너지 대사에 관련된 여러 요소의 이상이 유전적 또는 현상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연관되어 조절됨. 비만의 핵심장기인 지방조직의 에너지 소비조절을 매개하는 분자타겟을 조절하여 식욕을 유지하면서도 비만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혁신적 전략은 고효능의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의 핵심임. 이를 위하여 IP6 (inositol hexakisphosphate) kinase 타겟의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지방세포 에너지대사 촉진기전의 경구용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에 IP6K 저해제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