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 돋보기전체
- 신약신약
- 의료기기의료기기
- 의료서비스의료서비스
- 유전체유전체
- 뇌연구뇌연구
- 줄기세포줄기세포
- 생명연구자원생명연구자원
- 농림수축산/식품농림수축산/식품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과제 73,050건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 기획평가관리비(기평비)
- 9991007714
- 2020
- (재)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2020-01-01 ~ 2020-12-31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 부처별 분산·단절된 R&D지원*으로 성과의 연계부족, 동일분야 중복지원 및 인허가 지연 등 R&D 투자 비효율 발생 * 원천연구(과기부), 제품화(산업부), 임상시험(복지부), 평가기술(식약처) - 의료기기 R&D의 전주기(기술개발→임상 및 인허가→제품화)를 범부처로 지원하여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신성장동력 극대화 필요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식약처) 차원의 R&D 지원 → 개발·임상·인허가·제품화’ 전주기 지원을 통하여 ①글로벌 제품 개발 ②미래의료 선도 ③의료 복지 구현 ④사업화 역량 강화 지원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운영비
- 9991007713
- 2020
- (재)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2020-01-01 ~ 2020-12-31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 부처별 분산·단절된 R&D지원*으로 성과의 연계부족, 동일분야 중복지원 및 인허가 지연 등 R&D 투자 비효율 발생 * 원천연구(과기부), 제품화(산업부), 임상시험(복지부), 평가기술(식약처) - 의료기기 R&D의 전주기(기술개발→임상 및 인허가→제품화)를 범부처로 지원하여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신성장동력 극대화 필요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식약처) 차원의 R&D 지원 → 개발·임상·인허가·제품화’ 전주기 지원을 통하여 ①글로벌 제품 개발 ②미래의료 선도 ③의료 복지 구현 ④사업화 역량 강화 지원
-
(참여1)과민성방광증상을 호소하는 여성에서 가정용 전기자극 치료기가 요실금 및 성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9991007712
- 2020
- 부흥메디칼
- 2020-11-01 ~ 2021-04-30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여성요실금 치료로 허가받은 전기자극 치료기기를 활용하여 여성 과민성방광 환자의 증상 개선 및 성기능장애에서의 효능 연구자주도 임상을 통해 입증하여 식약처 적응증 허가를 획득하고자 함1. 여성 과민성방광 환자의 성기능장애를 치료함에 있어 질 삽입형 전기자극기의 안정성 평가2. 여성 과민성방광 환자의 성기능장애를 치료함에 있어 질 삽입형 전기자극기의 유효성 평가3.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SCI(E)급 논문 작성4. 국내 및 해외 시장 진입을 위한 여성 과민성방광 환자의 성기능장애치료기기 개발 과정 및 시장 현황 조사5. 식약처 의료기기 적응증 허가 신청.
-
(참여1)임플란트 안정성 진단기기의 정확성, 재현성, 편의성 비교평가 시험: 다기관 전향적 임상연구
- 9991007711
- 2020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2020-11-01 ~ 2021-04-30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 기존 임플란트 안정성 진단기기의 한계: 자석의 원리로 측정하는 RFA방식의 진단기기는 측정의 정확성이 입증되어 있지만, 임플란트 상부 부품인 어버트먼트를 전용 툴로 교체해야 측정이 가능한 단점이 있음. 타진의 원리로 측정하는 DCA방식의 진단기기는 어버트먼트의 교체 없이 측정이 가능하지만, 측정각도와 측정위치에 따라 수치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본 연구에 이용될 차세대 임플란트 안정성 진단기기 AnycheckTM: 차세대 DCA방식의 진단기기로서, 기존 DCA방식의 기기들과 다르게 측정각도를 보정하며, 접촉한 상태로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또한, 타진시 강도를 줄여서 임플란트에 최소한의 자극을 가하는 차별점이 있음. 그러므로, 기존의 DCA방식 진단기기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RFA방식 진단기기 수준의 정확도를 가질 수 있는 진단기기임○최종목표: 국내 순수 기술로 제작된 신개념 임플란트 안정성 진단기기인 AnycheckTM의 정확성, 재현성, 편의성을 기존의 타제품들과 비교평가하기 위해 전향적 다기관 임상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도출된 본 연구결과는 AnycheckTM의 우수성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근거자료가 될 것이며, 해당 제품의 정확도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임
-
(참여1)현장형 영상통신 기반 4K UHD급 고해상도 비대면 진료 지원 시스템 개발
- 9991007710
- 2020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11-01 ~ 2021-04-30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본 과제는 원격 현장/보건소 또는 선별진료소에서 휴대폰, 노트북 등 영상 통신 기반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고해상도 영상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최대 4K UHD급의 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을 최신 영상압축 표준기술인 H.265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기술을 적용함- 병원에서 필요한 다양한 형장 상황을 전송할 수 있도록 멀티 스크린뷰를 지원하고 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레이아웃 변경을 할 수 있도록 개발 필요함- 선별진료소, 보건소 등과 같은 의료 장비 및 전문의가 부족한 의료시설에서 비대면으로 의료전문의가 환자의 환부에 대해 위치 선정, 화면 확대 및 환자 영상의 왜곡 없이 전달 가능한 시스템임
-
(주관)현장형 영상통신 기반 4K UHD급 고해상도 비대면 진료 지원 시스템 개발
- 9991007709
- 2020
- ㈜알앤웨어
- 2020-11-01 ~ 2021-04-30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본 과제는 원격 현장/보건소 또는 선별진료소에서 휴대폰, 노트북 등 영상 통신 기반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고해상도 영상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최대 4K UHD급의 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을 최신 영상압축 표준기술인 H.265 변환하여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기술을 적용함- 병원에서 필요한 다양한 형장 상황을 전송할 수 있도록 멀티 스크린뷰를 지원하고 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레이아웃 변경을 할 수 있도록 개발 필요함- 선별진료소, 보건소 등과 같은 의료 장비 및 전문의가 부족한 의료시설에서 비대면으로 의료전문의가 환자의 환부에 대해 위치 선정, 화면 확대 및 환자 영상의 왜곡 없이 전달 가능한 시스템임
-
인공지능 뇌파분석기술을 활용한 경도인지장애 선별 및 원인질환 감별기술개발 및 임상적 평가
- 9991007704
- 202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12-01 ~ 2021-05-31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최종목표: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치매 및 혼합형 치매의 감별진단과 예후 예측이 가능한 정량뇌파 바이오마커 확립 □ 1년차 ? 기확보된 자료를 기반으로 정량뇌파 데이터베이스 구축 ? 개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Gold standard data를 1세부로 제공 ? 추가 뇌파 데이터 확보 □ 2년차 ? 추가 뇌파 데이터 확보 ? 1세부에서 개발한 정량뇌파 바이오마커와 임상 증상의 연관성 검증 ? 소프트웨어 개발 자문 및 시제품 임상 검증 ? 임상검증보고서작성 □ 3년차 ? 임상시험계획 설계 지원 ? IRB 접수 & 승인
-
인공지능 뇌파분석기술을 활용한 경도인지장애 선별과 원인질환 감별기술 및 시제품 개발
- 9991007703
- 2020
- (주) 아이메디신
- 2020-12-01 ~ 2021-05-31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치매의 조기예측 및 예방을 위해서는 경도인지장애를 민감하게 선별하여야 함. 그러나 경도인지장애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양상과 예후를 보이기 때문에 주요 원인질환을 감별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함. 치매환자의 부검연구상 Alzheimer's disease와 Lewy body disease는 양대 원인 질환인데 Alzheimer's dementia의 약 절반정도가 Lewy body 병리를 동반하고 있음. 그러나 임상에서는 치매환자의 70%가 Alzheimer's dementia로 진단되고 Lewy body dementia 진단은 1~5%에 불과하여 상당히 과소평가되고 있음. 이는 실질적으로 감별에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임. 본 과제에서는 QEEG기반 AI알고리즘을 고도화하여 경도인지장애를 민감하게 선별하는 기능과 더불어 인지장애의 핵심 원인인 Alzheimer’s disease와 Lewy Body disease 동반여부를 감별하는 QEEG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App으로 상품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치매 진단용 F-18 표지화합물의 자동합성장치를 이용한 생산기술개발
- 9991007702
- 2020
- (주)퓨쳐켐
- 2020-12-01 ~ 2021-05-31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본 과제의 목표는 타우(tau)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18F]표지 타우 표적 후보물질 화합물을 발굴하고 임상적용이 가능한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생산을 위한 자동합성시스템을 구축하고 GMP 수준의 기준 및 시험방법을 마련하는 것임.
-
타우 단백질 표적 불소가 도입된 azaindole 유도체 개발
- 9991007701
- 2020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12-01 ~ 2021-05-31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연구 목표: azaindole 구조를 pharmacophore로 하여 타우에 대한 친화도를 유지하면서 불소를 도입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찾고 동시에 우수한 pharmacokinetic (ADME)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찾고자 함. 최종 목표: 구조변환 과정을 통한 최적의 타우 표적 후보물질 플루오로-azaindole 유도체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