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T관련기술코드 |
BT(생명공학기술) /
보건의료관련응용
/
바이오신약개발기술 |
과학기술 표준 분류 |
/ / |
연구목표 |
지속적으로 급성장하는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에서의 신규 타겟의 약물개발 필요성이 제기됨. 비만은 다양한 신경계 및 내분비학적 물질들과 에너지 대사에 관련된 여러 요소의 이상이 유전적 또는 현상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연관되어 조절됨. 비만의 핵심장기인 지방조직의 에너지 소비조절을 매개하는 분자타겟을 조절하여 식욕을 유지하면서도 비만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혁신적 전략은 고효능의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의 핵심임. 이를 위하여 IP6 (inositol hexakisphosphate) kinase 타겟의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지방세포 에너지대사 촉진기전의 경구용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에 IP6K 저해제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함. |
연구내용 |
마일스톤 1 (2년) - 유효물질 발굴- IP6K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 도출- 구조 최적화 과정을 통한 선도물질의 약효, 약물성 확보- 도출된 선도물질의 in vitro/in vivo 비만치료 효과 검증-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초기 유효물질의 구조 최적화- IP6K ATP 결합부위를 표적하는 신규 IP6K 저해제 구조 도출- 구조-활성 상관관계 구축- 신규 물질의 최적화를 통한 IP6K 저해 유효물질 도출- 유효물질의 약물성 개선- ADP-glo kinase assay를 이용한 유효성 평가 및 IC50 값 도출- IP7의 HPLC 검색법을 이용하여 신규 유효 물질의 세포내 IP6K 저해 효능 평가- kinase panel assay를 이용한 kinome selectivity 평가- 유효물질의 지방세포 에너지 대사 촉진/분화억제 효과 분석- 유효물질의 IP6K 결합모드 분석- 유효물질의 IP6K 하위 인슐린 및 AMPK 신호조절 분석- In vitro DMPK 검색- In vitro CYP 저해능 평가- In vitro HepG2 세포 독성 평가- hERG 저해능 평가- 마우스 약동학 평가- 비경구투여시 마우스 모델에서의 IP7 수준 감소 효과마일스톤 2 (1년) - 선도물질 개발- 비경구투여시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in vivo efficacy 평가- 유효물질 최적화를 통한 IP6K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선도물질 도출- 선도물질의 유효성, 약물성 및 적절한 약동력학적 성질 확보- 구조-활성 상관관계 구축- ADP-glo kinase assay를 이용한 유효성 평가 및 IC50 값 도출- IP7의 HPLC 검색법을 이용하여 신규 유효 물질의 세포내 IP6K 저해 효능 평가- 선도물질의 지방세포 에너지 대사 촉진/분화억제 효과 분석- 선도물질의 IP6K 결합모드 분석- 선도물질의 IP6K 하위 인슐린 및 AMPK 신호조절 분석- In vitro DMPK 검색- In vitro CYP 저해능 평가- In vitro HepG2 세포 독성 평가- hERG 저해능 평가- 대사체/대사경로 연구- 마우스 약동학 평가- 마우스 2주 단기 독성 평가 (경구투여, non-GLP tox)- 마우스에서 선도물질의 IP7 수준 저하 평가 (경구투여)- 비만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선도물질의 비만 치료 효과 평가 (경구투여) |
기대효과 |
First-in-class 비만 치료제 의약품 후보물질● 본 연구로 발굴된 IP6 kinase 억제제는 비만환자의 지방세포 열생산의 활성화 및 인슐린 민감성 증가를 통한 치료효능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국제 원천 특허를 확보하고 First-in-class 저분자 약물 파이프라인을 구축함. 조기 기술이전이 가능하고 특히 글로벌 라이센스 가능성 높음.● 개발되는 약물은 기존의 지방흡수 억제제 등의 치료제들과 복합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 치료제와 병용되는 치료전략도 가능함.● 또한, 중추신경계 타겟의 식욕억제제와의 병용투여를 위한 치료전략으로 개발될 수 있으므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음.경구용 비만 치료제로서의 활용가치● 현재 비만치료 시장의 주요 약물인 삭센다의 가장 큰 단점은 주사 치료제라는 점임. IP6K 타겟 경구용 저해약물의 개발을 통하여, 복용이 간편한 경구투여제의 특정을 살려 비만치료 시장에서의 가치가 극대화 될것임.● 또한 IP6 kinase 타겟의 다른 효능의 한 축은 인슐린 민감도 개선으로서 당뇨성 비만 환자와 같은 치료에 있어 비만과 당뇨 개선 효과가 모두 유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치료적 효능가치가 매우 높다는 장점으로 작용할 것임.최초의 IP6 kinase 억제 저분자 물질로서의 가치 ● IP6 kinase 분자 타겟을 기반한 임상 시판 약물은 현재 승인된 바가 전무하며, Takeda pharmaceutical에서 국제 및 개별국 특허등록을 완료한 건이 유일함. ● 지방세포 열생산 증가 효능은 비만의 핵심장기인 지방세포의 고유 기능을 원천적으로 제어하는 기전임. 이에 여러 글로벌 제약사 및 혁신신약 개발사들이 차세대 비만 치료전략으로 개발중임. IP6 kinase 억제물질 개발 성공을 통해 기술적 우위와 혁신 신약으로서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 IP6 kinase가 관여하는 기타 적용 치료분야로는 항응고제 (anti-thrombotic drug) 및 항암이 가능하여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범위는 광범위하게 확장 가능함. 특히 IP6 kinase 저해에 의한 항응고 효능역시 전임상 모델에서 검증이 완료되어 (Blood, 2013) 본 연구개발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들을 바탕으로 신규 적용 가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