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치료를 위한 항-HLA-G/CD3 T-세포 연결 이중항체 후보물질 도출

과제 상세조회

과제정보를 상세조회 합니다.

과제고유번호 999100810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11-01 ~ 2021-12-31
과제년도 2021 총연구기간 2021-11-01 ~ 2023-10-31
사업명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과제명 한글 대장암 치료를 위한 항-HLA-G/CD3 T-세포 연결 이중항체 후보물질 도출
영문
주관부처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과제관리기관명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테이블 제목

테이블 설명이 들어갑니다.

연구기관명 (주)와이바이오로직스 기초자치단체
연구개발단계 개발연구 연구수행주체 중소기업
세부과제지원코드 0101 지역 대구
테이블 제목

테이블 설명이 들어갑니다.

6T관련기술코드 BT(생명공학기술) / 보건의료관련응용 / 바이오신약개발기술 과학기술 표준 분류 / /
연구목표 ■ 대장암 치료를 위한 항-HLA-G/CD3 이중항체 개발 후보물질 확보 - 대장암에 발현이 높은 신규 면역항암 타겟 HLA-G와 동시에 T세포의 활성을 일으키는 CD3를 타겟하여 T세포에 의해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HLA-G/CD3 이중항체 개발 후보물질을 확보를 위해 이중항체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in vitro 효능 평가, 면역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암억제 효능 평가 및 사이토카인 분석, 설치류에서 PK 분석 및 예비 독성 평가를 목표를 함.
연구내용 ■ 1-2년차: 항-HLA-G/CD3 이중항체의 예비 후보물질 확보 1) 선도 이중항체의 생산, 정제 및 물성 분석과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2) HLA-G 발현 대장암 세포주 또는 대장암 환자유래세포 확보 3) 선도 이중항체의 in vitro 암세포 사멸 효능, 면역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in vivo 유효성 평가 및 사이토카인 분석 4) 예비 후보물질의 설치류에서 혈중 안정성(PK) 평가 5) 정상 및 대장암(TMA)에서 HLA-G 발현 및 발현에 따른 환자의 예후 분석■ 3년차: 항-HLA-G/CD3 이중항체 후보물질 도출 1) 예비 후보 물질의 생산 및 정제․제형 예비 연구를 통한 생산성 및 안정성 측정 2) 예비 후보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및 CD3 인간화 마우스에서 예비 단회 독성 평가 3) CD34 면역인간화 마우스를 이용한 대장암 PDX 모델 구축 4) 대장암 PDX 모델에서 예비 후보물질의 항암 효능 평가와 사이토카인 분석 및 종양조직에서 TILs 분석 5) 정상 및 다양한 암종(TMA)에서 HLA-G 발현 분석
기대효과 ■ 활용계획- 본 연구과제를 통해 발굴한 HLA-G/CD3 이중항체 개발 후보물질에 대한 후속 비임상 연구 (세포주 개발, CMC, pre-formulation, 안전성,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여 개발 가속화를 진행. - HLA-G/CD3 이중항체는 기존 면역항암제에 낮은 반응과 내성을 갖는 환자군에 적용하거나 및 병용요법을 통해 암치료 효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에 활용할 계획임.- HLA-G/CD3 이중항체는 신규 면역항암제임으로 개발 초기단계에서부터 단계별 기술이전을 계획하고 있음.■ 기대효과 - HLA-G/CD3 이중항체는 면역항암제 새로운 바이오마커 필요성에 부응하는 항체 치료제로 기존 면역항암제 단점를 대체 할 수 있어 고형암 및 재발암 치료에 파급효과 클 것으로 기대함.-HLA-G/CD3 이중항체는 HLA-G 발현이 높은 다양한 암종에 적응증 확대 연구를 통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있는 여러 암종에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치료제 개발로 인한 항체 신약에 관련된 산업의 전방위적인 기술 개발 확대와 동반성장으로 국가 기술력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문 인력 양성, 고용창출 및 경제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것임.
테이블 제목

테이블 설명이 들어갑니다.

총연구비
년도 정부연구비(원) 민간연구비(원) 사업예산
2021 450,000,000 150,000,000 600,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