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통계(2023년 발간 기준)
투자 현황
- 우리나라 BT 연구개발비 흐름(2021)
- '21년 정부 총 R&D는 26.6조원, 그 중 BT R&D는 19.0%(4.8조원)
-
-
국내 총 GDP
20,716,580억원
-
국내 총 R&D
1,021,352억원
-
정부 총 R&D
265,791억원
-
정부 BT
R&D47,766억원
단위 : 억원 -
과기부 BT
R&D18,581억원
단위 : 억원 -
과기부 BT 국책사업
R&D5,229억원
단위 : 억원
-
국내 총 GDP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자료: 과기정통부/KISTEP,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2022.8; 과기정통부/KISTEP,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2023.2)
- 6T별 정부 R&D사업의 연구개발비(2020∼2022)
- ’22년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 총 투자액 17조 6,572억원
-
6T별 정부 R&D사업의 연구개발비(2020∼2022)
(단위 : 억원, %)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증감 | ||||
---|---|---|---|---|---|---|---|---|
억원 | 비중 | 억원 | 비중 | 억원 | 비중 | '22-'21년 | % | |
IT(정보기술) | 43,168 | 19.2% | 49,004 | 19.5% | 49,607 | 18.2% | 603 | 1.2% |
BT(바이오기술) | 41,253 | 18.4% | 47,766 | 19.0% | 52,026 | 19.1% | 4,260 | 8.9% |
NT(나노기술) | 10,884 | 4.8% | 12,498 | 5.0% | 13,343 | 4.9% | 845 | 6.8% |
ST(우주항공기술) | 21,461 | 9.6% | 20,498 | 8.2% | 20,630 | 7.6% | 132 | 1.1% |
ET(환경기술) | 27,738 | 12.3% | 33,993 | 13.5% | 37,159 | 13.6% | 3,166 | 9.3% |
CT(문화기술) | 2,485 | 1.1% | 3,260 | 1.3% | 3,807 | 1.4% | 547 | 16.8% |
소 계 | 146,988 | 65.4% | 167,019 | 66.5% | 176,572 | 64.8% | 9,553 | 11.3% |
기 타 | 77,694 | 34.6% | 84,255 | 33.5% | 95,758 | 35.2% | 11,503 | 56.1% |
합 계 | 224,682 | 100.0% | 251,274 | 100.0% | 272,329 | 100.0% | 21,055 | 8.4% |
과기정통부/KISTEP,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2022. 8
NTIS 과학기술통계(2022.9.13 등록),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액(자료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조사·분석보고서, 각 년도)
- 6T별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비 비교(2021)
- ’21년 6T 중 민간 R&D 투자가 가장 많은 분야는 NT분야(민간비중 87.7%)
-
6T별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비 비교(2021)
(단위 : 억원)
구분 | IT | BT | NT | ST | ET | CT |
---|---|---|---|---|---|---|
정부 | 49,004 | 47,766 | 12,498 | 20,498 | 33,993 | 3,260 |
정부비중 | 12.5% | 46.0% | 12.3% | 100.0% | 33.6% | 30.7% |
민간 | 342,206 | 39,545 | 88,870 | - | 67,267 | 7,342 |
민간비중 | 87.5% | 54.0% | 87.7% | - | 66.4% | 69.3% |
총 R&D 투자 | 391,210 | 103,754 | 101,368 | 20,498 | 101,260 | 10,602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원출처: 과기정통부/KISTEP,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23.2)
- 정부와 민간의 BT 연구개발비(2017∼2021)
- ’21년 국내 BT 연구개발비 중 정부 R&D 예산 비중은 46%(민간비중은 54%로, 2019년 이후 정부 비중을 상회함)
-
정부와 민간의 BT 연구개발비(2017∼2021)
(단위 : 억원)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합계 | 62,111 | 66,401 | 76,262 | 89,162 | 103,754 |
정부 | 34,946 | 35,494 | 36,717 | 41,253 | 47,766 |
정부 비중 | 56.3% | 53.5% | 48.1% | 46.3% | 46.0% |
민간 | 27,165 | 30,907 | 39,545 | 47,909 | 55,988 |
민간 비중 | 43.7% | 46.5% | 51.9% | 53.7% | 54.0% |
NTIS 과학기술통계(2023.3.2 등록),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총연구비,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액(출처: 과기정통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조사·분석보고서, 각 년도)
- 주요국 BT 정부투자 비교(2021)
- ’21년 우리나라의 BT 비중은 18.0%로 미국보다 낮지만, 독일과 일본보다 높은 비중
구분 | 한국(조원) | 미국(억달러) | 독일(억유로) | 일본(억엔) |
---|---|---|---|---|
정부 총 투자액(A) | 26.5 | 1,607.2 | 486.5 | 42,921.0 |
정부 BT 투자액(B) | 4.8 | 422.3 | 34.0 | 1,879.0 |
B/A 비중 | 18.0% | 26.3% | 7.0% | 4.4% |
과기정통부/KISTEP,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2022. 8; OMB, Analytical perspectives budget of the U.S. government fiscal year 2023
Nistep, 科学技術指標 2023, 8,; Nikkei Biotech, 2022年度政府のバイオ関連予算, 2022.1.31
Eurostat, GBARD(Government budget allocations for R&D) by socioeconomic objectives (NABS 2007)
- 부처별 BT 연구개발비 변화 추이(2017~2022)
- ’22년 부처별 BT 정부투자는 과기정통부 2조 223억원, 농식품부 8,783억원, 복지부 6,431억원, 산업부 3,426억원으로 네 부처가 전체 투자의 75% 가량 차지
-
부처별 BT 연구개발비 변화 추이(2017~2022)
(단위 : 억원)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과기정통부 | 13,541 | 13,437 | 15,054 | 16,639 | 18,581 | 20,223 |
농식품부 | 7,326 | 6,957 | 6,903 | 7,147 | 8,215 | 8,783 |
복지부 | 4,478 | 4,521 | 4,506 | 5,524 | 5,686 | 6,431 |
산업부 | 3,176 | 2,981 | 2,740 | 3,093 | 3,061 | 3,426 |
중기부 | 1,915 | 1,608 | 1,532 | 2,034 | 2,544 | 2,477 |
교육부 | 2,351 | 2,693 | 2,874 | 2,841 | 3,192 | 3,156 |
기타 | 2,158 | 3,298 | 3,108 | 3,976 | 6,486 | 7,532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자료 : 과기정통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각 년도)
- 분야별 BT 연구개발비(2022)
- 신약개발 16%(8,253억원), 의료기기 13%(6,739억원), 뇌연구 6%(3,025억원)
-
분야별 BT 연구개발비(2022)
(단위 : 억원)
구분 | 신약 | 의료기기 | 의료서비스 | 뇌연구 | 줄기세포 | 유전체 | 생명연구자원 | 농림수축산/식품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
규모 | 8,253 | 6,739 | 2,772 | 3,025 | 1,520 | 2,033 | 1,963 | 11,047 | 14,673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1년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2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