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통계(2022년 발간 기준)
투자 현황
- 우리나라 BT 연구개발비 흐름(2020)
- ’20년 정부 총 R&D는 23.8조원, 그 중 BT R&D는 18.4%(4.1조원)
-
-
국내 총 GDP
19,330,000억원
-
국내 총 R&D
930,717억원
-
정부 총 R&D
238,803억원
-
기술분야
정부 총 R&D224,682억원
-
정부 BT
R&D41,253억원
-
과기부 BT
R&D16,639억원
-
과기부 BT 국책사업
R&D5,062억원
-
국내 총 GDP
- 6T별 정부 R&D사업의 연구개발비(2019∼2021)
- ’21년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 총 투자액 16조 7,019억원
-
6T별 정부 R&D사업의 연구개발비, 2019~2021
(단위 : 억원, %)
구분 | 2019 | 2020 | 2021 | 증감 | ||||
---|---|---|---|---|---|---|---|---|
억원 | 비중 | 억원 | 비중 | 억원 | 비중 | '21-'20년 | 증감률(%) | |
IT(정보기술) | 34,633 | 18.0% | 43,168 | 19.2% | 49,004 | 19.5% | 5,836 | 13.5% |
BT(바이오기술) | 36,717 | 19.1% | 41,253 | 18.4% | 47,766 | 19.0% | 6,513 | 15.8% |
NT(나노기술) | 8,364 | 4.3% | 10,884 | 4.8% | 12,498 | 5.0% | 1,614 | 14.8% |
ST(우주항공기술) | 17,622 | 9.1% | 21,461 | 9.6% | 20,498 | 8.2% | -963 | -4.5% |
ET(환경기술) | 22,747 | 11.8% | 27,738 | 12.3% | 33,993 | 13.5% | 6,255 | 22.6% |
CT(문화기술) | 2,195 | 1.1% | 2,485 | 1.1% | 3,260 | 1.3% | 775 | 31.2% |
소 계 | 122,277 | 63.5% | 146,988 | 65.4% | 167,019 | 66.5% | 20,031 | 13.6% |
기 타 | 70,320 | 36.5% | 77,694 | 34.6% | 84,255 | 33.5% | 6,561 | 8.4% |
합 계 | 192,597 | 100.0% | 224,682 | 100.0% | 251.274 | 100.0% | 26,592 | 11.8% |
NTIS 과학기술통계(2022.9.13 등록),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국가연구개발산업 집행액(자료원: 과기정통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각 년도)
- 6T별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비 비교(2020)
- ’20년 6T 중 민간 R&D 투자가 가장 많은 분야는 NT분야(민간비중 88.4%)
-
6T별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비 비교(2020)
(단위 : 억원)
구분 | IT | BT | NT | ST | ET | CT |
---|---|---|---|---|---|---|
정부 | 43,168 | 41,253 | 10,884 | 21,461 | 27,738 | 2,485 |
정부비중 | 12% | 46% | 12% | 100% | 31% | 30% |
민간 | 304,990 | 47,909 | 83,245 | - | 61,214 | 5,792 |
민간비중 | 88% | 54% | 88% | - | 69% | 70% |
총 R&D 투자 | 348,158 | 89,162 | 94,129 | 21,461 | 88,952 | 8,277 |
과기정통부/KISTEP, 2020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2022.1), NTIS 과학기술통계서비스
- 정부와 민간의 BT 연구개발비(2016∼2020)
- ’20년 국내 BT 연구개발비 중 정부 R&D 예산 비중은 46%(민간비중 54%로, 2019년 이후 정부 비중을 상회)
-
정부와 민간의 BT 연구개발비(2016∼2020)
(단위 : 억원,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합계 | 56,137 | 62,111 | 66,401 | 76,262 | 89,162 |
정부 | 33,341 | 34,946 | 35,494 | 36,717 | 41,253 |
정부 비중 | 59% | 56% | 53% | 48% | 46% |
민간 | 22,796 | 27,165 | 30,907 | 39,545 | 47,909 |
민간 비중 | 41% | 44% | 47% | 52% | 54% |
과기정통부/KISTEP, 2020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2022.1), NTIS 과학 기술통계서비스
- 주요국 BT 정부투자 비교(2020)
- ’20년 우리나라의 BT 비중은 17.2%로 미국보다 낮지만, 독일과 일본보다 높은 비중
(단위 : 조원, 억달러, 억유로, 억엔)
구분 | 한국 | 미국 | 독일 | 일본 |
---|---|---|---|---|
정부 총 투자액(A) | 23.8 | 1,586.0 | 456.0 | 42,419.3 |
정부 BT 투자액(B) | 4.1 | 444.0 | 44.0 | 1,853.5 |
B/A 비중 | 17.2% | 28.0% | 9.6% | 4.4% |
과기정통부/KISTEP, 2020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22.1; KISTEP S&T GPS, 미국 2022 회계연도 연방 R&D 예산 신청안, 2021.8; KISTEP, 2021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2022.2; Nistep, 科学技術指標2022, 2022.8
- 부처별 BT 연구개발비(2016~2021)
- ’21년 부처별 BT 정부투자는 과기정통부 1조 8,581억원, 농식품부 8,215억원, 복지부 5,686억원, 산업부 3,061억원으로 74% 가량 차지
-
부처별 BT 연구개발비(2016~2021)
(단위 : 억원)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과기정통부 | 12,092 | 13,541 | 13,437 | 15,054 | 16,639 | 18,581 |
농식품부 | 6,885 | 7,326 | 6,957 | 6,903 | 7,147 | 8,215 |
복지부 | 4,485 | 4,478 | 4,521 | 4,506 | 5,524 | 5,686 |
산업부 | 5,099 | 3,176 | 2,981 | 2,740 | 3,093 | 3,061 |
중기부 | - | 1,915 | 1,608 | 1,532 | 2,034 | 2,544 |
교육부 | 2,100 | 2,351 | 2,693 | 2,874 | 2,841 | 3,192 |
기타 | 2,681 | 2,158 | 3,298 | 3,108 | 3,976 | 6,486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각 년도 (자료 : 과기정통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각 년도)
- 분야별 BT 연구개발비(2021)
- 의료기기 14%(6,601억원), 신약개발 14%(6,597억원), 뇌연구 6%(2,819억원)
-
분야별 BT 연구개발비(2021)
(단위 : 억원)
구분 | 신약 | 의료기기 | 의료서비스 | 뇌연구 | 줄기세포 | 유전체 | 생명연구자원 | 농림수축산/식품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
규모 | 6,597 | 6,601 | 2,493 | 2,819 | 1,350 | 2,322 | 1,803 | 10,508 | 13,273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각 년도 (자료 : 과기정통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각 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