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224,424건을 찾았습니다.
내가 찾은 검색어
기술뱅크2,309
  • 마이크로플루이딕 통합시스템을 이용한 자가조립 인공피부모델 및 분자진단을 이용한 피부기능평가키트 제작

    ? 마이크로플루이딕 통합시스템을 이용한 인공피부모델 및 분자진단을 이요한 피부기능평가키트 제작을 통하여 노화된 피부, 건선,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에 대한 신규치료제 혹은 새로운 화장품의 개발 및 효능성 점검

    • 기술 분야 : 의약품,
    • 보유 기업(기관) : 차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 기술이전상태 : 승인완료
  • 골다공증 치료용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해당 기술의 상기 펩타이드는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받고 있는 암 환자의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빈혈에 따른 호중구 감소증, 선천성 및 특발성 호중구 감소증, 감염성 질환에 의한 호중구 감소증,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호중구 감소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혈줄기세포 이식을 위해 기증자의 골수조혈줄기세포를 말초혈액으로 방출 촉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음. -골수조혈줄기세포의 혈중 방출 촉진효과는 호중구 감소증 및 빈혈 치료 기전으로도 작용할 뿐만 아니라, 골다공증 치료의 기전으로도 작용.

    • 기술 분야 : 의약품,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보유 기업(기관)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술이전상태 : 승인완료
  •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 - 인지장애, 학습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

    • 기술 분야 : 의약품,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보유 기업(기관)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술이전상태 : 승인완료
  • 만성 염증성 통증 치료용 조성물

    - PD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염증성통증 치료. - 만성 염증성 통증 진단용 키트. - 만성 염증성 통증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제공 및 진단.

    • 기술 분야 : 의약품,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보유 기업(기관)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술이전상태 : 승인완료
  • 포도 껍질로부터 레스베라트의 효과적인 추출/제조방법

    - 본 기술로 인하여 경제성 및 효율성이 증대된 레스베라트롤 추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와인에 다량 함유된 레스베라트롤을 주스와 같은 일반 음료에도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

    • 기술 분야 : 건강기능성제품,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보유 기업(기관) :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술이전상태 : 승인완료
기술뱅크 더보기
클러스터2,795
  • (주)헬릭스미스
    • 기업(기관) 분류 :
    • 지역 : 서울
    • 산업분류 : 세포기반치료제
    • 업종 : 완제 의약품 제조업
  • 세상생명과학(주)
    • 기업(기관) 분류 :
    • 지역 : 서울
    • 산업분류 : 식품첨가물
    • 업종 : 건강보조용 액화식품 제조업
  • (주)메드빌
    • 기업(기관) 분류 :
    • 지역 : 서울
    • 산업분류 : 바이오저분자량약품
    • 업종 :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 (주)브레인트로피아
    • 기업(기관) 분류 :
    • 지역 : 경기
    • 산업분류 : 건강기능식품
    • 업종 : 건강보조용 액화식품 제조업
  • (주)코젠바이오텍
    • 기업(기관) 분류 :
    • 지역 : 서울
    • 산업분류 : 바이오 분석·진단 서비스
    • 업종 :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
클러스터 더보기
사업공고4,841
사업공고 더보기
과제99,682
  • 만성비부비동염에서 호산구 세포외 트랩에 의한 선천면역 및 염증반응 조절에 관한 연구

    1. 연차별 연구의 목표 및 내용 (1) 1차년도(2018): 인체 유래 조직을 이용한 호산구 세포외 트랩의 검증 및 연관성 연구 □ 만성비부비동염 환자의 비강샘플을 이용한 연구 ● 만성비부비동염 수술시 얻어지는 비강 점막조직에서 호산구와 호중구의 세포외 트랩 확인 ● 호산구성, 비호산구성, 비용종의 여부에 따른 환자의 비강 점막조직 비교 연구 ● 호산구성 뮤신 비부비동염의 비강 분비물에서 SYTOX 염색을 통한 호산구 세포외 트랩의 정량화 ● 비강 분비물의 cytokine 분석을 통한 세포외 트랩에 따른 비부비동염의 새로운 endotyping 시도 □ ex-vivo 인체 유래 비강조직모델을 이용한 분석 ● 호산구 세포외 트랩의 inducer 혹은 inhibitor를 ex vivo 주입하여 TH2 염증조절 여부 변화 확인 ● NOX, DUOX, ROS 관련 신호전달 물질 확인 ● 비용종의 발생기전으로 알려진 조직 리모델링과 관련된 인자(MMP, TGF-ß, t-PA)와의 연관성 연구 (2) 2차년도(2019): 마우스 모델을 통해 혈액과 호흡기계 점막에서의 기전 연구 □ Nox knock out mouse 모델에서 호산구 세포외 트랩의 신호전달기전 연구 ● Gene knockdown 이용한 세포외 트랩 억제효과 관찰 ● 호산구 세포외 트랩의 inducer를 in vivo 주입하여 염증 및 점액분비 조절 여부 확인 ● ROS 매개 신호전달기전 연구 ● 비강 및 기관지점막에서 TH1, TH2 cytokine 변화 확인 ● 면역염색, 형광염색,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한 조직학적 형태학적 연구 (3) 3차년도(2020): 유효성 검증 □ 호산구성 비부비동염의 부가적 치료를 위한 호산구 세포외 트랩 조절 후보물질 발굴 ● DNase(Pulmozyme)등 다양한 세포외 트랩 inhibitor를 이용한 용량 및 독성 연구 ● 점액의 과분비 혹은 저분비를 조절할 수 있는 세포외 트랩 조절 후보물질을 발굴 ●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세포외 트랩 조절 후보물질을 도출

    • 과제기준년도 : 2018
    • 과제수행기관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 당해년도 연구기간 : 2018-03-01 ~ 2019-02-28
    • 바이오기술분류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과제고유번호 : 1711074855
  • 비소세포폐암에서 표적단백질 PAK1의 기능 규명 및 저해 선도물질 탐색

    1차년도: 비소세포폐암에서 PAK1의 신호전달체계 규명 - TCGA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상과 비교하여 비소세포폐암에서 PAK1의 역할 확인 - PAK1의 siRNA로 저해시 변화하는 하위 시그널 확인 - PAK1의 siRNA 저해시 in vitro/in vivo에서 항종양 효과 확인 - Tissue microarray를 통한 PAK1의 활성 및 발현량과 임상적 의의 규명 2차년도: PAK1 저해 선도물질 탐색과 폐암 세포모델에서의 효능 평가 - Docking simulation을 통한 선도물질 예측 및 효능 평가 - 선도물질의 폐암 세포에서 PAK1의 저해 활성 검토 3차년도: PAK1 저해 선도물질의 효과 검토 - 기존 알려진 PAK1과의 효능 비교 - PAK1 저해 선도 물질과 기존 항암제의 병행 요법의 효과 검토

    • 과제기준년도 : 2018
    • 과제수행기관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당해년도 연구기간 : 2018-03-01 ~ 2019-02-28
    • 바이오기술분류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과제고유번호 : 1711074897
  • 수용성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발현으로 인한 곤충의 독성 환경 적응 기작 및 살충제 내성 기작 연구

    ▶ AChE은 신경연접에서 신경전달 물질인 acetylcholine을 분해하여 신경 전달을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최근 노랑초파리(D. melanogaster) 연구를 통해서 세포막 고정형과 수용성(soluble) 분자 구조의 AChE이 동정되었고, 높은 효소 활성이 보이며 중추 신경조직에서만 발현되는 세포막 고정형 AChE와 상반되게 soluble AChE는 효소 활성이 거의 없으며 비신경조직에서도 대량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살충제 노출 노랑초파리에서 soluble AChE의 발현 촉진으로 인한 살충제 내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세포막 고정형 AChE만 발현하도록 제작된 형질전환 초파리는 살충제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임을 관찰하였다. 이는 노랑초파리가 살충제에 노출되면 비신경조직에서 soluble AChE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독성물질로부터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생명의 진화라는 긴 시간적 거리에서 보면 화학 살충제의 노출은 아주 최근에 일어난 일이기에, 효소 활성이 없는 soluble AChE의 발현은 알코올, 산 등과 같은 다양한 화학물질이 발생하는 발효/부패 환경에 서식하는 노랑초파리가 그 서식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하는 과정에서 획득되어진 생리적 현상이라 예상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랑 초파리의 soluble AChE의 발현을 유도하는 환경 화학물질을 동정하고 화학물질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한다. 또한 노랑초파리와 분류학적으로 가까우나 신선과일에 서식하는 벗초파리(D. suzukii)를 대상으로 화학물질노출로 인한 soluble AChE을 비롯한 화학물질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여 두 초파리의 환경 적응 및 진화 기작을 구명하고자 한다. 또한 살충제 노출 노랑초파리에서 발현이 유도된 soluble AChE이 살충제 내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바, 국내 난방제 해충 종을 선정하여 soluble AChE의 살충제 내성 기작을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

    • 과제기준년도 : 2018
    • 과제수행기관 :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
    • 당해년도 연구기간 : 2018-03-01 ~ 2019-02-28
    • 바이오기술분류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과제고유번호 : 1711068314
  • 근시의 발생에 섬광자극이 미치는 영향

    (1) 섬광자극이 도파민 감소를 일으켜 근시를 유발하는가 (1차 년도) - 섬광자극 동물모델에서 근시가 유발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a-scan을 이용한 안구의 총 길이와 TH cell의 형태변화, scotopic ERG의 변화를 측정한다. - 근시의 발생에 가장 key factor로 알려진 도파민이 섬광자극에 의해 감소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망막 내 도파민의 양을 관찰한다 (2) 섬광자극모델에서 nitric oxide pathway가 변화하는가 (2차 년도) - 망막 내에서 dopamine pathway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nitric oxide pathway가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nitric oxide (NO)의 양을 nitric oxide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nitric oxide를 조절하는 세 가지의 enzyme isoform (iNOS, eNOS, nNOS)에 대하여 각각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그 양적 변화를 알아보고 위치별 발현 양상과 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immunohistochemistry를 시행한다. (3) 섬광자극모델의 약물 치료와 그 기전 연구 (2, 3차 년도) - 섬광자극 동물모델에서 antioxidant (anthocyanine) 투여에 의해 근시의 진행이 억제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섬광자극과 동시에 anthocyanine을 투여하여 시기별로 근시 여부를 측정한다. - Anthocyanine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망막 내에서 NO와 세 가지 isotype의 NOS의 변화, dopamine level을 관찰한다. - 섬광자극 동물모델에서 dopamine agonist (apomorphine) 투여에 의해 근시의 진행이 억제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섬광자극이 시작하는 시점에 apomorphine을 투여하고 시기별 근시 여부를 측정한다. - apomorphine에 의한 도파민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망막 내 NO와 세 가지 isotype의 NOS의 변화, dopamine level을 관찰한다.

    • 과제기준년도 : 2018
    • 과제수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당해년도 연구기간 : 2018-03-01 ~ 2019-02-28
    • 바이오기술분류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과제고유번호 : 1711067827
  • 임상적용을 위한 저온 상압 플라즈마의 치주염 억제 기전 연구

    ○ 1차년도(2017년) 치주염 유발 세균에 대한 저온 플라즈마의 항균, 항염 효력 검증 ? 여러 가지 치주염 유발 세균들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Fusobacterium nucleatum 등)에 대한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효과를 예비 실험을 진행하여 실험 프로토콜을 설계함. 예비 실험 결과가 좋은 세균들을 실험세균으로 최종 선별하고 효과가 가장 좋은 플라즈마의 에너지와 시간을 선택하여 항균 효과를 검증해봄 ? 치주염에 이환되지 않은 건강한 치아를 발치할 때 잇몸 조직을 절제한 후 치은섬유아세포를 채취하여 배양함. 인체유래물 조직을 이용하는 실험으로 해당 소속기관의 IRB 심의를 받을 예정이며 연구자가 속한 기관에 인체 유래물은행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어서 해당과정의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사료됨. 배양한 세포에 플라즈마 처리 후 MTT assay를 통해 세포 활성도를 측정하고, 염증 유발 cytokine (IL-1, MMP, TNF-α등)의 분비 억제 효과를 Real time PCR을 통해 확인함. ○ 2차년도(2018년) 치주염 동물 모델에서 저온 플라즈마의 치주염 억제기전을 연구 ? 1차년도에 진행하였던 세균과 세포단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즈마의 치주염 동물 모델 (Rat)에서 혈액학적 분석 및 염증유발 cytokine 분비 억제 등 항염 효력을 평가하고 치은연하 치태 및 치은열구액 내 치주염 유 발 세균의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통해 항미생물 평가를 시행함. 이러한 실험 진행을 위해서 실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을 구축해야함. 본 연구자는 실험적 치주염을 유발한 쥐 모델에 약물 투여 후 micro CT를 촬영하여 치조골의 변화를 관찰한 실험을 진행한 경험과 연구자가 소속한 학교에 동물실험윤리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어서 실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 구축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사료됨. ? 치주 치료시 사용하는 기구의 크기와 형태 및 구강내 적용하기 용이한 플라즈마의 발생장치를 개발함 ○ 3차년도(2019년) 치주염 동물 모델에서 치주염으로 소실된 치주조직과 치조골의 재생 및 기전을 연구 ? 1차년도에 개발한 실험 프로토콜과 2차년도에 구축한 치주염 동물 모델과 플라즈마 최적화 모듈을 통해 저온 플라즈마의 치주염으로 소실된 치주조직과 치조골의 재생 효과를 조직염색 후 계측, micro CT 촬영을 통해 치조골의 소실 거리와 골밀도 변화를 확인함. ? 기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과의

    • 과제기준년도 : 2018
    • 과제수행기관 : 부산대학교
    • 당해년도 연구기간 : 2018-03-01 ~ 2019-02-28
    • 바이오기술분류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 과제고유번호 : 1711068199
과제 더보기
연구장비(성과)632
  • 유세포분석기

    ○ 2 laser, 4 channel detector로 구성되었으며 범용성이 높은 기본형 장비임 ○ 정밀한 유체학, 레이저 광학장치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특수 시약과 반응된 각각의 세포에 레이저를 통과시켜 빛의 양을 측정하는 장비임. ○ 세포 면역학, 분자 생물학, 미생물학적, 구조적 특성을 측정 분석하여 연구 실험하는 기기로서 면역적인 기능과 변화, 종류와 수량측정으로 DNA 성장주기와 분화과정의 이상여부, 줄기세포와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골수재건과 가공, 세포내의 특이단백 발현, 세포의 괴사(소멸)과정에서 특이 효소, 특이 단백질의 역할과 기능, 유전자 변이와 염색체 이상여부 등을 측정함으로써 그 정도판단과 이에 대한 연계 실험들을 하며, 또한 측정 분석 후에도 세포는 생존하고 있어 분리하여 연속적인 연구와 실험을 하고 다른 방법에 의한 (재)분석과 실험을 할 수 있음.

    • 등록일자 : 2019-02-01
    • 보유기관 : 대구한의대학교
    • 모델명 : Accuri C6 Plus
    • 설치지역 : 경북
    • 과제고유번호 : 1711074239
  • 도립 형광 현미경

    1. 반영구적 LED 광원장치 (수명 60,000 시간) 2. 위상차의 할로우 현상을 줄여주는 APC (Apodized Phase Contrast) 적용 가능 3. 관찰시야 전체에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는 "Fly-eye" 렌즈 적용 4. 플라스틱용기 및 유리용기에서 모두 입체적인 관찰이 가능한 Emboss Contrast 확장 가능 5. 암실 효과를 내는 Contrast Shield 내장 6. 명시야 관찰용 LED 광원과 형광 관찰용 LED 광원 내장

    • 등록일자 : 2018-10-12
    • 보유기관 : 건국대학교글로컬산학협력단
    • 모델명 : ECLIPSE Ts2R
    • 설치지역 : 충북
    • 과제고유번호 : 1711074441
  • 반도체 물질 기반 X-선 에너지 정보 제공 검출기

    본 장비는 X-선 및 감마선과 같은 방사선을 검출하여 영상 및 입사되는 방사선 에너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임. 본 장비에 입사된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정보를 제공함. 획득한 디지털 정보를 후처리하여 영상 및 에너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

    • 등록일자 : 2018-12-31
    • 보유기관 :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델명 : XC-Thor FX10 IP67
    • 설치지역 : 대전
    • 과제고유번호 : 1711071548
  • 카테터 펀칭 장비

    Tube에 구멍을 내는 역할을 하고 프로그램 세팅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구멍을 낼 수 있다. 보통 의료용 튜브에 적용하고 제작되는 몰드에 따라 여러 형태의 구멍을 만들 수 있다. 튜브를 고정하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튜브의 거치가 용이하다.

    • 등록일자 : 2018-12-13
    • 보유기관 : 주식회사 제노스
    • 모델명 : CMT-PA
    • 설치지역 : 경기
    • 과제고유번호 : 1711072899
  • 시각운동 측정 장비

    - 안구의 가장 주요한 기능은 시각으로, 안구 내 주사된 융합 세포치료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시각 기능의 변화를 확인하는 작업은 필수적임. - 본 장비는 반응성 시각운동을 측정하는 장비로 소동물의 객관적인 시기능을 평가할 수 있음.

    • 등록일자 : 2018-09-11
    • 보유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모델명 : OptoMotry HD
    • 설치지역 : 서울
    • 과제고유번호 : 1711072877
연구장비 더보기
연구성과451
  • 전이성 위암 발병의 핵심인자 발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마이크로어레이(oligonucleotide microarray)와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생존분석을 통해 EPB41L5의 높은 발현이 위암환자의 낮은 생존율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EPB41L5 유전자 프로모터 분석을 통해, 다수의 스메드 결합 부위(smad binding motif)와 루시퍼라아제(luciferase)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 분석법과 크로마틴 면역침강(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분석법을 이용하여 인산화된 스메드3(smad3)가 EPB41L5 프로모터 –265/-256 부위에 결합하여 EPB41L5의 전사 조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증가된 EPB41L5는 상피-중배엽 전이과정을 통해 위암의 이동성 및 침윤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형질전환 성장인자(TGF-β) 저해제, EPB41L5 siRNA 그리고 EPB41L5 단일클론 항체에 의해 저해되었고, EPB41L5의 과발현은 위암 전이를 증진시켰으며, 이 과정에 p120-카테닌(catenin)이 기여한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팀은 EPB41L5 과발현 및 형질전환 성장인자(TGF-β)에 의해 야기된 위암 전이 마우스 동물 모델에 EPB41L5 단일클론 항체를 꼬리 정맥 주입하여 위암의 전이가 저해됨을 보아 EPB41L5가 새로운 위암표적치료 표적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연세대학교
    • 지원사업 :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선도연구센터)
    • 연구자 : 최경철, 윤호근, 정재호
  • 모세관을 이용한 초간편 나노센서 개발

    유리 모세관을 이용하여 물과 공기 계면에 배열된 금속 나노입자를 고체 표면에 전달하였으며, 전달된 나노입자들은 균일한 단일층 구조였다. 개발된 기술은 금속 나노입자를 물과 공기 계면에 배열하는 단계, ‘모세관 현상’을 통해 배열된 금속 나노입자를 분리해 내는 단계, 모세관을 뒤집어 금속 나노입자를 반대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원하는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 나노센서를 평면형 표면, 고르지 않은 표면 위에도 전달하였고 전달하고자 하는 표면의 화학적 성질에 구애받지 않고 친수성이거나 소수성을 띠는 표면에도 나노입자의 손실 없이 전달되었다. 제작된 금속 나노센서의 크기와 모양은 모세관의 크기와 단면적의 형태를 통해 조절 가능하며, 나노입자 역시도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 금속 나노센서를 오렌지와 쌀알 표면에 도입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살충제 성분과 표면이 거친 의류 및 모발의 표면에서 마약류 성분을 검출하였고 100달러 지폐의 표면에 도입하여 위조지폐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수백 마이크로미터 수준이므로 미소유체채널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검출 민감도가 천 배 이상 향상되었으며, 강한 압력 하에서도 금속 나노센서가 안정되었다.

    • 연구기관 : 서강대학교, 펜실베니아 대학교
    • 지원사업 : C1가스리파이너리사업,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대학중점연구소)
    • 연구자 : 강태욱, 장지한, 허동은
  • 가장 강력한 B형간염 치료제에 대한 내성바이러스 발견 및 원리 규명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약제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에 매우 취약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만성 B형 간염의 특성상 치료과정이 길고 완치율이 높지 않아 현재 임상적으로 승인된 항바이러스제들은 대부분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약제 내성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테노포비어 치료를 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자 중 바이러스 돌파가 확인된 2명의 환자의 혈청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중합효소(polymerase)의 RT(reverse transcriptase)부위의 돌연변이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약제내성에 연관된 공통적인 부위로 rtS106C [C], rtH126Y [Y], rtD134E [E], and rtL269I [I]를 발견하였다. RT 부위의 돌연변이 클론을 제작하여 rtS106C [C], rtH126Y [Y], rtD134E [E]가 약제 내성과 관련된 새로운 돌연변이임을 밝혔다. 또한, 테노포비어 약제 감수성 분석을 이용하여 CYEI 돌연변이가 약제 감수성을 약 15배 이상 감소시킴으로써 바이러스 돌파가 일어남을 보였다.

    • 연구기관 : 건국대학교, 서울대학교
    • 지원사업 :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 연구자 : 김균환, 이정훈
  • 여성의 두 번째 X 염색체 조절과정 규명

    인간 세포에서 CRISPR/Cas9 쌍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DNA 부분을 삭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예측 시스템인 LINDEL을 자체 개발하였고 LINDEL을 이용해 혈액암 세포에서 Xist 유전자 전체와 12곳의 부분 영역을 효율적으로 삭제하였다. 이중에 두 상동 X 염색체가 모두 삭제된 클론을 선별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RNA 기반 형광이미지, High-throughput RNA sequencing (RNA-seq) 기술을 이용해 XCI 현상에 영향을 주는 Xist 영역을 조사하여, 생쥐 Xist와 유사하게 Repeat E, B+C 영역이 XCI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간 Xist 엑손 5는 생쥐와 다르게 XCI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엑손 5를 삭제 했을 때 다른 염색체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X 염색체의 유전자 발현이 크게 증가하는 재활성화 현상을 보였고, 이것은 비활성화 된 X 염색체의 발현에 의한 현상임을 밝혔다. 생쥐에서는 Xist를 삭제해도 X 염색체의 재활성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간의 X 염색체에서는 재활성화가 확인되면서 배아 발생단계에서 낮은 수준의 XCI의 현상이었다.

    • 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 지원사업 :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연구자 : 김형범, 남진우
  • 유전자가 최소화된 미생물의 독특한 생장원리 규명

    적응진화기법을 통해 최소유전체 대장균의 성장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켰다(적응진화 전후 대비 180% 증가). 적응진화 과정에서 118개의 돌연변이를 발견하였고, 개별적으로 재현·검증하여 성장 속도를 증대시키는 원인 유전자를 규명하였다. 적응진화 최소유전체는 RNA 중합효소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세포 내의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이 재구축되었으며 최소유전체의 대사 경로와 유전자 발현은 일반적인 미생물과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였고 재구축된 당대사 및 필수 아미노산 대사 경로의 분석을 통해 최소유전체에 맞게 최적화된 새로운 대사 원리를 제시하였다. 전사체 분석결과, 당대사 과정에서 대부분의 생명체와 다른 대사 경로를 더 많이 이용함으로써, 타 대장균보다 4.5배 높은 환원력을 얻는 것을 발견하였다.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항암효과를 가진 유용 물질인 리코펜 및 비올라세인의 생산량을 일반 대장균 대비 80% 증가시켰다. 번역체 해독 결과, 최소유전체에서는 번역 완충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최소유전체 대장균은 번역 완충 현상이 없기 때문에 단백질 생산량이 일반 대장균에 비해 200% 증대되었다.

    • 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지원사업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 연구자 : 조병관, 김선창
연구성과 더보기
IR 정보25
  • logo2,jpg.jpg
    닥터프로랩

    ㈜닥터프로랩은 다년간의 항균제 내성 연구를 바탕으로 항균제 내성 진단 키트, 장비 및 새로운 항균제 개발을 통해 인류의 생활과 건강 증진을 선도하는 헬스케어 기업입니다.

    • 사업분야 : 진단키트 제조 및 판매업
    • 기관분류 : 벤처기업
    • 참여행사 : 바이오 혁신성장 대전
    • 참여일정 : 2020-12-21~2020-12-27
  • 2020 바이오혁신성장대전_(주)아이센랩 로고.png
    주식회사 아이센랩

    ㈜아이센랩은 날숨 (호기가스) 분석 기반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연구하는 전문 기업으로, 인체의 날숨에서 배출되는 미량의 바이오마커 가스 성분들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 기술과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질병을 조기에 진단함은 물론, 질병예방과 건강관리가 가능한 호기가스 분석 기반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사업분야 : 의료기기 제조업
    • 기관분류 : 중소기업, 벤처기업
    • 참여행사 : 바이오 혁신성장 대전
    • 참여일정 : 2020-12-21~2020-12-27
  • logo.jpg
    프로티나

    • 사업분야 : 의료 및 진단결과 제공
    • 기관분류 : 중소기업, 벤처기업
    • 참여행사 : 바이오 혁신성장 대전
    • 참여일정 : 2020-12-21~2020-12-27
  • MThera_Logotype_01_기본형_black.png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안녕하세요? 대표이사 손미원입니다. 엠테라파마는 인류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제약벤처기업입니다. 여러가지 병인을 갖는 만성 난치성 질환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다중타겟의 천연물 기반 신약개발 중이며, 향후 MC/MT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엑소좀 등으로 신약개발 범위 확대하여 해외 경제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약벤처로서 신약개발에 전반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구축하고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해 최고수준의 전문가들의 역량을 결집하고자 하며 국내 최고의 지속가능한 글로벌 회사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사업분야 : 의약품 제조업, 신약연구 및 개발업
    • 기관분류 : 벤처 제약 기업
    • 참여행사 : 바이오 혁신성장 대전
    • 참여일정 : 2020-12-21~2020-12-27
  • 기업로고_세라노틱스(주).png
    세라노틱스㈜

    미국 FDA가 2017년 전년 대비 2배가 넘는 신약을 승인하면서 21년 만에 최고 승인 건 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 중 항암 신약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초로 CAR-T 면역항암제 2건(Kymriah, Yescarta)이 허가를 받았습니다. 바이오 항암 신약에 대한 관심과 전망이 급증하고, 본격적으로 면역항암제 시대가 도래한 해였습니다.

    • 사업분야 : 의약 / 화장품
    • 기관분류 : 벤처기업
    • 참여행사 : 바이오 혁신성장 대전
    • 참여일정 : 2020-12-21~2020-12-27
IR 더보기
  • 커뮤니티 썸네일
    개인 맞춤형 의료 제공을 위한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계획

        개인 맞춤형 의료 제공을 위한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계획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8 ◇ 일본 NTT사와 국립신경정신과센터는 2024년부터 3년 동안 뇌질환 및 정신질환에 대한 방대한 연구 및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Brain Bio-Digital Twin Technology)을 개발 한다는 계획. 다양한 형태의 신체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하여 환자는 자신의 뇌가 아닌 “트윈”에 테스트할 수 있어 진정한 개인 맞춤형 의료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businesswire, NTT and NCNP to develop Brain Bio-Digital Twin Technology, 2023.09.14. ■   일본, 2024년부터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착수할 예정 ○ 치매, 우울증의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면서 다양한 뇌질환 및 정신질환이 글로벌 해결과제로 부상 - 2025년 일본에서만 65세 이상 노인 약 675만 명이 치매(노인 인구의 18.5%)에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펜데믹 이후 우울증 진단 환자는 2배 이상 증가 - 하지만 이러한 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의약품 및 치료 방법이 부족 하며, 복잡하면서도 고가의 침습적 검사로 인해 환자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 이 가중되는 상황 ○ 이에 일본에서는 뇌질환 및 정신질환에 대한 방대한 양의 연구 및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Brain Bio-Digital Twin Technology)을 개발한다는 계획 - 개인의  신체, 심리 상태를 상세한 디지털 데이터로 매핑 하여 건강 상태를 이해하고자 하는 개념으로 NTT(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사에서 2020년 11월에 제안 ※ 특히, NTT사의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측하는 AI 뇌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는 계획 ○ NTT사는 일본 국립신경정신과센터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뇌신경질환에 대한 영상자료 등 다양한 임상 데이터*와 의학적 해석을 제공할 예정 * 뇌신경질환 분석에 유용한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생체시료 (혈액, 뇌척수액, 조직시료, 유전정보 등) 데이터 등 ○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신체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하여 상세지도 및 생체 모델 생성 -  환자는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뇌가 아닌 “트윈”에 테스트 가능 출처: Businesswire, NTT and NCNP to develop Brain Bio-Digital Twin Technology, 2023.09.14. ■   2024년부터 3년 동안 NTT사와 일본 국립신경정신과센터는 뇌 및 신경계 기능과 질병을 모델링할 계획 ○ 두 조직은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 에 관한 의약품 규제에 협조하고,  질병의 조기 발견과 심각한 부작용에 관한 개인적 위험도를 예측 하는 등 질병 예방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단순화된 검사로 환자의 비용 부담이 감소하고, 부작용 유무 및 심각도에 따라  투약량 사전 예측이 가능해질 전망 ○ 다양한 질병 상태에 대한 데이터 수집, 재현, 분석을 통해  의약품 및 치료법의 체계 확립에 기여 - 임상 소견의 고도화된 분석을 통해 위험을 예측하고 질병 조기 발견 및 예방이 가능하며 의약품 승인 가속화 또한 기대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7 ◇ 10년 전 과학자들은 ‘젊은 혈액(young blood)’을 수혈 받은 늙은 쥐에서 학습능력과 인지능력을 포함한 젊음의 특성(youthful properties)이 복원된다는 사실을 발견. 이후 과학자들은 혈액 속 역노화 유도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 최근 캘리포니아대 비예다 교수 연구팀은 젊은 피에서 노화를 억제하는 혈액 성분인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를 발견하고 PF4가 늙은 쥐의 뇌 기능을 젊게 되돌린 역노화(rejuvenation) 효과를 보고 ▸주요 출처 : Nature, Platelet factors attenuate inflammation and rescue cognition in aging, 2023.8.16.,Nature communications, Platelet-derived exerkine CXCL4/Platelet factor4 rejuvenates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restores cognitive function in aged mice, 2023.8.16. ■   젊은 혈액(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분비 사이토카인, 혈소판인자4(PF4)를 발견하고 역노화 효과를 밝힌 연구 결과가 발표 ○ 10년 전 과학자들은  젊은 쥐의 피를 수혈 받은 늙은 쥐에서 뇌 기능 회복 을 포함한  젊은 특성이 회복 된다는 사실을 발견 - 미국 캘리포니아대 사울 비예다(Saul Villeda) 교수 연구팀은 젊은 피에서 노화를 억제하는 혈액 성분을 찾기 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 젊은 피를 수혈 받은 늙은 쥐에서  혈소판인자 4*(Platelet factor4,PF4)의 수치가 현저히 증가한 사실을 확인 * PF4는 Exerkine,CXCL4로도 불리는 혈소판 분비 사이토카인으로,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상처 회복(wound healing) 관련 단백질 - 또한  젊은 쥐 혈액에서  늙은 쥐 보다  PF4 수치가 훨씬 높다는 결과 를 토대로  PF4를 항노화 인자 로 주목 /span ○  PF4를 주사한 늙은 쥐의 뇌(해마) 에서 면역세포 조성, 신경염증, 신경시냅스가소성이  젊은 쥐와 유사한 상태로 변화된 역노화 효과 를 확인 - PF4의 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24일간 8회 마우스 PF4 단백질을 늙은 쥐(20개월)에 주사 후 역노화 효과를 측정 ○ 특히 노화의 영향에 취약한 해마에서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 감소 와  시냅스가소성 (신경세포 간의 연결 강도를 변화시키는 능력)  수치 증가 를 관찰하였으며, - 인지기능과 다양한 유형의 면역세포 비율(ratiosofvarioustypesof immune cell)이 젊은 쥐와 유사하게 회복 ▲︎  젊은 쥐와 늙은 쥐의 혈소판 (a) 과 혈장 (b) 에서  PF4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  젊은 쥐의 혈소판과  혈장에서   늙은 쥐 대비  PF4  단백질 발현양이 훨씬 높음 .  인체 샘플에서도 혈소판 (c) 과 혈장 (d) 에서도   마우스와 동일한 결과를 보임 ▲︎  24 일간  8 회 마우스  PF4 를 늙은 쥐의 혈관에 주사 후 (e) ,  해마 영역에서 염증 관련 유전자 (f),   보체인자  C1q (g) 의 발현양과 미세아교 세포 ( 뇌 거주 대식세포 ) (h)   수를 측정한 결과 , PF4  처리군에서 대조군 대비 염증 관련 유전자와 보체인자 발현양이 감소했고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미세아교세포 수가 감소하여 노화 관련 염증반응이 완화 출처 : Nature, Platelet factors attenuate inflammation and rescue cognition in aging, 2023.8.16. ■   이번 연구를 통해 연구팀은 PF4는 항노화 치료제 및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용 바이오마커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엘리비안(Elevian)과 알카헤스트(Alkahest) 기업 은 PF4를  재생과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는 치료제 개발 을 위한  후보물질로 검토 - PF4를 합성 후 혈관에 주입해 젊은 혈액의 조성으로 변화시켜 노화를 되돌리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 진행 ○ 또한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용 바이오마커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PF4 수치 감소가 알츠하이머병에 선행 하는 현상이라면  기존 알츠하이머병 치료약은 초기 단계 복용 시 가장 효과적 이므로 위험 식별용  바이오마커로 유용할 것 으로 기대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키메라 배아로 돼지에서 인간화 신장 배양

        키메라 배아로 돼지에서 인간화 신장 배양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6 ◇ 돼지 배아에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주입해 키메라 배아 (chimeric embryo)를 만든 뒤, 대리모 돼지에 이식하여 초기 단계의 인간 신장을 형성한 연구결과가 발표. 연구팀은 재생의학의 가능성을 열고 인간 신장 발달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창을 제공한 것이라고 설명 ▸주요 출처: Cell Stem Cell, Generation of a humanized mesonephros in pig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ia embryo complementation, 2023.9.7.; 연합뉴스, " 인간화 신장 가진 돼지 배아, 대리모에서 28일간 배양 성공", 2023.9.8 ■   중국 연구팀, 인간과 돼지 키메라 배아(chimeric embryo)를 제작하여 돼지에서 초기 인간 신장 형성을 확인 ○  장기 부족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인체에서 면역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변형된 돼지의 신장과 심장을 이식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면역억제 약물 복용과 같이 평생 치료를 해야하는 상황 - 이에 대한 대안으로  특정 장기에 관한 유전자가 제거된 돼지 배아에 인간의 줄기세포를 넣어 원하는 장기를 성장시키는 아이디어 를 연구 중 ○ 중국과학원(CAS) 광저우 바이오의학보건연구원 Liangxue 박사 연구팀은  인간화 신장을 가진 돼지 배아 를 만들고 이를  대리모 돼지에 이식, 28일간 성장시키는 데 성공 했다는 논문*을 발표 * Cell Stem Cell, Generation of a humanized mesonephros in pig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ia embryo complementation, 2023.9.7 - 신장 형성 유전자를 제거한 돼지 배아에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주입해 인간과 돼지 세포를 모두 가진 키메라 배아(chimeric embryo)를 만든 뒤, - 대리모 돼지에 이식하고 28일간 키워 인간화된 신장이 정상적인 구조와 세뇨관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 ○ 이전 연구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인간 혈액이나 골격근 같은 조직을 돼지 몸 속에서 만든 적은 있지만  인간화 고형 장기를 성장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 이라고 설명 ■   특히, 연구팀은 인간 줄기세포가 돼지 배아에 잘 통합되도록 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을 사용 ○ 먼저 돼지 배아에 주입될 인간 줄기세포를 유전적으로 변형하여 2개 유전자(MYCN, BCL2)의 활동을 증가시켰는데, 이러한 변화는  인간 세포가 돼지 세포와 경쟁하는 능력을 강화 하고 세포자살(apoptosis)을 억제 ○ 두 번째로, 인간 세포가 돼지 세포보다 발달 측면에서 앞서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초기 발달 단계로 되돌리는 특수 배지 (4CL medium)를 만들어 인간 줄기세포를 배양 - 그 결과, 인간 세포는 인접한 돼지 세포와 더 잘 통합되는 것을 확인 ○ 마지막으로, 인간 줄기세포가 돼지 고유의 신장과 경쟁할 필요가 없도록  크리스퍼(CRISPR) 유전자편집기술로 돼지 배아에서 신장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 2개(SIX1, SALL1)를 제거 출처: Cell Stem Cell, Generation of a humanized mesonephros in pig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ia embryo complementation, 2023.9.7 ○ 연구진은 이 과정을 거쳐 총 1,820개의 배아를 대리모 돼지 13마리에 이식하고, 25일 또는 28일간 성장시킨 후 배아를 추출해 키메라 배아에서 인간화된 신장이 제대로 형성됐는지 분석 - 분석 결과, 키메라 배아의 신장들은 모두 구조적으로 발달 단계에 맞게 정상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장 구성 세포 가운데 50∼60%가 인간 신장 세포인 것으로 분석 - 대리모 이식 25∼28일에 신장들은 발달 두 번째 과정인 mesonephros 단계에 있었고, 신장과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이 될 세뇨관과 전구 세포들도 형성돼 있는 것으로 확인 ¶ 대리모 돼지에 이식된 키메라 배아(E25, E28)의 신장에는 일반 돼지 배아(WT)와 달리 인간 신장세포(빨간색 형광)가 많이 분포 출처: Cell Stem Cell, Generation of a humanized mesonephros in pig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ia embryo complementation, 2023.9.7 ■   연구팀은 재생의학의 가능성을 열고 인간 신장 발달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창을 제공한 것이라고 설명 ○ 이 연구를 통해 인간-돼지 키메라 배아에서 인간화된 신장을 성장시키는 최적화된 조건을 찾았다며 앞으로  신장을 더 오래 발달시키고, 돼지에서 심장과 췌장 같은 다른 인간 장기를 생성 하는 연구도 계획 - 장기적 목표는 인간 장기 이식을 위해 기술을 최적화하는 것이지만 이 작업은 복잡하고 수년이 걸릴 수 있다며 돼지에서 완전한 기능을 갖춘 인간화 장기를 성장시키려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추가 설명 ○ 한편, 돼지와 같은  이종 동물에서 인간 장기를 키우는 것은 윤리적 문제를 야기 - 인간 세포는 동물의 신경조직이나 생식기관에 들어가 잠재적으로 정신 능력을 변화시키거나 심지어 인간 유전자를 가진 정자나 난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고 우려 - 이번 연구에서도 인간 세포가 신경조직이나 생식선 같은 배아의 다른 조직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는데 인간 세포는 대부분 신장 형성에만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 ○ 일부 전문가들은 돼지 배아에 주입하기 전에 인간 줄기세포를 강화하기 위해 취한 접근방식은 매우 타당하다고 인정하지만, -  돼지 배아에 있는 인간 신장세포가 좋은 것인지, 성인의 신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증거가 없다 고 비판 - 또한  인간 줄기세포에 가한 유전적 변형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 고도 경고하며, 장기 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전기 자극에 의한 유전자 스위치로 작동하는 인슐린 임플란트

        전기 자극에 의한 유전자 스위치로 작동하는 인슐린 임플란트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5   ◇ 약간의 전류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혈중 인슐린과 혈당 수치를 제어하는 ‘인슐린 임플란트’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 전기적 자극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켜거나 끄는 ‘전기적-유전적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유전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임플란트,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될 경우 실시간 투약을 포함한 유전자 및 세포 기반 치료법에도 유용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Experimental insulin implant uses electricity to control genes, 2023.8.1.; Nature Metabolism, An electrogenetic interface to program mammalian gene expression by direct current, 2023.7.31 ■   최근 전기적 자극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켜서 생물학적 과정을 제어하는 ‘전기적-유전적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 ○  세포 내 중요한 신호 분자이자 유전자 발현의 조절자로 기능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작용 원리를 이용하여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유도 -  ROS는 대사과정 중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세포에 직접 전류를 가해서 생성 가능 ○  연구팀은  ROS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합성 프로모터 서열 뒤에 인슐린 유전자를 배치한 리프로그래밍 세포를 제작 -  합성 프로모터 서열은 산화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항산화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반복적인 항산화 반응 서열로 구성 ○  ROS 생성을 위해 세포에 약한 전류를 가하자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관찰 -  방출되는 인슐린의 양은 전류를 가하는 시간과 강도에 비례하나, 일정 수준 이상을 넘어갈 경우 세포의 생존률과 인슐린 발현량이 급감 ■   연구팀은 마우스 in vivo 실험을 통해서도 인슐린 임플란트가 제대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 ○  위와 같이  리프로그래밍된 인간세포를 미세캡슐에 넣어 고혈당이 있는 마우스에게 이식 한 후, -  전기장치와 니들을 사용하여 피부 바로 아래 있는 미세캡슐에 전류를 전달 ○  이식된 미세캡슐 내 세포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었을 때 마우스의 혈중 인슐린 수치가 증가했으며 혈당 수치가 정상 수준으로 변화 -  in vitro 실험과 같이 방출되는 인슐린의 양은 전류를 가하는 시간과 강도에 비례했으며, 주변 조직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   이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로, 인체에 테스트하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나 연구팀은 추후 이 시스템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제어되는 웨어러블 의료기기에 적용될 수 있기를 희망 ○  디지털 전자장치와 생물학적 시스템을 상호 연결 하는 기술은  제1형 당뇨병 등 다양한 유전질환 치료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뿐만 아니라 의료용 임플란트 및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될 경우 실시간 투약을 포함한 유전자 및 세포 기반 치료법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마우스 등에 이식된 인슐린 임플란트 내 세포 자극 모식도 ▲︎  배터리에 연결된 전기 자극 주사침   출처 : Nature Metabolism, An electrogenetic interface to program mammalian gene expression by direct current, 2023.7.31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교환 시장 현황 및 전망

        [BioINdustry No.184]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교환 시장 현황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조예진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US Healthcare Data Analytics 2023’와 ‘US Healthcare Data Exchange and Monetization Strategies 2023’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1. 개요  1) 헬스케어 데이터의 개념 및 유형  2) 분석 범위 2.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 동향  1) 시장 구조  2) 시장 전망  3) 시장 성장요인  4) 주요 기업 3. 헬스케어 데이터 교환 시장 동향  1) 시장 구조  2) 시장 전망  3) 시장 성장요인  4) 주요 기업   [요약문] □ 헬스케어 데이터는 개인의 질병 및 건강과 관련한 정보를 총칭하는 개념 ○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주체 에 따라 분류하면, 의료기관에서 생성·보유하는  의료 데이터 , 유전체 분석을 통해 생성하는  유전체 데이터 ,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수집하는  개인건강정보 , 공공기관에서 보유하는  보건의료 데이터 로 구분할 수 있음 ○ 헬스케어 데이터와 관련하여 데이터 분석 시장과 데이터 교환 시장이 형성됨에 따라 두 분야를 중심으로 헬스케어 데이터 관련 시장 동향을 전망하고자 함 ※ 본 보고서는 미국의 데이터 분석 및 교환 시장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동향을 제시 □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은 최종 사용자가 다양한 환자 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운영 효율성 개선을 위해 개인화된 증거를 보고하고, 예상가능한 비용을 감축하여 임상 진단 및 보고의 표준화를 가능케 하는 IT 지원 제공을 중심으로 형성 ○   ( 적용영역 )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은 임상 분석, 재무 분석, 운영 분석 으로 세분 - 임상 분석은 환자의 기존 건강 상태에 중점을 두고 환자가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예측하는 데에 사용되며, 주로 전자 건강 기록(EHR) 데이터를 사용 - 재무 분석은 다양한 치료법이 환자의 전반적인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술 비용, 보험 적용 여부 등의 정보 제공 및 의료서비스 제공업체의 재무 성과 개선에 활용 - 운영 분석은 의료기관 운영상의 이점 파악, 환자 치료결과 개선에 사용하며, 주로 환자 흐름 예측, 직원 배치 수준 최적화, 약물 관리 개선등에 사용 ○  ( 시장 전망 )  미국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은 2022년 170억 달러에서 연평균 22.3%로 성장하여 2028년에는 57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 성장요인 )  데이터 분석 시장은 전반적으로 성장세이지만, 특히 임상분석의 성장이 두드러짐 - 임상 분석은 인구집단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 원격의료 서비스 도입 가속화, 인지 AI 및 딥러닝과 같은 파괴적인 기술의 부상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 특히, 미국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지불자가 가치 기반 의료 모델로 전환함에 따라 환자집단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세 파악, 결과모니터링 등의 필요성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 □ 헬스케어 데이터 교환 시장은 안전하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의료 조직, 제공자 및 시스템 간에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지원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형성 ○  (적용영역)  건강 정보 교환(HIE),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블록체인, 다이렉트 메시지, 건강정보서비스(HIaaS)로 세분 - 건강 정보 교환(Health Information Exchange, HIE)은 전자의료기록(EHR) 공급업체, 의료서비스 제공업체의 협력으로 의료 제공자와 의료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 -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서로 다른 의료 시스템 간의 헬스케어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직접적인 정보교환 서비스를 제공 - 블록체인 기술은 여러 기관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안전하고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 및 보안을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 - 다이렉트 메시지(DM)는 보안 이메일 기능을 포함하여 복잡한 헬스케어 데이터 교환 솔루션을 구현할 자원이 부족한 소규모 의료 기관에서 주로 선호 - 건강정보서비스(HIaaS)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교환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포함하여 데이터 분석에서 공유까지 광범위한서비스를 제공 ○  (시장 전망)  글로벌 전체 시장 추산은 미비하지만, 2022년 건강 정보 교환(HIE) 시장이 18억 달러, 블록체인 시장은 7.6억 달러, 헬스케어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387억 달러 규모로 파악되어 전체 시장 규모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 ○  (성장요인)  생성 데이터 증대, 맞춤형 의료 수요 증가, 의료 비용 효율화, 가치 기반 의료로의 전환, 이해관계자 간 협업 증가 등에 따라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 표  1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과 교환 시장의 비교 항목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 헬스케어 데이터 교환 시장 대상 ● 최종 사용자의 데이터 정규화, 예상가능한 비용 감축, 임상 진단 및 보고 표준화 등을 가능케 하는 IT 지원 ● 안전하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의료 조직, 제공자 및 시스템 간에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시장 적용 영역 ● 임상 분석 ● 재무 분석 ● 운영 분석 ● 건강 정보 교환(HIE) ●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 블록체인 기술 ● 다이렉트 메시지(DM) ● 건강정보서비스(HIaaS) 시장 성장요인 ● 인구집단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 원격의료 서비스 도입 가속화, 비용 절감 추구, 의료기관의 운영 최적화 등 ● 데이터 인사이트 품질  향상, 치료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교환 및 분석 필요성 증대, 비용효과적 솔루션 요구 증가 등 ※ 출처: 프로스트앤설리번(2023), US Healthcare Data Analytics 2023, 프로스트앤설리번(2023), US Healthcare Data Exchange and Monetization Strategies 2023,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본문 1 . 개요 1) 헬스케어 데이터의 개념 및 유형 □ 헬스케어 데이터는 개인의 질병 및 건강과 관련한 정보를 의미 ○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에서는 보건의료 정보를 ‘보건의료와 관련한 지식 또는 부호·숫자·문자·음성·음향·영상 등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로 정의하고 있으나,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법적 정의는 아직 마련되지 않음 ○ 다만 헬스케어 데이터를 관리주체에 따라 구분하면, 의료기관에서 생성·보유하는 의료 데이터, 유전체 분석을 통해 생성하는 유전체 데이터,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수집하는 개인건강정보, 공공기관에서 보유하는 보건의료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음 ○ 헬스케어 데이터의 출처는 환자에서부터 병원, 의사, 약국, 지불자, 진단센터, 학계, 공중보건, 제약 및 의료 기술 OEM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 전자건강기록(EHR), 처방전처럼 전체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 가능한 경우와 달리 의사가 보유한 장기 건강 기록, 의료기관의 관리 데이터처럼 아직 디지털화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서 부분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도 존재 ○ 헬스케어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에 기반한 전자건강기록(EHR), 고유장치식별(UDI) 등에 활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오믹스 데이터, 통계 데이터로 범위를 확장하여 실제임상근거(RWE)로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정밀의료를 가능케 하는 중요 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2) 분석범위 □ 본 보고서는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및 교환 시장을 대상으로 함 ○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은 최종 사용자가 다양한 환자 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운영 효율성 개선을 위해 개인화된 증거를 보고하고, 예상가능한 비용을 감축하여 임상 진단 및 보고의 표준화를 가능케 하는 IT 지원 기능을 의미 - 단, 지불자(민간보험사) 및 제공자(의사, 병원 등)를 위한 솔루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생명 과학, 제약 회사 및 공공 부문을 대상으로 하는 솔루션은 제외 ○ 헬스케어 데이터 교환은 안전하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의료 조직, 제공자 및 시스템 간에 환자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자건강기록(EHR), 환자 수집 데이터 및 임상 데이터를 포함 □ 본 보고서는 미국 시장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동향을 제시 ○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및 교환 시장에서 미국은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21년 기준), 글로벌 주요 기업의 대부분이 미국에 본사를 두고 활동 ○ 또한 미국은 데이터를 활용한 임상 예측 분석의 도입 비율이 66%로 글로벌 평균 56%보다 높기 때문에 기술발전,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등 시장을 선도할 유인이 크게 작용 2.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 동향 1) 시장 구조 □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의 적용영역은 임상 분석, 재무 분석, 운영 분석으로 세분 br ○ 임상 분석은 환자의 기존 건강 상태에 중점을 두고 환자가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예측하는 데에 사용되며, 주로 전자 건강 기록(EHR) 데이터를 사용 ○ 재무 분석은 다양한 치료법이 환자의 전반적인 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시술 비용 및 보험 적용 여부와 같은 세부 정보를 제공하거나 의료서비스 제공업체의 데이터셋을 분석하여 재무 성과 및 성장 기회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데에 사용 ○ 운영 분석은 의료 기관이 일상적으로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유용한 인사이트로 변환하여 의료기관 운영상의 이점 파악, 환자 치료결과 개선에 사용하며, 주로 환자 흐름 예측, 직원 배치 수준 최적화, 약물 관리 개선 등에 활용 2) 시장 전망 □ 미국을 대상으로 살펴본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은 2022년 170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22.3%로 증가하여 2028년에는 57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   [ 참고 ]  글로벌 헬스케어 분석 시장 전망       ■ 글로벌 헬스케어 분석 시장은 2022년 274억 달러에서 연평균성장률 25.7%로 증가하여 2027년에는 859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Market and Markets, 2022)        - 적용영역은 임상분석, 재무분석, 운영분석과 수익관리(RCM), 이상거래(fraud)로 구성 □ 미국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을 대상으로 적용영역별로 살펴보면, 2018년 이래로 재무 분석이 적용영역 중에 가장 높은 매출을 내고 있지만 임상 분석 영역이 빠르게 성장하여 2028년에는 재무 분석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 ○ 2022년의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재무 분석 76.5억 달러, 임상 분석 52.7억 달러, 운영 분석 40.8억 달러를 기록하여 재무 분석 시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그러나 임상 분석의 연평균성장률(`22~`28)은 27.6%로 전체 적용영역 중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2018년에는 운영 분석과 비슷한 매출 규모였던 임상 분석이 2028년에는 운영 분석의 2배에 달하는 228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3) 시장 성장요인 p style="text-align: justify; line-height: 1.6; margin: 0px;" □ (임상 분석) 인구집단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 원격의료 서비스 도입 가속화, 인지 AI 및 딥러닝과 같은 파괴적인 기술의 부상으로 시장이 확대 ○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지불자가 가치 기반 의료* 모델로 전환함에 따라 환자집단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추세 파악, 결과 모니터링, 개선 기회 파악 등의 필요성 증대 * 가치 기반 의료(Value-based care)는 의료 서비스별 요금제 모델이 아니라 환자의 건강 결과를 기반으로 의료 제공자에게 보상하는 의료 제공 모델로서, 제공자가 예방치료 및 만성질환 관리에 집중하도록 장려하여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치료의 접근성 향상을 도모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원격의료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환자가 생성하는 의료 데이터 양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환자 만족도, 참여도, 대기 시간, 치료 결과 등을 분석 및 지원할 수 있는 임상 분석 솔루션에 대한 요구 증가 ○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인지 AI 등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더 많은 정보에 입각한 환자 치료 방법 결정 및 결과 개선, 비용 절감 등 전반적인 치료 품질 향상이 가능 □ (재무 분석) 비용 억제에 대한 관심 증가, 의료 서비스 통합과 M&A 증가로 시장 성장 ○ 의료 서비스의 가치 기반 의료 모델 전환에 따라 의료 업계는 비효율적인 비용절감, 수익원 최적화를 통해 재무 성과를 모니터링 해야 하는 필요성 증가 ○ 의료 서비스 통합 및 M&A 활동으로 인해 재무 운영이 한층 복잡해진 대규모 의료 조직이 생겨나면서 재무 분석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 예상 □ (운영 분석) 의료기관이 운영 최적화를 목표로 효율성과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 증대 ○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지불자가 가치 기반 의료를 달성하고 규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운영에 대한 인사이트가 필요하므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운영 분석에 대한 수요 확대 ○ 그러나 헬스케어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지만 데이터 표준화 및 상호운용은 어려운 과제이므로 장기적으로는 시장점유율이 큰 성장을 이루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 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지식 더보기
  • 커뮤니티 썸네일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23~’32)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 23~ 32)   1. 배경 및 필요성 □ 바이오와 디지털 융합 가속화 등 바이오 대전환기 도래 ㅇ 기술 발전, 유전정보 등 데이터의 급속한 증가로 생명공학(바이오) 연구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면서 혁신적인 성과가 창출 * AI 활용 신약 후보물질 발굴 시간 300배 이상 단축, 단백질 접힘문제 해결, AI기반 유전자가위 활성 예측으로 제작비용 획기적으로 단축 등 ㅇ 바이오가 전 분야에 파급되면서 감염병, 기후변화, 식량문제 등 글로벌 난제를 풀고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기술로서 중요성 증대 * 10년 내 기존 제조산업의 30% 이상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 전망( 22.09, 백악관) □ 주요국들은 바이오 기술을 전략기술化하고 기술확보 경쟁 중 ㅇ 주요국들은 바이오를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자국 내 바이오 공급망 확보를 통해 기술 주권을 확립하기 위한 지원 집중 * (美) 자국 내 바이오 연구 및 생산능력 강화하고, 국내 바이오제조 역량 강화, 인력양성 등을 위한 행정명령 발동(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22.9)) ㅇ 합성생물학, 뇌·기계 인터페이스 등 핵심기술에 대한 수출 제한조치 강화 등 기술 블록화 현상 심화 * (中) 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 등 핵심기술 수출 제한조치 시행( 23.2) □ 우리도 바이오 대전환 선도를 위해 기술 및 산업역량 확보 필요 ㅇ 민관 혁신주체의 노력으로 바이오 기술역량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나, 추격자에서 벗어나 선도국 도약은 지체 * 선도국 대비 기술수준( 20)은 18년 대비 2.7%p(75.2%→77.9%) 증가하였으나, 선도분야(80% 이상)의 경우 오히려 기술발전이 지체(유지 및 하락) ㅇ 바이오경제의 글로벌 대비 영세성과 의약품·의료기기 분야에 집중되는 문제 등 바이오경제의 고도화 필요 2. 계획의 근거 및 성격 □ 근거   생명공학육성법에 따라 과기정통부 등 15개 부처가 공동으로 수립하는 생명공학 분야 R&D 최상위 법정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관계부처의 생명공학육성계획을 종합·조정하여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 (생명공학육성법 제5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 * 관계부처 : 기획재정부, 교육부,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특허청, 질병관리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 성격   관계부처의 세부계획을 종합·체계화하여 생명공학 분야를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국가 차원의 비전과 정책 지침 제시 □ 수립체계 과기정통부 주관 하에 관계부처 협력을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기본계획에 근거하여 매년 시행계획 수립 * 과기정통부 주관 하에 관계부처의 세부계획을 5년 주기로 종합·체계화   3. 추진 경과 □  국내외 정책이슈 탐색 및 발굴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20.12~’21.5) ㅇ  「바이오혁신 정책플랫폼」 운영을 통해 혁신 정책방향 및 감염병 등  주요이슈 심층 토론·토의 ※ 정책/기술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되어 총 7차례 회의 추진 □  제1차 총괄위원회 개최 (’21.7.21) ㅇ  제4차 기본계획 수립계획안 공유, 바이오혁신 트렌드 토의 등 □  분과별 회의 추진 (’21.8월~) ㅇ  6개 분과별* 최소 2차례(최대 6차례) 이상 분과회의 진행 * 생명과학 / 레드바이오/ 그린바이오/ 화이트바이오/ 인프라/ 법제도 - 정의 및 핵심이슈 선정, 추진전략 및 중점분야 등 도출‧구체화 □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1.9.2) ㅇ  분과별 핵심쟁점 논의 및 총괄 전략 프레임(안) 검토 등 □  제2차 총괄위원회 개최 (’21.11.15) ㅇ  발굴된 핵심이슈와 분과별 전략안 등을 기반으로 총괄전략 및 세부  방향안 도출 결과에 대해 심층·종합 논의 ※ 최근 발표(’19.1.∼’21.7.)된 관계부처의 중장기 계획(전략/ 방안)등을 집중 검토 및 반영 □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2.9.30) ㅇ  전략, 목표 및 전략별 세부 과제의 적절성 등 논의 □  제3차 총괄위원회 개최 (’22.11.17) □  대국민 공청회 개최 (’22.11.23) □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 및 「합성생물학 육성전략」수립 (’22.12) □  현장의견 수렴을 위한 기업 현장방문* 및 전문가 간담회 개최 (’23.4.20) * 인공지능 신약개발 기업 □  관계부처 의견수렴 (’23.5. 2차례) 이용자 여러분의 많은 활용을 부탁드립니다.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21년 하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책자신청 선착순 170명]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2023년 8월 23일 (수요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회원대상  170 권  책자신청을 받습니다. https://www.bioin.or.kr/bkletPblancView.do?num=316763&cmd=view&bid=req_rep&cPage=1 ◑ BioINwatch로 살펴본 주요 이슈 ◐ □ 2023년 바이오는 디지털 기술로 연구개발(R&D)을 혁신하는 ‘디지털바이오 전환’이 가속화되고 이런 변화와 함께 바이오경제를 정의, 측정 및 모니터링을 강조 ○  디지털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정밀의료, 유전자편집, 바이오파운드리 등 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기술과 공정을 활용한 바이오산업과 혁신된 연구개발 결과를 소개 ※ (예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헬스케어 기술수요가 확대되면서 디지털 치료제, 원격의료 플랫폼으로 헬스케어 분야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모든 유전체 정보가 데이터화되고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시대로 전환 ○  화석기반 경제에서 재생가능한 바이오제조(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 하기 위해선 바이오기술과 디지털기술과의 융합이 중요 ※ (예시) 바이오제조기술 혁신으로 생물학적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설계-구축-시험-학습 사이클 수행하는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디지털 기술로 바이오경제 모니터링 ➤ BioINwatch 23-2, 23-4, 23-5, 23-9, 23-10, 23-11, 23-14, 23-19, 23-29, 23-30, 23-32, 23-36, 23-38, 23-46 □ 네이처, 사이언스, MIT 등에서 2023년 주목해야 할 과학 이벤트 및 2023년 10대 혁신기술을 발표(23.1) ○ 네이처, 사이언스에서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 가속화, 크리스퍼 유전자편집 신약 등 바이오 분야를 포함하여 전망한 주요 과학 이벤트를 소개 ※ (바이오 분야) 최초 크리스퍼 유전자편집 신약 승인 전망 및 그 외 크리스퍼 신약개발 현황, 뎅기열, 엠폭스, 결핵, 헤르페스 등 다양한 감염병 극복을 위한 노력,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전망 ○ MIT는 세계적으로 연구되는 기술 중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는 ‘2023년 10대 혁신기술’을 발표, 바이오 관련 기술은 4개 기술을 소개 ※ 바이오 관련 혁신기술 : ①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크리스퍼 기술, ②원격진료를 통한 임신중절, ③주문형 장기 이식, ④고대 유전자(DNA) 분석 ➤ BioINwatch 23-1, 23-3, 23-15, 23-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 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2022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2022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1.합성생물학 월간동향 ( 22.1월) 01.언론 모니터링 1)Forbes 세상을 변화시킬 10대 기술 트렌드 소개 ●  4차 산업혁명 이후 기술 간 융합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되며, 세상을 변화시킬 10가지 주요기술 동향소개 ●  유전자 편집 및 합성생물학을 10대 주요 기술 중 하나로 선정  - 유전자 편집은 질병과의 싸움에서 획기적인 도약을 가져올 것이며,  합성생물학을 통해 제품 생산 방식의 변화가 초래할 것으로 예상 - 합성생물학은 긴 DNA 가닥을 엮어 유기체에 삽입하는 작업으로 이러한 유기체는 완전히 새로운 능력을 선사할 것으로 전망 ● 새로운 기술 트렌드가 결합되어 우리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는 지속적이고 빠른 진화의 시대에 진입했으며, 지속적인 변화가 미래의 길임을 인지해야 함 출처 : Forbes, 2022.1.5 2) 백신개발 및 제조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 GSK, Atos·Siemes와 협력하여 백신 개발 및 제조의 디지털 트윈 제조 ● 디지털 트윈을 백신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인 동적 도구라 말하며, 백신을 만드는 각 단계에 디지털 트윈을 구축, 결합해 전체 생산라인을 시뮬레이션해야 한다고 밝힘 ● 오프라인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실제 백신 프로세스의 시뮬레이터로 사용하고, 온라인에서는 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신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 ● 디지털 트윈은 IT와 비즈니스, 과학 간의 협력 결과로, 디지털 트윈을 지원하고 연구실에서도 제조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강구해야 한다고 언급 출처 : Genengnews, 22.1.12 3)  한국콜마, 스마트 세포공장 활용한 신소재 개발에 나서 ●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전문기업 한국콜마는 성균관대 바이오파운드리센터와 함께 ‘100% 인체 유사 콜라겐’ 개발 계획 ● 콜라겐 관련 제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1,219억 원으로 3년 만에 5배 이상 증가(식품의약품안전처) ●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특정 형태의 콜라겐 DNA를 미생물 균주에 합성해 생산 균주를 확보하고, 대량 배양하는 과정을 통해 인체 유사 콜라겐을 제조 ● 최근, 동물성 콜라겐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돼지나 물고기 등 기존 자원에서 수확하던 성분을 미생물에서 얻어내는 것을 통해 자원 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 출처 : 매일경제, 22.1.9 4)  경상국립대 ABC-RLRC연구팀, 차세대 항정신 의약품 소재 최초 발견 ● 경상국립대학교 ABC-RLRC 연구팀, 다이터페노이드를 합성하는 효소를 규명해, 세포공장에서 대량생산할 유전자원을 확보했다고 발표 ● 매직민트라고 불리며 꿀풀과에 속하는 ‘사루비아 디비노럼’으로부터 항정신병 효과가 큰 다이터페노이드 계열의 살비노린, 살비니신 합성의 전구물질인 크로토놀라이드G를 생산할 수 있는 효소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확보 ● 살비노린과 살비니신은 인간의 감정과 통증을 조절하는 특정 오피오이드 수용체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차세대 항정신 의약품 소재로 각광받는 천연물질 ● 지금까지는 모르핀이 오피오이드 수용체 결합물질로 활용되는 대표 물질이었으나, 앞으로는 살비노린과 살비니신이 오피오이드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것으로 평가 출처 : 아주경제, 22.1.14 5) 유전자 편집으로 소환된 매머드는 기후변화 대응인가, 비윤리적 생물체 창조인가 ● 콜로살(Colossal)이라는 생명공학 회사, 유전자편집 기술로 1만여 년 전 지구상에서 멸종된 울리 매머드(털매머드, woolly mammoth)를 복원하는 연구를 진행 중 ● 콜로살은 매머드가 추운 환경에서 사용한 유전자 60개를 파악해 분리한 후, 아시아 코끼리의 유전자 코드 내로 삽입하는 연구를 진행 ● 2027년 경, 복원된 매머드가 북극 툰드라에 새로운 발자국을 남길 것이라 예측 ● 하지만, 일부에서는 매머드의 멸종 복원이라기보다는 코끼리의 유전자 변형으로 완전히 새로운 합성 생물체를 창조한 것이라며 비윤리적 시도라고 질타하며 ● 과거 멸종된 생물을 복원하는 시도 그 자체가 예기치 못한 매머드급 인류발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 출처 : 약업신문, 22.1.19 6)  2022년 주목해야 할 최고의 생명과학 스타트업 ● Biospace, 북미의 유망 생명과학 기업 목록 NextGen Bio “Class of 2022” 발표 - ’20년 9월부터 ’21년 9월 사이 시리즈A 펀딩으로 출범한 회사를 분석 - 재무, 협업, 파이프라인, 성장 잠재력 및 혁신에 대한 가중치 부여로 유망 생명과학 스타트업 30개의 순위 결정 ● 29위를 차지한 ‘Strand Therapeutics’의 경우, 세계 최초의 mRNA용 합성생물학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을 주도한 MIT 팀의 일원인 Jake Becraft가 설립(’21.6)했으며, 암 면역 요법 및 지속성 mRNA 치료제 발전을 위한 시리즈A 펀딩에서 5,200만 달러 달성 출처 : BioSpace, 22.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 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2022년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2022년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가. 발간 개요 ○ 본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은 2022년 국내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된 보도자료 중 BT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성과를 취합.정리 하였습니다.  BT 관련 주요 연구성과를 계속적으로 취합.정리, 축적하여 연구자 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 BT연구를 적극 홍보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나. 대상 ○ 생명공학분야 R&D 성과의 주요 부처 및 유관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등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 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 커뮤니티 썸네일
    Bio Emerging Technologies in 2023

    Bio Emerging Technologies in 2023 1.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  Definition of Bio Emerging Technologies ㅇ  Technology including science, phenomenon, and concepts that can be realized technically or industrially within the next 5 to 10 years based on life science and is expected to have a high effect on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in the future - (Bio) Based on the study of life phenomena   (life sciences) , it can be used to promote the discovery of scientific knowledge, solve problems, or produce useful products -  (Emerging Technologies) Technology that can be realized technically   or industrially within the next 5 to 10 years and has a high  rippl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dustrial innovation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 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카테고리 :
    • 출처 :
    • 작성일 :
발간물 더보기
행사271
행사 더보기
커뮤니티75
  • 바이오 취업 정보방

    바이오 분야 취업 정보 교류 커뮤니티

    • 카테고리 : 산업
    • 가입인원 : 16
    • 생성일자 : 2020-07-08 14:42:27
  • 코로나19 기술동향 모니터링

    국내외 코로나19 기술개발,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관한 언론동향, 연구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관계기관과 공유

    • 카테고리 : 연구
    • 가입인원 : 10
    • 생성일자 : 2020-07-08 14:44:10
  • test

    test

    • 카테고리 : 연구
    • 가입인원 : 0
    • 생성일자 : 2020-07-08 15:58:44
  • 줄기세포 콘서트 커뮤니티

    국내 줄기세포 연구 프로들을 위한 커뮤니티

    • 카테고리 : 연구
    • 가입인원 : 9
    • 생성일자 : 2020-07-08 16:02:12
  • 바이오 혁신성장 대전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내 바이오혁신성장 개최를 위한 국내외 바이오 이슈 대응 주요 정책 아젠다 발굴

    • 카테고리 : 정책
    • 가입인원 : 9
    • 생성일자 : 2020-07-08 16:10:24
커뮤니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