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롤조절인자에 의한 리포칼린2 매개 비알콜성 지방간염 발병기전 및 제어전략
|
1711099023 |
2019-09-01 ~ 2022-02-28 |
2019 |
수술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발바닥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
|
1711098568 |
2019-09-01 ~ 2022-02-28 |
2019 |
골 흡수형 파골세포 전환의 선택적 제어를 통한 골다공증의 치료기전연구
|
1711097661 |
2016-12-01 ~ 2019-11-30 |
2019 |
지방조직 특이적 IDH2 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열생성 조절기전
|
1711097005 |
2019-06-01 ~ 2020-05-31 |
2019 |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긴뼈의 양측성 판별분석을 위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
1711095890 |
2019-06-01 ~ 2022-02-28 |
2019 |
유스트레스-회복탄력성 강화를 통한 치매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
|
1711095351 |
2019-06-01 ~ 2022-02-28 |
2019 |
랫드에서 오피오이드-유발성 통각과민에 미치는 orexin의 영향
|
1711094631 |
2019-06-01 ~ 2021-02-28 |
2019 |
임신성고혈압 산모의 중증도와 위험도를 계측할 후 있는 안과적 biomarker 개발
|
1711092025 |
2019-03-01 ~ 2022-02-28 |
2019 |
초기 성인의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를 위한 폭음 스크니링 및 예방 교육 콘텐츠 개발
|
1711091914 |
2019-03-01 ~ 2022-08-31 |
2019 |
Lysosomal cathepsins 활성 조절에 의한 항암제 민감화 및 intracellular organelle의 cross-talk 기전 연구
|
1711091417 |
2019-03-01 ~ 2024-02-28 |
2019 |
양적 단백체 분석을 통한 강직성척추염 진단 바이오 마커 개발
|
1711091202 |
2017-03-01 ~ 2020-02-29 |
2019 |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제 부작용 치료 알고리즘 개발
|
1711091172 |
2019-03-01 ~ 2022-02-28 |
2019 |
멜라토닌의 근감소증 치료효과 및 기전 연구: 자가포식의 역할
|
1711090926 |
2018-03-01 ~ 2021-02-28 |
2019 |
비만 매개 질환 연구센터
|
1711090873 |
2014-05-01 ~ 2021-02-28 |
2019 |
임산부에서 임신 단계에 따른 수면 평가 및 수면장애 예방
|
1711090693 |
2017-09-01 ~ 2020-08-31 |
2019 |
GLDC에 의한 (난소)암줄기세포 형성 과정 조절 기능 규명
|
1711090623 |
2017-09-01 ~ 2020-08-31 |
2019 |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아에서 PET-CT를 이용한 뇌신경발달의 평가
|
1711090393 |
2017-09-01 ~ 2020-08-31 |
2019 |
갈색지방조직에서 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2 조절을 통한 비만 제어
|
1711090361 |
2016-06-01 ~ 2019-05-31 |
2019 |
FGFR 저해제의 암줄기세포 억제 효과; 난소암 항암제 내성 극복과 재발 방지
|
1711090351 |
2017-09-01 ~ 2020-08-31 |
2019 |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에서 가상현실 및 비디오게임 기반 운동 중재 시스템의 적용
|
1711090229 |
2017-03-01 ~ 2020-02-29 |
2019 |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관련 유전자 규명
|
1711089747 |
2018-09-01 ~ 2021-08-31 |
2019 |
한국인의 식행동 및 대사증후군 위험조절 인자로써 미각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 연구
|
1711089698 |
2018-03-01 ~ 2021-02-28 |
2019 |
회피가능 사망의 장기 시계열 추이, 시군구 및 교육 수준별 변화 양상과 APC 효과 분석 연구
|
1711089333 |
2017-03-01 ~ 2020-02-29 |
2019 |
신경펩타이드 오렉신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효과 및 기전 연구
|
1711089278 |
2017-09-01 ~ 2020-08-31 |
2019 |
대사성 증후군에서 대장암 발생기전에서의 긴비암호화 리보핵산의 역할
|
1711089088 |
2017-09-01 ~ 2020-08-31 |
2019 |
3D 프린팅 융합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캐스트 및 보조기와 인체 삽입형 금속판 개발
|
1711089070 |
2017-03-01 ~ 2020-02-29 |
2019 |
임상-유전학적 통합 분석을 통한 담도암의 분자생물학적 아형 예측 모델 확립 및 아형 특이적 표적치료 전략 수립
|
1711089067 |
2018-03-01 ~ 2022-02-28 |
2019 |
신경펩타이드 오렉신의 간세포 지질대사 조절기전 연구
|
1711088586 |
2018-09-01 ~ 2021-08-31 |
2019 |
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 선행항암치료 반응 예측 모델
|
1711088427 |
2017-09-01 ~ 2020-08-31 |
2019 |
정량적 감각 검사를 이용한 하지불안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반응 예측 인자 개발 연구
|
1711087979 |
2017-09-01 ~ 2020-08-31 |
2019 |
골재생 극대화를 위한 BMP-2 탑재 생분해성 염증억제 스캐폴드 개발
|
1711087972 |
2018-09-01 ~ 2021-08-31 |
2019 |
비번역RNA 발현 프로파일을 이용한 류마티스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표적 탐색 연구
|
1711087870 |
2016-06-01 ~ 2019-05-31 |
2019 |
알츠하이머병 발생에서 산화스트레스, 만성허혈, 고지방식이가 뇌아밀로이드 축적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 분석 및 다인자 통합이론의 검증
|
1711087767 |
2017-03-01 ~ 2020-02-29 |
2019 |
소아 음낭수종에서 음낭수종절제술의 필요성에 대한 검증
|
1711087674 |
2017-09-01 ~ 2020-08-31 |
2019 |
Prostaglandin E2 receptor EP2 유도 melanogenesis 제어를 통한 신개념 흑색종 치료제 개발
|
1711087581 |
2017-03-01 ~ 2020-02-29 |
2019 |
Lysosome을 표적을 통한 새로운 항암전략 기전 연구
|
1711087534 |
2016-06-01 ~ 2019-05-31 |
2019 |
Hypervirulent K. pneumoniae 감염의 생물막 생성 및 병독성 인자에 따른 항생제 내성과 임상 양상 비교 연구
|
1711087463 |
2017-09-01 ~ 2019-08-31 |
2019 |
인산화 단백질 관찰이 가능한 뇌 투명화방법 개발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서 단백질 활성이 반영된 3차원 뇌 지도 작성을 통한 새로운 병인 발굴 연구
|
1711087448 |
2018-03-01 ~ 2022-02-28 |
2019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혈중 호모시스테인과 지질지표 비율의 관계 및 예후예측 인자로써의 유용성 검증연구
|
1711087371 |
2017-03-01 ~ 2020-02-29 |
2019 |
방향성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항치매 뉴로코스메틱 신소재 개발
|
1711087222 |
2016-06-01 ~ 2019-05-31 |
2019 |
다양한 한국인 암환자들에서의 BRCA1/2 유전자 변이의 포괄적 분석
|
1711087140 |
2018-03-01 ~ 2021-02-28 |
2019 |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화학방사선치료의 효과 예측을 위한 종양-면역 바이오마커 발굴
|
1711087034 |
2017-09-01 ~ 2020-08-31 |
2019 |
파킨슨병과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에서의 각막 파라미터 측정 연구
|
1711086966 |
2017-03-01 ~ 2020-02-29 |
2019 |
동결 견 발생에 여성 호르몬 및 비타민 D가 미치는 영향
|
1711086739 |
2018-03-01 ~ 2021-02-28 |
2019 |
심방세동 수술 중 시행된 좌심방이 폐쇄술 방법의 유효성 검사: Computed Tomography Angiogram를 이용한 분석
|
1711086316 |
2018-09-01 ~ 2020-08-31 |
2019 |
인공위궤양에서 점막 재생을 촉진하는 자가 혈소판 풍부혈장 기반물질의 개발
|
1711086179 |
2017-09-01 ~ 2019-08-31 |
2019 |
경동맥 협착을 동반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18F-NaF PET-CT의 임상적 효용성
|
1711086044 |
2017-09-01 ~ 2020-08-31 |
2019 |
신경과학 기법을 활용한 기계학습 알고리듬 연구 및 개발
|
1711086007 |
2017-03-01 ~ 2020-02-29 |
2019 |
높은 기공률과 낮은 탄성계수의 고생체적합성 및 무독성 Ti-Zr계 형상기억합금 스캐폴드 개발
|
1711085516 |
2017-03-01 ~ 2020-02-29 |
2019 |
한국인 확장성 심근병증 유전자 연구
|
1711085201 |
2017-03-01 ~ 2020-02-29 |
2019 |
급성기 뇌졸중 치료에서 저체온 치료가 장기적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1711085094 |
2017-09-01 ~ 2020-08-31 |
2019 |
ARD1에 의한 단백질 아세틸화에 의해 조절되는 항암제 내성 기전 규명
|
1711085012 |
2019-03-01 ~ 2023-02-28 |
2019 |
활동적 저항성 운동이 심혈관 질환자의 항염증 신호 및 세포회복기전을 통한 심장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1711084952 |
2017-03-01 ~ 2020-02-29 |
2019 |
차세대염기서열분석에 기반한 새로운 간세포암 치료표적으로 Pim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 규명 및 치료제 개발
|
1711084924 |
2017-03-01 ~ 2020-02-29 |
2019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사용한 혈관 내 단면 영상에서 다양한 병변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시각적 자동분석 및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 개발
|
1711084916 |
2017-09-01 ~ 2020-08-31 |
2019 |
형광이미지 유도를 이용한 유방절제술의 임상적 적용
|
1711084740 |
2018-09-01 ~ 2021-08-31 |
2019 |
리소좀 조절을 통한 TRAIL 항암제 내성 기전 연구
|
1711084567 |
2018-03-01 ~ 2020-02-29 |
2019 |
세포주기 촉진인자 Wee1 kinase의 암줄기능 조절 기전 규명 연구
|
1711084313 |
2018-03-01 ~ 2021-02-28 |
2019 |
일탄소 대사 작용에 관여하는 베타 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β-hydroxybutyrate) 역할과 조절 기전 규명
|
1711083890 |
2018-03-01 ~ 2022-02-28 |
2019 |
뇌졸중환자의 효과적인 거울신경시스템 활성의 극대화를 위한 BCI기술과 게임기술을 결합한 가상현실 재활 시스템 개발 및 임상적 유용성 연구
|
1711083789 |
2017-03-01 ~ 2022-02-28 |
2019 |
지방조직의 카탈라제 기능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비만 표적 발굴
|
1711083596 |
2018-03-01 ~ 2021-02-28 |
2019 |
Fyn Kinase가 비만 관련 대사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
1711083461 |
2018-09-01 ~ 2021-08-31 |
2019 |
멸종위기 포유류 3종(사향노루, 산양, 수달)의 종분포모델 및 서식지적합성지수 모델의 비교연구
|
1711083129 |
2017-03-01 ~ 2020-02-29 |
2019 |
포렌직 톡시코믹스 기반 개인 맞춤형 약물중독 검사법 개발
|
1711082581 |
2015-06-01 ~ 2020-05-31 |
2019 |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관련 유전자 규명
|
1711077361 |
2018-09-01 ~ 2021-08-31 |
2018 |
심방세동 수술 중 시행된 좌심방이 폐쇄술 방법의 유효성 검사: Computed Tomography Angiogram를 이용한 분석
|
1711077244 |
2018-09-01 ~ 2020-08-31 |
2018 |
형광이미지 유도를 이용한 유방절제술의 임상적 적용
|
1711077217 |
2018-09-01 ~ 2021-08-31 |
2018 |
골재생 극대화를 위한 BMP-2 탑재 생분해성 염증억제 스캐폴드 개발
|
1711077162 |
2018-09-01 ~ 2021-08-31 |
2018 |
신경펩타이드 오렉신의 간세포 지질대사 조절기전 연구
|
1711077144 |
2018-09-01 ~ 2021-08-31 |
2018 |
골 흡수형 파골세포 전환의 선택적 제어를 통한 골다공증의 치료기전연구
|
1711076907 |
2016-12-01 ~ 2019-11-30 |
2018 |
에너지 대사율 증진을 통한 대사성 증후군 예방 및 치료제 개발
|
1711075941 |
2018-07-01 ~ 2019-06-30 |
2018 |
일탄소 대사 작용에 관여하는 베타 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β-hydroxybutyrate) 역할과 조절 기전 규명
|
1711075045 |
2018-03-01 ~ 2022-02-28 |
2018 |
인산화 단백질 관찰이 가능한 뇌 투명화방법 개발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서 단백질 활성이 반영된 3차원 뇌 지도 작성을 통한 새로운 병인 발굴 연구
|
1711074847 |
2018-03-01 ~ 2022-02-28 |
2018 |
멜라토닌의 근감소증 치료효과 및 기전 연구: 자가포식의 역할
|
1711073055 |
2018-03-01 ~ 2021-02-28 |
2018 |
리소좀 조절을 통한 TRAIL 항암제 내성 기전 연구
|
1711073043 |
2018-03-01 ~ 2020-02-29 |
2018 |
한국인의 식행동 및 대사증후군 위험조절 인자로써 미각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 연구
|
1711073037 |
2018-03-01 ~ 2021-02-28 |
2018 |
포렌직 톡시코믹스 기반 개인 맞춤형 약물중독 검사법 개발
|
1711072803 |
2015-06-01 ~ 2020-05-31 |
2018 |
방향성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항치매 뉴로코스메틱 신소재 개발
|
1711071871 |
2016-06-01 ~ 2019-05-31 |
2018 |
동결 견 발생에 여성 호르몬 및 비타민 D가 미치는 영향
|
1711071775 |
2018-03-01 ~ 2021-02-28 |
2018 |
Lysosome을 표적을 통한 새로운 항암전략 기전 연구
|
1711071745 |
2016-06-01 ~ 2019-05-31 |
2018 |
비번역RNA 발현 프로파일을 이용한 류마티스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표적 탐색 연구
|
1711071661 |
2016-06-01 ~ 2019-05-31 |
2018 |
다양한 한국인 암환자들에서의 BRCA1/2 유전자 변이의 포괄적 분석
|
1711071101 |
2018-03-01 ~ 2021-02-28 |
2018 |
케톤체가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 규명: 산화스트레스, 염증반응, 자가포식과의 관련성
|
1711071015 |
2018-03-01 ~ 2021-02-28 |
2018 |
갈색지방조직에서 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2 조절을 통한 비만 제어
|
1711070838 |
2016-06-01 ~ 2019-05-31 |
2018 |
Prostaglandin E2 receptor EP2 유도 melanogenesis 제어를 통한 신개념 흑색종 치료제 개발
|
1711069627 |
2017-03-01 ~ 2020-02-29 |
2018 |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Delirium preventive mobile applications for long-term care facility: DeliPREVENT_MobApps_4LCF)의 개발과 효과
|
1711069589 |
2017-03-01 ~ 2019-02-28 |
2018 |
멸종위기 포유류 3종(사향노루, 산양, 수달)의 종분포모델 및 서식지적합성지수 모델의 비교연구
|
1711069421 |
2017-03-01 ~ 2020-02-29 |
2018 |
높은 기공률과 낮은 탄성계수의 고생체적합성 및 무독성 Ti-Zr계 형상기억합금 스캐폴드 개발
|
1711069298 |
2017-03-01 ~ 2020-02-29 |
2018 |
회피가능 사망의 장기 시계열 추이, 시군구 및 교육 수준별 변화 양상과 APC 효과 분석 연구
|
1711069147 |
2017-03-01 ~ 2020-02-29 |
2018 |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아에서 PET-CT를 이용한 뇌신경발달의 평가
|
1711068789 |
2017-09-01 ~ 2020-08-31 |
2018 |
FGFR 저해제의 암줄기세포 억제 효과; 난소암 항암제 내성 극복과 재발 방지
|
1711067966 |
2017-09-01 ~ 2020-08-31 |
2018 |
뇌졸중환자의 효과적인 거울신경시스템 활성의 극대화를 위한 BCI기술과 게임기술을 결합한 가상현실 재활 시스템 개발 및 임상적 유용성 연구
|
1711067932 |
2017-03-01 ~ 2022-02-28 |
2018 |
노인성 치매 처치를 위한 운동트레이닝 후 뇌성장요인과 항염증 마이오카인의 변화
|
1711067904 |
2017-03-01 ~ 2019-02-28 |
2018 |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화학방사선치료의 효과 예측을 위한 종양-면역 바이오마커 발굴
|
1711067730 |
2017-09-01 ~ 2020-08-31 |
2018 |
급성기 뇌졸중 치료에서 저체온 치료가 장기적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1711067663 |
2017-09-01 ~ 2020-08-31 |
2018 |
HIF-1alpha로 자가지방이식의 생존률을 예측한다.
|
1711067529 |
2017-03-01 ~ 2020-02-29 |
2018 |
차세대염기서열분석에 기반한 새로운 간세포암 치료표적으로 Pim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 규명 및 치료제 개발
|
1711067484 |
2017-03-01 ~ 2020-02-29 |
2018 |
신경펩타이드 오렉신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효과 및 기전 연구
|
1711067458 |
2017-09-01 ~ 2020-08-31 |
2018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혈중 호모시스테인과 지질지표 비율의 관계 및 예후예측 인자로써의 유용성 검증연구
|
1711067362 |
2017-03-01 ~ 2020-02-29 |
2018 |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에서 가상현실 및 비디오게임 기반 운동 중재 시스템의 적용
|
1711067312 |
2017-03-01 ~ 2020-02-29 |
2018 |
양적 단백체 분석을 통한 강직성척추염 진단 바이오 마커 개발
|
1711067229 |
2017-03-01 ~ 2020-02-29 |
2018 |
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 선행항암치료 반응 예측 모델
|
1711067042 |
2017-09-01 ~ 2020-08-31 |
2018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사용한 혈관 내 단면 영상에서 다양한 병변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시각적 자동분석 및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 개발
|
1711066941 |
2017-09-01 ~ 2020-08-31 |
2018 |
알츠하이머병 발생에서 산화스트레스, 만성허혈, 고지방식이가 뇌아밀로이드 축적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 분석 및 다인자 통합이론의 검증
|
1711066918 |
2017-03-01 ~ 2020-02-29 |
2018 |
GLDC에 의한 (난소)암줄기세포 형성 과정 조절 기능 규명
|
1711066914 |
2017-09-01 ~ 2020-08-31 |
2018 |
한국인 확장성 심근병증 유전자 연구
|
1711066732 |
2017-03-01 ~ 2020-02-29 |
2018 |
커패시티브 센서를 이용한 음료 양, 종류 및 온도 자동 측정 및 알람 가능한 웰빙 스마트 텀블러 개발
|
1711066422 |
2017-03-01 ~ 2019-02-28 |
2018 |
인공위궤양에서 점막 재생을 촉진하는 자가 혈소판 풍부혈장 기반물질의 개발
|
1711066408 |
2017-09-01 ~ 2019-08-31 |
2018 |
대사성 증후군에서 대장암 발생기전에서의 긴비암호화 리보핵산의 역할
|
1711066403 |
2017-09-01 ~ 2020-08-31 |
2018 |
신경과학 기법을 활용한 기계학습 알고리듬 연구 및 개발
|
1711066279 |
2017-03-01 ~ 2020-02-29 |
2018 |
활동적 저항성 운동이 심혈관 질환자의 항염증 신호 및 세포회복기전을 통한 심장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1711066212 |
2017-03-01 ~ 2020-02-29 |
2018 |
정량적 감각 검사를 이용한 하지불안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반응 예측 인자 개발 연구
|
1711066192 |
2017-09-01 ~ 2020-08-31 |
2018 |
Hypervirulent K. pneumoniae 감염의 생물막 생성 및 병독성 인자에 따른 항생제 내성과 임상 양상 비교 연구
|
1711066132 |
2017-09-01 ~ 2019-08-31 |
2018 |
소아 음낭수종에서 음낭수종절제술의 필요성에 대한 검증
|
1711066042 |
2017-09-01 ~ 2020-08-31 |
2018 |
경동맥 협착을 동반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18F-NaF PET-CT의 임상적 효용성
|
1711066038 |
2017-09-01 ~ 2020-08-31 |
2018 |
임상-유전학적 통합 분석을 통한 담도암의 분자생물학적 아형 예측 모델 확립 및 아형 특이적 표적치료 전략 수립
|
1711065922 |
2018-03-01 ~ 2022-02-28 |
2018 |
비만 매개 질환 연구센터
|
1711065916 |
2014-05-01 ~ 2021-02-28 |
2018 |
세포주기 촉진인자 Wee1 kinase의 암줄기능 조절 기전 규명 연구
|
1711065726 |
2018-03-01 ~ 2021-02-28 |
2018 |
지방조직의 카탈라제 기능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비만 표적 발굴
|
1711065725 |
2018-03-01 ~ 2021-02-28 |
2018 |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 발간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D 분석
|
1395060294 |
2018-01-01 ~ 2022-12-31 |
2019 |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 발간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D 분석
|
1395055292 |
2018-01-01 ~ 2022-12-31 |
2018 |
곤충 단백질로부터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표적 항암 펩타이드 개발
|
1395053915 |
2016-03-01 ~ 2018-12-31 |
2018 |
한국의 하록 참나무류 분포에 대한 식물기후적 연구
|
1345305597 |
2019-09-01 ~ 2020-08-31 |
2019 |
비만에 의한 고혈압 발생에서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 A의 역할과 기전 연구
|
1345305416 |
2018-09-01 ~ 2020-08-31 |
2019 |
LRH-1에 의한 PLIN5 유전자 발현조절 및 지방간 개선 기능 연구
|
1345305049 |
2019-09-01 ~ 2020-08-31 |
2019 |
기립성저혈압 노인의 자율신경기반 병태생리적 기전을 통합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1345302287 |
2016-11-01 ~ 2019-10-31 |
2019 |
비만인 유방암 환자에서 텔로미어 표적치료제의 가능성
|
1345301698 |
2014-11-01 ~ 2019-10-31 |
2019 |
PRMT5 acetylation에 의한 암화 과정 조절 연구
|
1345301681 |
2016-11-01 ~ 2019-10-31 |
2019 |
천연물 유래 NR4A1 저해제로부터 종양유전자인 β-catenin 및 Kras를 이중표적하는 대장암 치료용 식의약 소재 개발
|
1345301585 |
2016-11-01 ~ 2019-10-31 |
2019 |
요양병원 인지장애 대상자를 위한 포괄적 섬망 관리의 개발 및 효과
|
1345301340 |
2019-06-01 ~ 2022-05-31 |
2019 |
당뇨쥐 및 당뇨 환자에서 혈당변동성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1345301298 |
2019-06-01 ~ 2024-05-31 |
2019 |
노인요양병원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 관리를 위한 간호사 대상 가상현실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1345301279 |
2019-06-01 ~ 2022-05-31 |
2019 |
유방암 약물 저항성에 있어서 다양한 세라마이드와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합성효소, 글루코실세라미다아제의 연계성 규명
|
1345301087 |
2019-06-01 ~ 2021-05-31 |
2019 |
퇴행성 뇌질환 예방 식용소재물질 평가를 위한 aquaporin 4 기반 in vitro 시스템 구축 및 적용 연구
|
1345299507 |
2018-06-01 ~ 2021-05-31 |
2019 |
천연물을 이용한 질염 유발 병원균의 억제
|
1345298372 |
2017-06-01 ~ 2020-05-31 |
2019 |
대식세포에서 SCAP에 의한 면역대사 기능 조절
|
1345298193 |
2018-06-01 ~ 2021-05-31 |
2019 |
골밀도 불일치 동물모델을 이용한 비전형 대퇴골절 발생기전 연구
|
1345298094 |
2017-06-01 ~ 2020-05-31 |
2019 |
항암제 봉입 나노입자의 기계적 변형성이 나노입자의 세포 및 조직내 이행 효율 및 항암 효과에 미치는 영향
|
1345297554 |
2018-06-01 ~ 2021-05-31 |
2019 |
한국인의 만성위염 및 염증성 관련 질환의 단일염기다형성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변화와 식이 섭취와의 후생유전학적 연관성
|
1345297481 |
2017-06-01 ~ 2019-05-31 |
2019 |
c-Met 표적을 이용한 새로운 지방세포 분화 억제제 개발
|
1345296745 |
2018-06-01 ~ 2021-05-31 |
2019 |
재가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회복을 위한 가정방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생태체계이론 기반
|
1345296569 |
2018-06-01 ~ 2021-05-31 |
2019 |
경구용 항응고제와 과일주스의 상호작용 연구
|
1345296324 |
2017-06-01 ~ 2022-05-31 |
2019 |
실험설계법과 접합화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세포투과펩타이드의 설계 및 응용에 관한 통합적 연구
|
1345296145 |
2016-06-01 ~ 2022-05-31 |
2019 |
동결견의 새로운 치료 목표 물질으로서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역할 규명
|
1345296140 |
2017-06-01 ~ 2020-05-31 |
2019 |
뇌유래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LED 광파장에 의한 기억증진 효능 확인
|
1345296118 |
2017-06-01 ~ 2020-05-31 |
2019 |
인체기관의 조직별 텔로미어 길이와 FOCXO3, APOC3, LMNA 유전자의 SNP 분석을 통한 바이오 생체시계 차이 및 질환예측 시스템 개발
|
1345296114 |
2018-06-01 ~ 2021-05-31 |
2019 |
췌장베타세포에서 루페론이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
1345296019 |
2018-06-01 ~ 2021-05-31 |
2019 |
근감소증 노인의 건강행위와 정보-동기-행동기술모형에 기반한 중재‘Sarcopenia 2.0’개발 및 효과평가
|
1345295341 |
2017-06-01 ~ 2020-05-31 |
2019 |
멀티오믹스를 활용한 약물의존 네트워크 분석 연구
|
1345294847 |
2018-06-01 ~ 2023-05-31 |
2019 |
노인병원 치매환자 초조행동의 증상별 원인에 따른 체계적인 환자중심의 간호중재 개발 및 효과 검증
|
1345294764 |
2017-06-01 ~ 2019-05-31 |
2019 |
기능적 뇌 영상과 정량적 감각검사를 이용한 하지불안증후군의 병리 메커니즘 규명 및 치료반응 예측 모델 발굴
|
1345294734 |
2017-06-01 ~ 2020-05-31 |
2019 |
망막 및 맥락막 변화와 유전체 및 바이오마커와의 연관성 확인을 통한 당뇨병성 안병증의 조기진단 방법 구축 및 예측지표 개발
|
1345294722 |
2018-06-01 ~ 2021-05-31 |
2019 |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을 통한 대사증후군 억제 신규 물질 발굴
|
1345294036 |
2018-06-01 ~ 2021-05-31 |
2019 |
Deep Health Eye: 시각지능을 통한 인체의 3대 생체정보 (맥박, 산소포화도, 혈압) 획득 및 이를 활용한 복합감정 및 건강상태 예측 시스템 연구
|
1345293981 |
2017-06-01 ~ 2022-05-31 |
2019 |
카텝신 L 발현 및 활성 조절을 통한 항암제 내성 극복 연구
|
1345293873 |
2017-06-01 ~ 2020-05-31 |
2019 |
고지질 식이에 의한 지방 조직의 염증화와 고혈압 발생 억제를 위한 히스톤 탈 아세틸화 효소 억제제의 이용 가능성 연구
|
1345293843 |
2017-06-01 ~ 2020-05-31 |
2019 |
엑소좀 유래 마이크로RNA에 의한 안구 건조증의 병리학적 조절기작 규명
|
1345293018 |
2018-06-01 ~ 2021-05-31 |
2019 |
여성생식기 암 치료를 위한 저분자 화합물 설계 및 합성 연구
|
1345292974 |
2016-06-01 ~ 2022-05-31 |
2019 |
식품 부산물인 난각과 닭 깃털을 활용한 친환경 나노복합체 개발
|
1345292833 |
2017-06-01 ~ 2020-05-31 |
2019 |
사회연결망 분석과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헬스 빅데이터 지능형 분석시스템 개발 및 적용
|
1345292730 |
2018-06-01 ~ 2021-05-31 |
2019 |
Metabolic Reprogramming 제어를 통한 항암제 내성 극복 연구
|
1345292697 |
2018-06-01 ~ 2022-05-31 |
2019 |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조절 Deubiquitinase 동정 및 특성 규명
|
1345292627 |
2018-06-01 ~ 2021-05-31 |
2019 |
약학연구소
|
1345292558 |
2016-05-01 ~ 2024-12-31 |
2019 |
비만에 의한 고혈압 발생에서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 A의 역할과 기전 연구
|
1345287048 |
2018-09-01 ~ 2020-08-31 |
2018 |
비만인 유방암 환자에서 텔로미어 표적치료제의 가능성
|
1345286749 |
2014-11-01 ~ 2019-10-31 |
2018 |
기립성저혈압 노인의 자율신경기반 병태생리적 기전을 통합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1345286383 |
2016-11-01 ~ 2019-10-31 |
2018 |
천연물 유래 NR4A1 저해제로부터 종양유전자인 β-catenin 및 Kras를 이중표적하는 대장암 치료용 식의약 소재 개발
|
1345286200 |
2016-11-01 ~ 2019-10-31 |
2018 |
PRMT5 acetylation에 의한 암화 과정 조절 연구
|
1345286159 |
2016-11-01 ~ 2019-10-31 |
2018 |
카텝신 K 활성화 저해에 의한 Bim 및 RAPTOR 발현조절 기전연구
|
1345285382 |
2018-09-01 ~ 2019-08-31 |
2018 |
세포 연결망의 설계원리: 견고함과 유연함
|
1345284756 |
2016-11-01 ~ 2019-10-31 |
2018 |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조절 Deubiquitinase 동정 및 특성 규명
|
1345283401 |
2018-06-01 ~ 2021-05-31 |
2018 |
대식세포에서 SCAP에 의한 면역대사 기능 조절
|
1345283317 |
2018-06-01 ~ 2021-05-31 |
2018 |
항암제 봉입 나노입자의 기계적 변형성이 나노입자의 세포 및 조직내 이행 효율 및 항암 효과에 미치는 영향
|
1345282943 |
2018-06-01 ~ 2021-05-31 |
2018 |
인체기관의 조직별 텔로미어 길이와 FOCXO3, APOC3, LMNA 유전자의 SNP 분석을 통한 바이오 생체시계 차이 및 질환예측 시스템 개발
|
1345282869 |
2018-06-01 ~ 2021-05-31 |
2018 |
Metabolic Reprogramming 제어를 통한 항암제 내성 극복 연구
|
1345282442 |
2018-06-01 ~ 2022-05-31 |
2018 |
사회연결망 분석과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헬스 빅데이터 지능형 분석시스템 개발 및 적용
|
1345282062 |
2018-06-01 ~ 2021-05-31 |
2018 |
재가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회복을 위한 가정방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생태체계이론 기반
|
1345281953 |
2018-06-01 ~ 2021-05-31 |
2018 |
췌장베타세포에서 토마티딘이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
1345281664 |
2018-06-01 ~ 2021-05-31 |
2018 |
엑소좀 유래 마이크로RNA에 의한 안구 건조증의 병리학적 조절기작 규명
|
1345281454 |
2018-06-01 ~ 2021-05-31 |
2018 |
망막 및 맥락막 변화와 유전체 및 바이오마커와의 연관성 확인을 통한 당뇨병성 안병증의 조기진단 방법 구축 및 예측지표 개발
|
1345281365 |
2018-06-01 ~ 2021-05-31 |
2018 |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을 통한 대사증후군 억제 신규 물질 발굴
|
1345281286 |
2018-06-01 ~ 2021-05-31 |
2018 |
멀티오믹스를 활용한 약물의존 네트워크 분석 연구
|
1345281102 |
2018-06-01 ~ 2023-05-31 |
2018 |
c-Met 표적을 이용한 새로운 지방세포 분화 억제제 개발
|
1345281019 |
2018-06-01 ~ 2021-05-31 |
2018 |
퇴행성 뇌질환 예방 식용소재물질 평가를 위한 aquaporin 4 기반 in vitro 시스템 구축 및 적용 연구
|
1345280888 |
2018-06-01 ~ 2021-05-31 |
2018 |
여성생식기 암 치료를 위한 저분자 화합물 설계 및 합성 연구
|
1345278997 |
2016-06-01 ~ 2022-05-31 |
2018 |
실험설계법과 접합화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세포투과펩타이드의 설계 및 응용에 관한 통합적 연구
|
1345278923 |
2016-06-01 ~ 2022-05-31 |
2018 |
Deep Health Eye: 시각지능을 통한 인체의 3대 생체정보 (맥박, 산소포화도, 혈압) 획득 및 이를 활용한 복합감정 및 건강상태 예측 시스템 연구
|
1345278481 |
2017-06-01 ~ 2022-05-31 |
2018 |
고지질 식이에 의한 지방 조직의 염증화와 고혈압 발생 억제를 위한 히스톤 탈 아세틸화 효소 억제제의 이용 가능성 연구
|
1345277968 |
2017-06-01 ~ 2020-05-31 |
2018 |
동결견의 새로운 치료 목표 물질으로서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역할 규명
|
1345277759 |
2017-06-01 ~ 2020-05-31 |
2018 |
카텝신 L 발현 및 활성 조절을 통한 항암제 내성 극복 연구
|
1345277643 |
2017-06-01 ~ 2020-05-31 |
2018 |
뇌유래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LED 광파장에 의한 기억증진 효능 확인
|
1345277330 |
2017-06-01 ~ 2020-05-31 |
2018 |
천연물을 이용한 질염 유발 병원균의 억제
|
1345277135 |
2017-06-01 ~ 2020-05-31 |
2018 |
경구용 항응고제와 과일주스의 상호작용 연구
|
1345276821 |
2017-06-01 ~ 2022-05-31 |
2018 |
골밀도 불일치 동물모델을 이용한 비전형 대퇴골절 발생기전 연구
|
1345276780 |
2017-06-01 ~ 2020-05-31 |
2018 |
근감소증 노인의 건강행위와 정보-동기-행동기술모형에 기반한 중재'Sarcopenia 2.0'개발 및 효과평가
|
1345276611 |
2017-06-01 ~ 2020-05-31 |
2018 |
한국인의 만성위염 및 염증성 관련 질환의 단일염기다형성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변화와 식이 섭취와의 후생유전학적 연관성
|
1345276576 |
2017-06-01 ~ 2019-05-31 |
2018 |
노인병원 치매환자 초조행동의 증상별 원인에 따른 체계적인 환자중심의 간호중재 개발 및 효과 검증
|
1345276438 |
2017-06-01 ~ 2019-05-31 |
2018 |
기능적 뇌 영상과 정량적 감각검사를 이용한 하지불안증후군의 병리 메커니즘 규명 및 치료반응 예측 모델 발굴
|
1345276404 |
2017-06-01 ~ 2020-05-31 |
2018 |
식품 부산물인 난각과 닭 깃털을 활용한 친환경 나노복합체 개발
|
1345275947 |
2017-06-01 ~ 2020-05-31 |
2018 |
약학연구소
|
1345275615 |
2016-05-01 ~ 2024-12-31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