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공기 중 부유 항생제 내성균의 간편 현장 검출 기술···감염병 대응 패러다임 전환
원문링크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지원사업
개인기초연구사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요사업
지원 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 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세대학교
연구자
임은경,황정호,서승범,이진아
보도자료 발간일
2025-07-29
조회수
5049
개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 이하 생명연)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황정호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위험한 항생제 내성균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기술인 ‘CN-TAR(Cas9 Nickase-Triggered Amplification React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환경 저널인 J. Hazard. Mater. (IF 12.2) 2025년 6월 6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
---|---|
연구 내용 | 연구팀은 유전자 가위로 널리 알려진 CRISPR-Cas9 시스템을 진단목적으로 변형하여 박테리아가 가진 특정 유전자를 정확히 찾아 자르고, 그 절단산물을 실시간으로 증폭하여 빛으로 표시해주는 'CN-TAR'라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의 성능 검증 결과 이 기술은 단 1~2개의 유전자 복사본 수준(1.40 copies/μL, 1.13 copies/μL)에서도 박테리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을 만큼 매우 민감하게 작동했으며, 병원에서 널리 쓰이는 RT-PCR 분석법과 비교해도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 기술은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휴대용 진단기로 만들 수 있어, 병원뿐 아니라 학교, 요양원, 식품공장, 제약공장, 심지어 공장 하수나 토양까지도 실시간 감시할 수 있어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성과는 병원감염 예방과 공중보건 안전망 구축에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병원, 공항, 지하철 등 감염 취약지역에서 즉시 진단이 가능한 ‘현장형 플랫폼 기술’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
기대효과 | 연구책임자인 임은경 박사는 "이 기술은 고가 장비 없이도 공기 중 박테리아를 누구나, 어디서나,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획기적인 현장형 진단 기술로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데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