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과제 조회

과제고유번호 1711072543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04-01 ~ 2019-02-28
과제년도 2018 총 연구기간 2016-06-01 ~ 2019-05-31
주관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기관명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과제명 한글 기능적 신경영상 및 기계 학습을 이용한 차세대 정밀 의료 기반 이명 치료 시스템의 개발
영문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precision medicine-based tinnitus treatment system for tinnitus using functional neuroimaging and machine-learning approach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지역 경기
6T분류 BT • 기초/기반기술 • 뇌신경과학연구
과학기술표준분류 뇌인지 / 뇌인지 기능매핑

총 연구비
연도 정부 연구비(원) 민간 연구비(원) 사업예산
2018 171,657,000 0 171,657,000

Vestibular Manifestations in Subjects With Enlarged Vestibular Aqueduct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10010779
학술지명
OTOLOGY & NEUROTOLOGY
ISSN
1531-7129
Differentiation Between Intralabyrinthine Schwannoma and Contrast-enhancing Labyrinthitis on MRI: Quantitative Analysis of Signal Intensity Characteristics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10010659
학술지명
OTOLOGY & NEUROTOLOGY
ISSN
1531-7129
Thalamocortical dysrhythmia detected by machine learning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9651971
학술지명
NATURE COMMUNICATIONS
ISSN
2041-1723
Increased parietal circuit-breaker activity in delta frequency band and abnormal delta/theta band connectivity in salience network in hyperacusis subjects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9650946
학술지명
PLOS ONE
ISSN
1932-6203
Differentiation Between Intralabyrinthine Schwannoma and Contrast-enhancing Labyrinthitis on MRI: Quantitative Analysis of Signal Intensity Characteristics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10010659
학술지명
OTOLOGY & NEUROTOLOGY
ISSN
1531-7129
Thalamocortical dysrhythmia detected by machine learning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9651971
학술지명
NATURE COMMUNICATIONS
ISSN
2041-1723
Vestibular Manifestations in Subjects With Enlarged Vestibular Aqueduct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10010779
학술지명
OTOLOGY & NEUROTOLOGY
ISSN
1531-7129
Increased parietal circuit-breaker activity in delta frequency band and abnormal delta/theta band connectivity in salience network in hyperacusis subjects
성과년도
2018
성과 고유번호
JNL-2018-0019650946
학술지명
PLOS ONE
ISSN
1932-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