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조회
성과명코로나바이러스 증식 제어하는 단백질 찾았다
The SARS-CoV-2 interactome(Molecular Cell (IF: 17.970, 2020년 기준))
- 지원사업
- 지원 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 기관
- 기초과학연구원, 서울대학교
- 연구자
- 이성률, 이영석, 최연
- 발표일
- 2021-04-27
- 조회수
- 90
코로나바이러스 증식 제어하는 단백질 찾았다
-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고해상도 단백질체 지도 완성…치료제 개발 기여 -
개요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RNA에 직접 결합하여 증식을 제어하는 단백질들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로 작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에 이어 고해상도 단백질체 지도를 완성했다.
서울대학교 단백질체연구실(교수 김종서),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과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Molecular Cell(IF 15.584)에 4월 27일(한국시간) 온라인 게재되었다.
연구 내용
본 연구단은 바이러스 연구 경험이 풍부하진 않았지만 연구 초기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 병원성바이러스은행에서 Biosaftey Level-2(생물 안전 2등급) 수준의 감기바이러스 (HCoV-OC43) 균주와 실험방법에 대한 조언을 받아 충분한 연습과 예비실험을 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와 협업하여 Biosafety Level-3(생물 안전 3등급)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단 김종서 연구위원(서울대 교수)의 질량분석생물학 연구실의 최첨단 연구 인프라도 한몫했다. 고성능 질량분석장비를 별도의 대기시간 없이 시료가 준비되는 대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었기에 신뢰할 수 있는 양질의 단백질체 자료를 생산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1)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베타 코로나바이러스이자 감기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HCoV-OC43의 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체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들이 상당부분 같은 숙주 단백질들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2) LARP1, ZC3HAV1, TRIM25, PARP12, SHFL 등 17개의 항바이러스 단백질들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3) EIF3D, CSDE1 등 8개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증식에 이용됨을 규명함으로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의 타겟을 제시하였다.
기대 효과
바이러스의 전사와 번역과정의 조절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특이적인 단백질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기초연구를 지속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