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T관련기술코드 |
BT(생명공학기술) /
보건의료관련응용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과학기술 표준 분류 |
산업바이오 / 기능성 식품소재 / 생명과학 |
연구목표 |
○ 안전성이 검증된 비만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복합균주 구성 및 표준화
○ 비만 동물모델을 통한 프로바이오틱스 단일 및 복합균주의 체지방 감소 기전 규명
○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프로바이오틱스 효능 검증
○ 프로바이오틱스 산업적 생산공정 확립 및 실용화 추진 |
연구내용 |
■ 1단계: 비만 동물모델을 이용한 체지방 감소 기전 규명
○ 개별 및 복합균주 투여에 의한 in vivo 효능 검증
○ 작용 기전에 따른 바이오마커의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
○ 프로바이오틱스의 유전체 및 장내 균총 분석을 통한 효능 메커니즘 해석
■ 2단계: 인체적용시험 및 실용화 추진
○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 검증
- 과체중 혹은 비만인을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스의 비만 개선 효과 확인
- 지방대사 바이오마커 및 장내 균총 분석을 통한 in vivo 결과와 비교 분석
- 인체적용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인정형 추진
○ 산업적 생산공정 개발 및 실용화 추진
- Pilot 및 대량생산 공정 확립
- 원료 및 제품 규격 설정, 기시법(기준 및 시험법) 확립
- 안정성 테스트를 통한 유통기한 설정
- 실용화 추진 (시제품 제조 및 품목신고) |
기대효과 |
1) 활용계획
○ 체지방 감소 효능 복합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별인정형 원료 등재 추진
○ 체지방 감소 효능 건강기능식품 시제품 제조 및 품목제조신고
○ 종근당 그룹 value chain을 활용한 마케팅 및 해외시장 진출
2) 기대효과
○ 의약품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개발로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
○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창출
○ 국내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확대 및 수출 증대 효과
○ 비만과 관련된 대사질환 개선 연구를 통한 신제품 개발 파이프라인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