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T관련기술코드 |
BT(생명공학기술) /
보건의료관련응용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과학기술 표준 분류 |
치료/진단기기 / 수술용 치료기기 / 보건의료 |
연구목표 |
- 복합 다중합체 기반 생체흡수성 골 고정장치 개발 - 골 고정장치의 의료기기 허가 진입 및 제품화 |
연구내용 |
① 1차년도 ■ 기술개발전략 : 나노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개발 - 나노강화 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개발 및 최적화 - 적층형 나노복합 소재의 개발 및 최적화와 성능평가 - 세라믹 분말 양산용 장비시제품 설계 구현 및 구축, 시운전 - 복합다중합체 소재의 골형성 유도능 in vivo 검증 구현 ■ 사업화전략 - 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및 신뢰성 평가 - 생분해성 제품의 특허분석 및 전략 수립 ② 2차년도 ■ 기술개발전략 : 복합 다중합체 기반 정형용 골 고정장치 시제품 개발 - 나노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양산공정 개발 - 복합소재 기반 정형용 스크류 및 플레이트 개발 및 성능평가 - 양산용 장비의 성능평가 및 양산 구현 - 나노 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입자화 구현 - 복합다중합체 골 고정장치의 in vivo 특성 평가 구현 및 임상적 평가 자문 ■ 사업화전략 - 골 고정장치 관련 의료기기 인허가/사업화 컨설팅 - 골 고정장치의 특허분석 및 전략수립 - 국내 마케팅 전략수립 ③ 3차년도 ■ 기술개발전략 : 복합 다중합체 기반 Spine용 골 고정장치 시제품 개발 - 복합소재 기반 spine용 스크류 및 플레이트 개발 - 복합 소재 기반 시제품의 양산 공정 평가 - 나노복합 자중합체 소재 입자화 양산 시스템 성능 평가 및 구현 - 복합다중합체 골 고정장치의 in vivo 장기 안전성 평가 구현 및 임상프로토콜 설계 구현 ■ 사업화전략 - 생분해성 복합소재의 국제 표준안 제출 - 골 고정장치 관련 해외 마케팅 전략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
기대효과 |
-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하는 적층형 나노복합 소재는 기존 메탈 및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단점을 극복하고, 골형성 유도능을 갖는 생체활성 세라믹을 나노스케일로 적용하면서 입자크기, 분산도 및 방향성 등을 제어함으로 해서 기존 소재에서 구형하지 못하던 월등히 개선된 물성 및 생체활성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됨. - 바이오 임플란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소재는 산업의 전 분야에서 소재의 물성을 제어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되는 기술적 방향이며, 특히 의료용 소재 분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소수의 회사들 만이 기술개발 및 제품화에 성공한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성공적으로 기술 개발이 완료 될 경우 세계적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품화로 이어질 때에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음. - 유무기 혼성화 복합 소재의 개발은 전 산업분야에서 소재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도되는 기술흐름이며, 특히 유무기 혼성화를 통한 기능성 개선 및 나노 입자를 활용한 구조화 전략은 의료기기 산업분야에서는 향후 년간 500억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다른 소재 분야에서도 수백억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정형용 골 고정장치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을 위해 오송 인근에 200평 규모의 GMP 생산 시설을 신규로 구축하여 골 고정장치를 생산시, 최소 20명 이상의 고용증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