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다중합체 기반 생체흡수성 골 고정장치 개발

과제 상세조회

과제정보를 상세조회 합니다.

과제고유번호 14151575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01-01 ~ 2018-12-31
과제년도 2018 총연구기간 2016-02-01 ~ 2018-12-31
사업명 광역협력권산업육성(R&D)
과제명 한글 복합다중합체 기반 생체흡수성 골 고정장치 개발
영문 Development of absorbable bone fixation device based on the mulipolymeric composite materials
주관부처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과제관리기관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테이블 제목

테이블 설명이 들어갑니다.

연구기관명 (주)오스테오닉 기초자치단체
연구개발단계 개발연구 연구수행주체 중소기업
세부과제지원코드 0101 지역 서울
테이블 제목

테이블 설명이 들어갑니다.

6T관련기술코드 BT(생명공학기술) / 보건의료관련응용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과학기술 표준 분류 치료/진단기기 / 수술용 치료기기 / 보건의료
연구목표 - 복합 다중합체 기반 생체흡수성 골 고정장치 개발 - 골 고정장치의 의료기기 허가 진입 및 제품화
연구내용 ① 1차년도 ■ 기술개발전략 : 나노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개발 - 나노강화 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개발 및 최적화 - 적층형 나노복합 소재의 개발 및 최적화와 성능평가 - 세라믹 분말 양산용 장비시제품 설계 구현 및 구축, 시운전 - 복합다중합체 소재의 골형성 유도능 in vivo 검증 구현 ■ 사업화전략 - 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및 신뢰성 평가 - 생분해성 제품의 특허분석 및 전략 수립 ② 2차년도 ■ 기술개발전략 : 복합 다중합체 기반 정형용 골 고정장치 시제품 개발 - 나노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양산공정 개발 - 복합소재 기반 정형용 스크류 및 플레이트 개발 및 성능평가 - 양산용 장비의 성능평가 및 양산 구현 - 나노 복합 다중합체 소재의 입자화 구현 - 복합다중합체 골 고정장치의 in vivo 특성 평가 구현 및 임상적 평가 자문 ■ 사업화전략 - 골 고정장치 관련 의료기기 인허가/사업화 컨설팅 - 골 고정장치의 특허분석 및 전략수립 - 국내 마케팅 전략수립 ③ 3차년도 ■ 기술개발전략 : 복합 다중합체 기반 Spine용 골 고정장치 시제품 개발 - 복합소재 기반 spine용 스크류 및 플레이트 개발 - 복합 소재 기반 시제품의 양산 공정 평가 - 나노복합 자중합체 소재 입자화 양산 시스템 성능 평가 및 구현 - 복합다중합체 골 고정장치의 in vivo 장기 안전성 평가 구현 및 임상프로토콜 설계 구현 ■ 사업화전략 - 생분해성 복합소재의 국제 표준안 제출 - 골 고정장치 관련 해외 마케팅 전략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기대효과 -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하는 적층형 나노복합 소재는 기존 메탈 및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단점을 극복하고, 골형성 유도능을 갖는 생체활성 세라믹을 나노스케일로 적용하면서 입자크기, 분산도 및 방향성 등을 제어함으로 해서 기존 소재에서 구형하지 못하던 월등히 개선된 물성 및 생체활성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됨. - 바이오 임플란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소재는 산업의 전 분야에서 소재의 물성을 제어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되는 기술적 방향이며, 특히 의료용 소재 분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소수의 회사들 만이 기술개발 및 제품화에 성공한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성공적으로 기술 개발이 완료 될 경우 세계적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품화로 이어질 때에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음. - 유무기 혼성화 복합 소재의 개발은 전 산업분야에서 소재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도되는 기술흐름이며, 특히 유무기 혼성화를 통한 기능성 개선 및 나노 입자를 활용한 구조화 전략은 의료기기 산업분야에서는 향후 년간 500억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다른 소재 분야에서도 수백억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정형용 골 고정장치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을 위해 오송 인근에 200평 규모의 GMP 생산 시설을 신규로 구축하여 골 고정장치를 생산시, 최소 20명 이상의 고용증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테이블 제목

테이블 설명이 들어갑니다.

총연구비
년도 정부연구비(원) 민간연구비(원) 사업예산
2018 760,000,000 301,235,008 1,061,23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