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명 |
단백질x 중화항체 기반 망막신경 재생촉진 기술 |
파트너링희망유형
- ?
-
- 공동연구 : 제안된 기술을 추가적으로 연구개발하기 위해 공동으로 참여할 파트너 탐색
- 마케팅제휴 : 제안기술을 이전하거나, 사업화가 될 수 있도록 제휴를 통해 기술을 홍보해줄 파트너 탐색
- 라이센싱 : 기술개발기관에서 소유중인 기술실시권을 이전 받을 파트너 탐색
- 투자(유치) : 현재의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투자를 지원해 줄 파트너 탐색
- 기술매각/매입 : 특허권의 이전 등을 통해 제안된 기술을 판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파트너 탐색
- 생산제휴 : 제안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생산해 줄 파트너 탐색
- 조인트 벤처 : 제안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을 설립하고, 공동으로 운영할 파트너 탐색
|
공동연구, 라이센싱, 조인트 벤처 |
기술분야
- ?
-
- 의약품 : 화합물, 바이오, 천연물, 백신, 첨단바이오
- 건강기능식품 : 식품, 화장품
- 기능성소재 : 의약용, 식품용, 화장품용
- 메디칼 디바이스 : 메티칼 디바이스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핵심/원천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융복합기술
|
의약품 |
바이오 |
건강기능성제품 |
|
기능성소재 |
|
메디칼 디바이스 |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생산기술 |
|
적용/응용 가능분야 |
선천성/후천성 망막신경 퇴행성 질환(망막색소변성증/녹내장, 망막박리 등 |
보유기관명 |
KAIST(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재산권 현황 |
특허 |
|
논문 |
내용 |
현 진행상황 |
- |
기술개요 |
포유동물은 하등동물(파충류, 어류, 조류)과 달리, 망막이 손상된후 재생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그 이유는 망막이 손상되면 뮬러글리아의 세포분열이 더 이상 억제되어 신경세포를 생성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임. 본 발명은, 포유류에서 망막 손상이 와도 망막신경세포의 재생을 촉진하여 망막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신규 타겟으로서 단백질x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규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보여줌. |
연구개발 배경 |
최근, “망막신경 퇴행성 질환(망막색소변성증, 녹내장, 망막박리 등)”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망막신경을 재생”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는 실정임. 예로서, 종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신경재생이 연구되고는 있으나 아직 임상 적용이 어렵고 비용도 고가라는 단점이 있음. 따라서, 안정성과 유효성이 검증된 저가의 치료물질(예; 항체, 단백질, 펩티드) 개발이 필요함. |
특징 |
- |
추가 연구개발 소요 현황 |
- |
협력조건 |
- |
기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