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상세조회

기술정보

내용 프린트하기

기술명 근적외선에 반응하는 암세포 표적 기능을 갖는 가교 마이셀,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파트너링희망유형
?
  • 공동연구 : 제안된 기술을 추가적으로 연구개발하기 위해 공동으로 참여할 파트너 탐색
  • 마케팅제휴 : 제안기술을 이전하거나, 사업화가 될 수 있도록 제휴를 통해 기술을 홍보해줄 파트너 탐색
  • 라이센싱 : 기술개발기관에서 소유중인 기술실시권을 이전 받을 파트너 탐색
  • 투자(유치) : 현재의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투자를 지원해 줄 파트너 탐색
  • 기술매각/매입 : 특허권의 이전 등을 통해 제안된 기술을 판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파트너 탐색
  • 생산제휴 : 제안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생산해 줄 파트너 탐색
  • 조인트 벤처 : 제안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을 설립하고, 공동으로 운영할 파트너 탐색
라이센싱
기술분야
?
  • 의약품 : 화합물, 바이오, 천연물, 백신, 첨단바이오
  • 건강기능식품 : 식품, 화장품
  • 기능성소재 : 의약용, 식품용, 화장품용
  • 메디칼 디바이스 : 메티칼 디바이스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핵심/원천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융복합기술
의약품 바이오
건강기능성제품
기능성소재 의약용
메디칼 디바이스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적용/응용 가능분야 제약분야 보유기관명 CUBIC사업단
지식재산권 현황 특허
논문 내용
현 진행상황 in vitro 완료
기술개요 외부에서 근적외선을 사용하여 약물 방출을 유도하는 암세포 표적 기능을 갖는 약물 전달체는 클릭반응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고,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타겟팅하여, 외부에서 능동적으로 약물을 방출함으로써,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연구개발 배경 최근 몇 년간 코어-쉘(core-shell) 구조에 기초한 고분자 마이셀(micelle)은 그것의 장점인 소수성 약물 용해도, 장기간 순환 시간 및 특정 조직 표적성 때문에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마이셀 고유의 불안정성은 많은 응용에 앞서 상당한 문제점 되어 왔다. 즉, 고분자 마이셀은 혈액순환 도중에 매우 희석된 농도에서 단일체(unimer)로 서로 떨어져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것은 표적 방출을 이루지 못하고 일반 생체 조직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생체에 무해한 근자외선(near infrared, NIR) 광선을 외부에서 사용하여 생체내부의 원하는 부위에서 약물을 방출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고분자 가교 마이셀의 약물 전달 효과를 증가시켰으며, 이것은 생체 치료학적 응용에서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능동적으로 약물을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약물전달체로서 디셀레나이드(diselenide)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약물 탑재 고분자는 보다 더 효과가 있다.
특징 -
추가 연구개발 소요 현황 -
협력조건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