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상세조회

기술정보

내용 프린트하기

기술명 인체 내에서 감염 및 염증 발생 시 치료 과정 중에 발견되는 리폭신, 레졸빈, 프로텍틴, 마레신 family인 염증해소특화지방산(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SPMs) 미생물 신규 효소에 의해 제조하는 기술
파트너링희망유형
?
  • 공동연구 : 제안된 기술을 추가적으로 연구개발하기 위해 공동으로 참여할 파트너 탐색
  • 마케팅제휴 : 제안기술을 이전하거나, 사업화가 될 수 있도록 제휴를 통해 기술을 홍보해줄 파트너 탐색
  • 라이센싱 : 기술개발기관에서 소유중인 기술실시권을 이전 받을 파트너 탐색
  • 투자(유치) : 현재의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투자를 지원해 줄 파트너 탐색
  • 기술매각/매입 : 특허권의 이전 등을 통해 제안된 기술을 판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파트너 탐색
  • 생산제휴 : 제안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생산해 줄 파트너 탐색
  • 조인트 벤처 : 제안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을 설립하고, 공동으로 운영할 파트너 탐색
라이센싱, 기술매각/매입
기술분야
?
  • 의약품 : 화합물, 바이오, 천연물, 백신, 첨단바이오
  • 건강기능식품 : 식품, 화장품
  • 기능성소재 : 의약용, 식품용, 화장품용
  • 메디칼 디바이스 : 메티칼 디바이스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핵심/원천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융복합기술
의약품 바이오
건강기능성제품
기능성소재 의약용
메디칼 디바이스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적용/응용 가능분야 SPMs는 인체 내에서 감염 회복 및 염증회복시 극소량 존재하여 감염 및 염증을 스스로 해소시키는 물질로 파괴된 세포의 제거, 통증완화, 조직재생, 향상성 유지, 감염균 제거 등의 기능을 갖고 있음. 1) Lipoxin 인체 내에서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합성 Arachidonic acid 와 EPA으로부터 생합성된 20개의 탄소에 3개의 수산화기와 4개의 2중결합이 있는 지방산의 총칭. (15-OH) 당뇨치료, 염증질환 치료 Cell 140, 717 (2010) 2) Resolvin 인체 내에서 DHA 및 EPA로부터 생합성 EPA 및 DHA 로부터 생합성된 20개 또는 22개의 탄소에 3개의 수산화기와 6개의 2중결합이 있는 지방산의 총칭. (17-OH) 염증질환 치료, 세균 감염 치료물질 Science 339, 166 (2013) 3) Protectin 인체 내에서 DHA 및 EPA로부터 생합성 DHA 및 EPA로부터 생합성된 20개 또는 22개의 탄소에 2개의 수산화기와 6개의 2중결합이 있는 지방산의 총칭 염증질환 치료, 바이러스 감염 치료 Cell 153, 112 (2013) 4) Hepoxilin 인체 내에서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합성 Polyunsaturated fatty acid로 부터 생합성된 20개 또는 22개의 탄소에 epoxide와 1개 수산화기를 지닌 지방산의 총칭 지방대사 억제 물질, 비만치료, 당뇨치료 Cell 154,213 (2013) 보유기관명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식재산권 현황 특허
논문 내용
현 진행상황 다수의 이수산화 지방산 SPM들의 생산에 성공하였음. LOX 보조인자 (LOX 활성단백질 등) 및 삼수산화 지방산 SPM들의 생산 연구가 필요함. 산업적 수준 생산 연구가 추가적으로 1-2년 필요함. Protectin Dx의 경우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을 완료하여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개발된 SPM 물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내 타연구진과 협업하여 세포 및 동물 실험을 진행할 계획임.
기술개요 염증해소특화지방산(SPM)의 일종인 리폭신, 레졸빈, 프로텍틴, 마레신 포유동물 유래 lipoxygenases(LOXs)는 발현율, 안정성 및 활성이 낮아 SPMs를 생물공학적으로 생산하지 못하였고 지금까지 SPMs는 20단계 이상의 화학 합성법을 생산하여 수율이 매우 낮은 상태임. 따라서, 가격이 매우 높아 기능성 연구에 제약이 많은 실정임(예, Sigma 시약가, Lipoxin A4 5,968만원/mg). 본교 연구팀은 SPMs를 생산하는 유래 활성이 높은 미생물 효소들(LOXs)을 확보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2~3단계 효소 조합 반응으로 SPMs를 높은 수율과 생물공학적인 방법으로 생산하여 경제적인 제품 확보가 가능함.
연구개발 배경 1) 신종 질병 발생 과거 4차례 인플루엔자 대유행, H5N1 및 H7N9의 발생, 지속적 변이주의 출현 지카바이러스,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 다제내성균, 코로나19 등 발생 새로운 질병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의 필요성 증대 2) 인체 내 염증조절 지방산을 이용한 질병 대응 동물성 지방산 산화 효소 유래 Oxygenated Fatty Acids: 인체 내 극 미량 세포-세포 간 소통, 세포 사멸, 면역반응 유도, 대사 및 미생물-숙주 상호작용 등의 신호전달에 관여 감염원(바이러스, 세균)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감염 및 염증을 자가 치료하는 소재. 감염 및 염증치료에 근본적이고 새로운 paradigm 제시 가능 3) 동물성 지방산 산화 효소 유래 염증조절 지방산 관련 연구로 4번의 노벨상 수상 - 1970년 Von Euler (의학상) Aspirin이 prostaglandin 합성저해를 발견 및 진통소염제 개발 - 1982년 Bengt Samuelsson (의학상) Leukotriene이 천식에서 조절인자로서 역할 규명. SPMs 발견, 천식 치료제 개발 - 1990년 E. J. Corey (화학상) Prostaglandin 대량 합성법 개발. 20단계로 관련 치료제 합성 - 2012년 Robert J. Lefkowitz & Brian K. Kobilka (화학상) 신호전달 관여 물질이 G protein-coupled receptor에 binding하는 mechanism 규명 최근 가장 주목받는 의약소재로써 Chemical Reviews (IF=46.6)의 special issue와 염증조절 지방산 전문 SCI Journal 존재, Journal로 Progress in Lipid Research (IF=10.02) 등 20여종의 관련 Journal이 존재
특징 - 감염 및 염증을 대식세포 활성화로 치료하는 원천적인 소재이므로 기능성 연구로 효능을 추가 확인하면 Blockbuster급 소재가 될 가능성이 있음. - 시약 가격이 고가이므로 시약 사업도 고려할 수 있음. - 산업화를 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또는 동물 약품부터 시작하는 것이 성공 가능성이 높음. - 세포 및 시험동물에 의한 기능성 실험을 진행하면 물질에 대한 효용성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됨. - 벤처기업에서 연구를 수행하여 산업적 결과가 확보되면 외국기업이나 국내 대기업에 더 높은 가격으로 기술이전이 가능함.
추가 연구개발 소요 현황 - 지금까지 SPM 연구는 이수산화 지방산 제조에 주력하여 다양한 이수산화 지방산 SPM들의 생산에 성공하였음. - 추가 연구로는 삼수산화 지방산 SPM들의 생산 연구가 필요함. 다양한 이수산화 지방산 SPM들의 생산하기 위해서는 LOX 보조인자 (LOX 활성단백질 등) 및 삼수산화 지방산 형성 관여 효소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3년의 시간이 필요함. - 산업적 수준 생산 연구가 추가적으로 1-2년 필요함. 효소 안정성을 높이고, 생산 농도를 g/L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조에서 반응조건(산소농도 조절 등) 최적화를 수행해야함.
협력조건 기술이전(라이센싱 또는 양도)및 공동연구(기술이전연계)
기타 기술이전(라이센싱 또는 양도)및 공동연구(기술이전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