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명 |
안질환 치료용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
파트너링희망유형
- ?
-
- 공동연구 : 제안된 기술을 추가적으로 연구개발하기 위해 공동으로 참여할 파트너 탐색
- 마케팅제휴 : 제안기술을 이전하거나, 사업화가 될 수 있도록 제휴를 통해 기술을 홍보해줄 파트너 탐색
- 라이센싱 : 기술개발기관에서 소유중인 기술실시권을 이전 받을 파트너 탐색
- 투자(유치) : 현재의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투자를 지원해 줄 파트너 탐색
- 기술매각/매입 : 특허권의 이전 등을 통해 제안된 기술을 판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파트너 탐색
- 생산제휴 : 제안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생산해 줄 파트너 탐색
- 조인트 벤처 : 제안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을 설립하고, 공동으로 운영할 파트너 탐색
|
라이센싱, 기술매각/매입 |
기술분야
- ?
-
- 의약품 : 화합물, 바이오, 천연물, 백신, 첨단바이오
- 건강기능식품 : 식품, 화장품
- 기능성소재 : 의약용, 식품용, 화장품용
- 메디칼 디바이스 : 메티칼 디바이스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핵심/원천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융복합기술
|
의약품 |
|
건강기능성제품 |
|
기능성소재 |
|
메디칼 디바이스 |
메디칼 디바이스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
|
적용/응용 가능분야 |
? 다이어트 의약품, 보조제 등 ? 건강기능식품 음료, 캔디, 과자, 빵 등 |
보유기관명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식재산권 현황 |
특허 |
세리아 입자를 포함한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10-2017-0137098)
상세보기
|
논문 |
내용 |
현 진행상황 |
- 본 기술의 콘택트렌즈는 상기 나노입자 배치와 별개로 동일한 양 (10,000μM)의 수용성 세리아 나노입자에서 HEMA와 탈이온수 (deionized water)의 비율이 70% 이상부터 불투명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세리아 입자로 인한 불투명도의 조절 가능성을 확인함 - 본 기술의 세리아 나노입자가 내포된 콘택트렌즈를 과산화수소 환경에 노출된 렌즈보존액, 1.45mM PBS 및 인공눈물 상에 접촉시킨 결과, 과산화수소가 성공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함 |
기술개요 |
? 다이어트 의약품, 보조제 등 ? 건강기능식품 음료, 캔디, 과자, 빵 등 |
연구개발 배경 |
|
특징 |
- 본 기술의 콘택트렌즈는 활성 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 또는 유해 라디컬 (Harmful radicals) 제거능을 가진 세리아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활성산소 및 유해 라디컬로 인해 발생하는 안질환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음 - 본 기술의 세리아 나노입자는 콘택트렌즈 전체에 내포되는 방법 이외에 링 또는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져 렌즈 상에 배치할 수 있음 -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콘택트렌즈는 눈의 동공 부분에는 세리아 나노입자가 배치되지 아니함으로써, 세리아 입자에 의한 불투명도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 |
추가 연구개발 소요 현황 |
|
협력조건 |
|
기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