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분류체계 설명

기술전문가 정보입니다.

전문가 분류 체계

전문가 분류 개요
1. 연구산업 분류(단계, 지원분야) 도식도
연구산업 생태계
  • 공공·민간 R&D투자
  • 단계분류 지원분야
  • R&D기반 고부가치제품서비스제공
단계 분류 지원분야 분류
분류체계 세부설명
2. 연구분야 분류
  • 신약
  • 의료기기
  • 의료서비스
  • 유전체
  • 뇌연구
  • 줄기세포
  • 생명연구자원
  • 농림수축산/식품
  •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연구산업(R&D Service Industry)
1. 연구산업 개요

R&D 활동의 전후에서 R&D 단계별로 투입·산출되는 자원 및 결과물과 연계되어 R&D 활동의 생산성 제고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연구장비, 기술경영·정책 등의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공급하는 R&D 연동 산업[1][1]과기정통부 정책공개자료, ‘R∓D 생산성 제고 및 고급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연구산업 혁신성장전략(안)」’, 2017.12[2][2]과기정통부 보도자료, ‘「연구산업」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2017.12

단계 분류
1. 단계 분류 개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 또는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서비스업’의 단계별 분류를 말함[3][3]최병삼 외, ‘연구개발서비스업 혁신역량 강화방안 기획연구’,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12

2. 단계 분류 설명
단계분류

단계분류 설명이 들어갑니다.

분류 설명
기초연구

특수한 응용 또는 사업을 직접적 목표로 하지 않고, 자연현상 및 관찰 가능한 사물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기 위하여 최초로 행해지는 이론적·실험적 연구[4][4]이현익 외, ‘2018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8

응용연구

기초연구의 결과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주로 실용적인 목적과 목표하에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독창적인 연구[4][4]이현익 외, ‘2018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8

디자인/개발

제품 개념 정의, 포지셔닝 전략 수립, 제품의 특징과 속성 및 사양 등을 합의

제품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원가 분석 등을 진행[5][5]임세미 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2020. 11[6][6]남택한 외, ‘창업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문제점 체크리스트 가이드개발을 위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지, 13(4), 2019. 12

시제품 개발

시제품 개발 및 상세 테스트, 디자인 리뷰 등

재무 분석 및 법적/특허/저작권 이슈를 해결하고 제품의 가격설정[5][5]임세미 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2020. 11[6][6]남택한 외, ‘창업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문제점 체크리스트 가이드개발을 위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지, 13(4), 2019. 12

제조

제품개발을 완료한 후, 개발 작업의 질적 검토, 재무 분석, 테스트 및 검증 계획 승인

자체 테스트, 사용자 및 현장 시험, 시험생산, 시장 테스트 등을 통해 상품화에 따른 실행 가능성 검토 및 출시시점 진단[5][5]임세미 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2020. 11[6][6]남택한 외, ‘창업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문제점 체크리스트 가이드개발을 위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지, 13(4), 2019. 12

마케팅

마케팅 출시 계획과 운영 계획을 수립, 계획에 맞춰 출시를 진행하고 광고, 홍보 등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진행[5][5]임세미 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2020. 11[6][6]남택한 외, ‘창업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문제점 체크리스트 가이드개발을 위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지, 13(4), 2019. 12

지원분야 분류
1. 지원분야 분류 개념

R&D에 연동되는 ‘주문연구’, ‘기술경영·정책’, ‘연구장비’와 최근 새로운 연구산업인 ‘연구개발 신서비스’로 분류되는 실질적인 연구산업의 분류

2. 지원분야 분류 설명[2][2]과기정통부 보도자료, ‘「연구산업」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2017.12
지원분야 분류

지원분야 분류 설명이 들어갑니다.

분류 설명
주문연구

R&D 수행 주체의 수요에 맞는 연구 활동·지식을 제공

연구개발 서비스 중 연구개발업과 시험·분석업 포함

기술경영·정책

R&D 프로세스 전반의 전문적인 관리서비스를 제공

연구개발서비스 중 연구개발지원업 포험(시험·분석 제외)

연구개발 신서비스

빅데이터, 지능정보 등 신기술을 활용하여 연구개발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고부가가치화하는 신서비스 제공

연구장비

연구장비 개발 및 개조, 유지보수·서비스 등을 제공

3. 지원분야 중분류 설명[7][7]임소진 외, ‘연구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산업통계 기획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2019. 1
지원분야 중분류

지원분야 중분류 설명이 들어갑니다.

분류 중분류 설명
주문연구 자연과학 및 기초 연구개발 물리/화학 및 생물학, 농림수산학 및 수의학,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기타 자연과학 및 기초연구 등의 연구개발 업종
공학 및 융합연구개발 전기・전자공학, 기타 공학, 융합연구 등의 연구개발 업종
기술 시험,검사 및 분석 제품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시험・검사하는 활동
엔지니어링 과학기술 지식을 응용하여 전문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산업활동
기술경영·정책 연구기획 및기술정책 기술 및 시장정보 조사 등의 기획, R&D정책.전략 컨설팅, 인문사회분석(ELSI) 연구 서비스 등 산업활동
연구성과 관리 및 활용 지원 지식재산권 전문 관리, 기술투자 및 사업화 지원 등의 성과 관리 및 산업활동
연구개발 제품 디자인 연구활동의 결과로 제품의 기능 등을 최적화하고 제품 사양 기획 및 디자인하는 산업활동
연구인력공급 및 교육 연구개발 활동에 필요한 인력들을 파견 및 공급하거나 인력양성 및 훈련을 위한 교육을 수행하는 산업활동
연구장비 연구장비 제조 광학/전자영상 장비 제조, 화합물 전처리/분석 장비 제조, 기계가공 시험장비 제조, 전기/전자장비 제조, 데이터처리장비 제조 및 소프트웨어 공급, 물리적 측정장비 제조, 임상의료장비 제조 등의 업종
연구시설 관리 연구실 안전 관리, 연구 폐기물 처리 등의 산업활동
연구장비관리 및 임대 연구장비 수리/보수/유지, 연구장비 임대 등의 산업활동
연구개발 신서비스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서비스업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빅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의산업활동
가상 연구시설 및 환경구축업 연구개발 활동에 필요한 시설이나 실험 환경을 가상으로 구축, 모의실험(시뮬레이션), 실증실험, 교육 등의 서비스 제공업종
연구분야 분류[8][8]남연정, 김무웅 외, ‘2018년 바이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정책연구 2020-6, 제289권, 2020.6
1. 연구분야 분류 개념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바이오 R&D의 기준 및 맞춤형 분류로 구성한 분류체계

2. 연구분야 분류 설명
연구분야 분류

연구분야 분류 설명이 들어갑니다.

분류 설명
신약 줄기세포치료제를 제외한 저분자, 단백질, 천연물, 유전체치료제 등 다양한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동물의약품 제외)
의료기기 연구개발의 성과(End-product)가 진단기기, 치료기기, 유헬스 의료기기 등의 개발이거나 이에 활용될 경우
의료서비스 연구개발의 성과(End-product)가 치료기술(수술법 등), 진단서비스, 한의술 등의 개발이거나 이에 활용될 경우
유전체 단일 유전자 기능 연구가 아닌 유전체와 관계된 연구 및 분석기술, 프로테오믹스, 시스템생물학 등 포함
뇌연구 뇌신경생물, 뇌인지, 뇌신경계 질환 및 뇌공학 등의 뇌관련 연구
줄기세포 줄기세포 관련 기초/기전연구, 줄기세포를 활용한 세포치료제(체세포 유래 제외) 등 신약개발 응용연구, 바이오장기 및 생체조직공학 등의 줄기세포 연구
생명연구자원 생물자원, 생물다양성, 생명정보 등의 생명연구자원 관련 연구
농림수축산/식품 연구개발의 성과(End-product)가 식품, 식품소재, 식의약품, 동물의약품, 작물보호제 등의 개발이거나 이에 활용될 경우
생명과학, 기초연구 및 기타 8대 분야 외의 기초연구 및 생명과학, 사업단 운영비 혹은 인력양성, 연구시설 등
참고문헌
  • [1] 과기정통부 정책공개자료, ‘R&D 생산성 제고 및 고급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연구산업 혁신성장전략(안)」’, 2017.12
  • [2] 과기정통부 보도자료, ‘「연구산업」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2017.12
  • [3] 최병삼 외, ‘연구개발서비스업 혁신역량 강화방안 기획연구’,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12
  • [4] 이현익 외, ‘2018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8
  • [5] 임세미 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1), 2020. 11
  • [6] 남택한 외, ‘창업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문제점 체크리스트 가이드개발을 위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지, 13(4), 2019. 12
  • [7] 임소진 외, ‘연구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산업통계 기획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2019. 1
  • [8] 남연정, 김무웅 외, ‘2018년 바이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정책연구 2020-6, 제289권, 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