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내역사업명 (글로벌선대대학육성지원)신임교원정착연구비
과제명 국문 세포 접착성 고해상도 고집적 소프트 신경 전극 어레이 개발
영문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과학기술원 과제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이영준 연구개발단계 응용연구
연구수행주체 기타 지역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제고유번호 2710060461 (기관)세부과제번호 G04240007
총연구기간 2024-02-15 ~ 2027-12-31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2-15 ~ 2024-12-31

키워드 한글 뇌-기계 인터페이스, 신경전극, 신경보철, 신경공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영문 brain-machine interface, neural interface, neuroprosthetics, neuroelectronics, brain-computer interface
연구목표
(요약)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신경 전극들이 가지는 낮은 기계적 전기적 생체 적합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신뢰성 있는 신경 신호의 측정과 전기 자극의 전달이 가능한 고해상도 고집적 세포 접착성 전도성 하이드로젤 신경 전극 어레이의 개발을 목표로 함.
연구내용
(요약)
... 뇌-기계 인터페이스 구현을 목표로, 대뇌 피질에서 높은 신호대잡음비(SNR)의 신호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고성능 전극과, 마비된 팔다리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신경 전극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신경 신호 기반의 정밀 제어 기술을 고도화하고, 신경 재활, 보조공학, 인공지능 결합형 신경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의 확장을 도모한다.
기대효과
(요약)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와 산업화로 인한 신경 질환 환자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20년, 30년 후 미래에 가장 중요한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됨. 이를 위한 뇌-기계 인터페이스와 신경 보철 기술 분야의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됨. 본 연구과제의 수행을 통해서 뇌 과학과 신경 공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특히 차세대 뇌-기...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뇌과학 · 뇌공학 · 뇌-기계 인터페이스
재료 · 고분자재료 · 전기/전자정보용 소재기술
재료 · 고분자재료 · 의료용 소재기술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건강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교육 및 인력양성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의과학·의공학 기술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100,000,000원 0원 100,00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