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국내) 합성생물학 뉴스

국내소식

총 게시물 1063

검색폼
국내소식

제목,등록일,작성자

1063 산업 삼성, 美 아버바이오 투자…유전자 편집 기술 보유

삼성은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가진 미국 바이오 기업 아버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투자했습니다. 이는 신사업 기회 탐색과 유전자 편집 기술 협력을 위한 것이며, 아버바이오는 AI 및 머신러닝 기반의 최적화된 유전자 편집 효소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유전자 관련 질병 치료의 핵심 기술인 이 분야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조선일
언론게시일
1062 기술 경희대 연구팀, 유전자 편집으로 '수직 성장' 포플러 개발 성공

경희대학교 고재흥 교수 연구팀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사용하여 가지가 위로 곧게 자라는 직립형 포플러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포플러의 직립 성장이 'TAC1' 유전자의 염기서열 변화 때문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이 유전자를 편집하여 롬바르디 포플러와 같은 수직 수관을 구현했습니다. 이 직립형 나무는 좁은 공간에 집약적으로 심을 수 있고, 광합성 효율이 우수하며 관리가 편리하여 바이오에너지용 나무 개발과 탄소 흡수림 조성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포인트데일리
언론게시일
1061 기술 코스맥스, 비건 PDRN 합성 성공… 연어 PDRN과 99.9% 유사

코스맥스가 서울시립대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연어 PDRN과 99.9% 유사한 비건 PDRN 합성(생합성)에 성공하며 PDRN 원료 수급의 한계를 극복했습니다. 코스맥스는 이 차세대 합성 기술(CFSS)을 기반으로 맞춤형 기능성 제품을 대량생산하여 뷰티 산업의 '정밀 바이오 제조' 시대를 선도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독도토너로 알려진 서린컴퍼니와 MOU를 체결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보건뉴스
언론게시일
1060 산업 세포치료제에서 유전자 편집으로…빅파마 미래 전략 행보 엇갈려

최근 글로벌 빅파마들의 미래 전략이 세포치료제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한때 혁신 치료제로 주목받았던 세포치료제는 환자 맞춤형 공정의 어려움과 제한적인 적용 질환 때문에 노보노디스크, 다케다제약 등이 사업을 중단하며 후퇴하는 추세입니다. 반면, 유전자 편집 기술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여, 일라이 릴리가 안과 유전자치료제 바이오텍을 인수하고, 아스트라제네카가 유전자 편집 기술 기업을 확보하며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유전자치료제의 주요 운반체인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기반 치료제는 한 번 투여로 장기간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생산 비용과 일부 안전성 문제로 인해 바이오젠, 화이자 등 일부 빅파마에서는 개발을 중단하는 등 성과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뉴스1
언론게시일
1059 산업 큐리오시스 코스닥 상장 도전..."랩오토메이션 리더 도약"

바이오 연구 자동화(랩오토메이션) 전문기업 큐리오시스가 독자 플랫폼인 '큐리오시스템(CurioSystem)'과 6대 원천기술의 100% 내재화를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우며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AI 신약개발 및 세포치료제 상용화로 급증하는 랩오토메이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타사 대비 개발 기간을 2~3년에서 6개월로 단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높은 이익률과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 420대 이상 출하된 라이브셀 이미징 시스템 '셀로거(Celloger)'를 주력으로 합성생물학 분야의 CPX 등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며, 2028년까지 연매출 470억 원 달성을 목표로 글로벌 랩오토메이션 시장의 토탈 솔루션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언론게시일
1058 기술 "암세포만 골라 사멸"…유전자플랫폼 첫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 사멸을 직접 유도하는 유전자를 암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효진 박사 연구팀(서울대병원 고영일 교수 주관)이 이 같은 효과를 가진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암세포 사멸을 직접 유도하는 유전자를 합성한다. 이를 망간이산화물로 코팅해 몸 속에서 면역계에 의한 제거나 간으로 쏠림 없이 암 세포 사멸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연구진은 “개발된 플랫폼은 암세포를 강력하게 제거하고, 동시에 면역세포 공격 능력까지 끌어올리는 이중 효과를 입증해 냈다”고 소개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데일리메디
언론게시일
1057 기술 AI 활용 분석, 크론병 위험 인자 NOD2 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25년 논쟁 끝내

AI(인공지능)와 분자생물학을 결합하여, 크론병 발병 과정에서 장 속 대식세포의 운명을 가르는 분자 스위치인 'NOD2–기르딘 축'을 규명했다. 핵심은 선천면역 수용체인 NOD2와 신호 조절 단백질 기르딘의 직접 결합이며, 이 축이 정상 작동할 때만 염증 유발 신호가 억제되고 장 점막의 면역 항상성이 유지된다. 크론병과 연관된 NOD2 변이는 기르딘과 결합할 수 없어 염증 억제가 되지 않으며, 이번 연구는 이 '브레이크'를 복원하는 정밀 치료의 로드맵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바이오타임즈
언론게시일
1056 기술 ‘유전자 발현 검사’로 수술 없이도 피부 흑색종 림프절 전이 위험 가려낸다

미국 모피트 암센터 연구진이 멜라노마(피부 흑색종)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가려내는 유전자 발현 검사(Clinicopathologic Gene Expression Profile, CP-GEP)의 임상적 유용성을 대규모 전향적 임상 연구로 확인했다. 9개 암센터에서 초기 멜라노마 환자 1,761명을 분석한 MERLIN_01 시험 결과, 이 검사는 감시 림프절 생검(SLNB)에서 암이 발견될 확률이 낮은 환자를 신뢰성 있게 선별해 수술 결정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바이오타임즈
언론게시일
1055 기술 검역본부, 가성우역 유전자 진단키트 국내 최초 상용화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메디안노스틱과 해외 악성 가축전염병인 가성우역의 국내 유입을 대비해 신속한 정밀진단을 위한 유전자 감별진단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27일 밝혔다. 가성우역은 염소, 면양 등에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가축전염병이다. 발병 시 고열, 콧물·눈곱, 침흘림(구내염), 기침(폐렴), 설사(위장염)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대부분 폐사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몽골 등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어 국내 유입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뉴스1
언론게시일
1054 산업 합성생물학 기술, 제약바이오산업 새 엔진으로 ‘부상’

합성생물학 기술은 맞춤형 세포·유전자 치료제와 같은 혁신적인 활용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으며, 지난해에만 122억 달러의 투자가 이루어지는 등 산업 전환의 임계점에 도달했습니다. 한국은 관련 법과 바이오파운드리 구축으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으나, 글로벌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대규모 산업 확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민간 투자 확대와 함께 대기업-스타트업 협력, 공공-민간 합작 모델 등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정보수집일
언론사
이코노믹 리뷰
언론게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