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 국가신약개발사업(R&D) | |||
---|---|---|---|---|
내역사업명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
과제명 | 국문 | ER 양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에스트로겐 수용체 표적 분해 ATTEC 선도물질 도출 | ||
영문 | Identification of estrogen receptor-degrading autophagy-tethering chimera (ATTEC) lead compoun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ER-positive breast cancer | |||
과제기준년도 | 2024 |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과제관리(전문)기관 | 재단법인 국가신약개발사업단 | 과제수행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 |
연구책임자 | 김성환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
연구수행주체 | 출연연구소 | 지역 | 대전광역시 유성구 | |
과제고유번호 | 2710024086 | (기관)세부과제번호 | 00459720 | |
총연구기간 | 2024-10-01 ~ 2026-09-30 | 당해 연도 연구기간 | 2024-10-01 ~ 2024-12-31 |
키워드 | 한글 |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 자가 포식,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방암, 에텍 | ||
---|---|---|---|---|
영문 |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autophagy, estrogen receptor, breast cancer, ATTEC autophagy-tethering chimera | |||
연구목표 (요약) |
... autophagy 시스템이 있고, 재발, 약물 저항성 및 전이성 ER 양성 유방암의 경우, cytoprotective autophagy 유도로, 기본 수준보다는 높은 autophagy 시스템이 세포내에 존재함. - 따라서 ER을 표적하는 ATTEC의 개발은, 초기 ER 양성 유방암은 물론, 재발, 약물 저항성 및 전이성 ER 양성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mordality를 제공할 수 ... | |||
연구내용 (요약) |
- 2종의 ER-targeting warhead 활용하여 ER-ATTEC 합성 및 SAR 연구 - ER-ATTEC의 세포내 활성 평가를 통한 예비선도물질 도출 (항암 활성 및 ER 분해능 평가)-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ER-ATTEC 유효물질 KRM62850의 scale-up 합성 - MCF7-xenograft 활용한 KRM62850의 in vivo efficacy 평가- ER-ATTEC ... | |||
기대효과 (요약) |
...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의 발달로 다시 주목받고 있음. 그 중에서 가장 앞서 있는 기술은 단연 PROTAC이지만, 최근 PROTAC에 대한 저항성도 보고되고 있으며, PROTAC의 약물저항성 암세포에서의 낮은 활성 등이 한계가 보고됨. - 오토파지-리소좀 시스템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전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ATTEC은 해당 시스템을 신약 개발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기술임. 본 과제에서 ...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
보건의료 · 신약·의약품개발 · 의약품 합성/탐색 보건의료 · 신약·의약품개발 · 약효검색 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 세포분화/사멸 |
|||
---|---|---|---|---|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 건강 · 제조업(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 |||
부처자체분류 | ||||
6T관련기술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총연구비(단위:원) | |||
---|---|---|---|
년도 | 정부연구비 | 민간연구비 | 소계 |
2024 | 100,000,000원 | 0원 | 100,000,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