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내역사업명 차세대바이오
과제명 국문 대규모 항체-항원 상호작용 데이터 생성에 기반한 맞춤형 항체 설계 인공지능 구축
영문 Developing AI for De Novo Antibody Design: Harnessing Large-Scale Data on Antibody-Antigen Interactions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윤태영 연구개발단계 개발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과제고유번호 2710006082 (기관)세부과제번호 00397865
총연구기간 2024-04-01 ~ 2026-12-31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4-01 ~ 2024-12-31

키워드 한글 항체 설계 인공지능, 항체-항원 상호작용, 항체 물성, 데이터베이스, 단분자 이미징
영문 AI-driven Antibody design, Antibody-Antigen interaction, Antibody physical property, Database, Single-molecule imaging
연구목표
(요약)
본 연구과제는 임의의 항원 부위(Epitope)을 표적하는 항체 설계 인공지능 개발과 플랫폼 구축, 그리고 이를 위한 항원-항체 결합력 및 물성에 대한 빅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을 최종 ... 개 이상의 항원-항체 결합력 및 물성 빅데이터의 획득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3) 포유류 세포 기반 대규모 항체 라이브러리 생산 기술 및 고속 항체 특성 평가 자동화 플랫폼 HT SPID ...
연구내용
(요약)
인공지능에게 어떤 항원이 주어지더라도 이에 결합하는 항체를 설계할 수 있으려면, 항체가 항원을 인식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따라서 개발하고자 하는 인공지능이 항원-항체의 상호작용에 대해 최대한 넓은 범위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1단계 연구과제의 1차년도, 연구팀은 고속 대량 항체 특성 분석 기술 확보 ...
기대효과
(요약)
1) 보편적 항체 설계가 가능한 인공지능 구축의 파급력: 본 연구과제를 통해 개발된 인공지능 기술은 임의의 항원의 특정 부위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설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생명공학과 ... 시대에 우리나라의 기술 독립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3) 새로운 항체 의약품 및 세포 치료제 개발: 인공지능을 통하여 특정 항원의 결합부위에 수십-수 nM 정도의 KD 상수로 결합하고,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생명과학 · 생화학/구조생물학 · 단백질 구조와 기능
생명과학 · 산업바이오 · 바이오기기
보건의료 · 신약·의약품개발 · 치료용항체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제조업(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5,000,000,000원 655,186,000원 5,655,18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