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내역사업명 우수연구-신진연구/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과제명 국문 머신러닝을 통한 DLP 3D 프린팅 레진 최적화 및 계층적 다중구조 제어
영문 Optimizing Photopolymer Materials for DLP 3D Printing via Machine Learning with Hierachical Multi-Structure Control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송영한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출연연구소 지역 서울특별시 성북구
과제고유번호 2710004317 (기관)세부과제번호 00337853
총연구기간 2024-05-01 ~ 2029-04-30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5-01 ~ 2025-04-30

키워드 한글 DLP 3D 프린팅, 광경화 재료, 머신러닝, 광중합 유도 상분리, 다중구조
영문 DLP 3D Printing, Photocurable Polymer, Machine Learning, Photopolymerization Induced Phase Separation, Multi-scale Structure
연구목표
(요약)
- 기존의 3D 프린팅 레진 관련 선행 연구들은 주로 저점도 모노머나 올리고머의 특성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이들 연구는 고점도 레진에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레진의 물리적 극한 특성을 상용 DLP 3D 프린터에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첫 번째 목표는 UV 광경화 재료의 점도와 물리적 특성 간의 trade-o...
연구내용
(요약)
1차년도: 머신러닝을 통한 광경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 기반 재료 최적화연구범위: 폴리우레탄 기반 올리고머에 대한 다양한 모노머 조합에 따른 역학적 특성 탐구 및 머신러닝 최적화 연구(레진 샘플 크기 조합 40개 이상, 머신러닝 예측 정확도 15% 이내)강성재료: 점도 5000 cP 이하 초기 모듈러스 1.8 GPa 이상(강도 목표 설정 기준: 폴리메틸메타아...
기대효과
(요약)
... 촉매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 또한, 이러한 다공성 구조물은 생체 조직과 유사한 구조이며, 인공 조직이나 임플란트 등 복잡한 구조 성형이 가능함.- 물성 및 기능이 향상된 레진: 이러한 레진은 ... 있음. 첨단 산업 분야에서 컴퓨터공학과 나노공학을 기반으로 이용한 진단, 치료, 약물전달, 세포지지체, 공기정화, 분리막 등의 기술 발전이 예상됨.- 경제 사회적 측면: Grand View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화학 · 고분자화학 · 고분자 구조/물성
재료 · 고분자재료 · 나노소재기술
화공 · 고분자 공정기술 · 고분자 가공/성형기술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제조업(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나노화학 공정기술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111,085,000원 0원 111,085,000원